$\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롤랑 바르트 의미작용을 통한 우리나라 신화 상징체계 연구 -고대 신라신화와 제주신화의 이미지 관계성 중심으로
Mythical Symbolism through Meaning Action of Roland Barthes -Focus on Image Relationship of Silla Myth and Jeju Myth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2, 2020년, pp.82 - 94  

강연심 (제주특별자치도의회 문화관광체육위원회)

초록

이미지는 유구한 역사적 흐름에서 파생되는 신화와 사회적 관습, 정신적인 심상(心象), 의미가 그림으로 기호화하고, 그림은 기호화를 통해 문자와 언어의 상징으로 이어지고, 기호화의 반복을 통해 민족의 상징체계가 형성되었다. 우리나라 민족은 수 천 년 동안 정신적인 단합·단결이 강한 민족이었음을 역사를 통해 알고 있다. 우리 민족의 단합된 정신적 상징체계는 어떻게 활용하고 이루어졌는지 신화 이미지를 통해 연구하고자 했다. 우리 민족은 샤머니즘을 통해 오랫동안 신화 이미지가 유지되어 왔고 아직도 제주신화 이야기는 제의식과 함께 치러지고 있으며, 신화 이야기는 구비문학이라는 학문적인 측면과 이야기 전개 측면을 영화에서만 연구되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 민족은 하얀 옷과 연결되어 백의민족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해가 지지 않는 동방의 나라 등 수식어가 태양과 연결된다. 우리 민족은 고조선 신화의 상징성에 하늘의 아들, 홍익인간, 박달나무와 신라의 계림 등 시대에 따라 이어져 왔으며, 언제부터 태양을 사랑한 나라가 되었고, 밝음이 상징이 되었는지 알지 못한다. 우리 민족의 정신적 상징체계와 관련하여 샤머니즘 사상에 내포되어 있는 제주 무신도의 신화적 이미지인 닭과 유사하게 표현된 이미지를 역사적으로 활용된 사례들과 문헌들을 제시하였고, 내표된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롤랑 바르트의 의미작용을 통해 신화를 재해석 하였다. 그 결과 날개 손과 몸이 깃털인 반인반수의 표현, 닭이 봉황으로 이어져 밝은 빛과 연결되고 샤머니즘의 빛의 '신라'와 연결되어 신의 명칭을 국가 명칭으로 가져왔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밝은 빛을 사랑한 우리 민족의 정신적 상징체계 연구에 근거를 마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mage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ymbolic system as they are connected with imagination through the association of language. Through history, we know that Korean people have been a people of strong spiritual unity and unity for thousands of years. I tried to study how the Korean people's unified...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제주 내왓당 무신도 10신위의 디자인 형태론 분석과 제주 무신도의 신화적 접근 연구에서 연구된 내용을 바탕으로 전해져오는 신화이야기와 롤랑 바르트의 신화의 의미작용을 통해 우리 민족의 정신적 상징 체계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마르틴 졸리, 김동윤 옮김, 이미지란 무엇인가, 문예출판사, 1999. 

  2. 미르치아 엘리아데, 이재실 옮김, 이미지와 상징-주술적·종교적 상징체계에 관한 시론, 까치글방, 2013. 

  3. 미르치아 엘리아데 저, 이윤기 역, 샤마니즘 고대적 접신술, 까지글방, 1992. 

  4. 강연심, 문화콘텐츠 개발을 위한 한국적 이미지 원형 연구-제주신화 이미지의 기호학적 접근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7. 

  5. 강연심, "제주 무신도의 신화적 접근," 기호학연구, 제55집, pp.7-49, 2018(6). 

  6. 강연심, 박영원, "제주 내왓당 무신도 10신위(神位) 디자인 형태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5, No.9. pp.61-71, 2015. 

  7. 일연, 김원중 옮김, 삼국유사, 을유문화사, 2003. 

  8. 한재용, 韓國의 古代建國神話 硏究,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9. 예태일, 전발평 저, 서경호, 김영지 역, 산해경, 안티쿠스, 2008. 

  10. 현용준, 제주도 신화, 용문당, 1996. 

  11. 장주근, 한국의 민간신앙, 일본, 금화점, 1973. 

  1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16권, 제17권, 1990. 

  13. 유영옥, 상징과 기호의 정치 행정론, 학문사, 1997, 

  14. 요하네스, 페르, 소쉬르 저, 최용호 역, 기호학과 언어학 사이, 인간사랑, pp.47-49, 2002. 

  15. 롤랑바르트, 정현 역, 신화론, 현대미학사, 1995. 

  16. 데이빗 크로우, 박영원 역, 기호학으로 읽는 시각디자인, 안그라픽스, 2006.06. 

  17. 정재서, 산해경, 믿음사, 2010. 

  18. 정재서, 이야기 동양신화, 김영사, 2010(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