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Development of Individual Stockout Response Index in the Online Fashion Products Shopping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5 no.1, 2020년, pp.131 - 140  

Kim, Joo-Hyun (Research Institute of Ec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  Lee, Jin-Hwa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  Kwak, Young-Sik (Entrepreneurship Research Institute,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Hong, Jae-Won (Dept. of Global Trade,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개인품절반응지수(ISRI) 개발에 대한 연구로, 온라인 쇼핑 시 품절 상황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지적 반응, 감정적 반응 및 행동적 반응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ISRI는 선행연구인 Kim and Lee(2016/2018)의 인지, 감정 및 행동적 반응을 근거로 하여 개발하였다. 설문 조사는 인터넷 설문 조사 기관에서 2014년 07월에 2주간 진행되었으며 754명의 설문대상자 중 전체 질문에 응답한 회수된 설문지는 총 526부였다. 이 회수된 설문지를 본 연구의 조사에 이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25.0 Package를 이용하였다. 개인풉절반응지수(ISRI)는 정규분포를 형성하였다. 본 연구의 개인품절반응지수(ISRI)는 개인화, 맞춤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는 4차산업혁명 시대에 소비자의 불편한 쇼핑상황인 품절 시 대안의 마련 근거로써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ffect of consumer's cognitive response,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al response on online shopping stockouts (ISRI: Individual Stockout Response Index). And we try to show the heterogeneity of the degree of consumer response by subdivision market based on the regul...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동일한 품절 현상에 대해 개인별 품절반응 차이에 편차(deviation)와 분산(variance)이 발견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개인별로 품절에 대한 반응(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반응)의 분산(variance)을 바탕으로 하여 개인품절반응지수(Individual Stockout Reponse Index)를 개발하고 그 분포의 정규성을 검증하는 것으로 하였다.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온라인쇼핑 품절 시 경험하는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반응을 개인별로 통합하여 반응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를 지수화하는 것이다. 또한 소비자의 통합된 품절반응 분포의 정규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소비자의 품절반응(인지적, 감정적, 행동적)의 정도는 다를 것이고 개인별 품절반응은 정규분포를 형성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소비자가 온라인쇼핑 품절 시 경험하는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반응을 개인별로 통합하여 반응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를 지수화하는 것이다. 또한 소비자의 통합된 품절반응 분포의 정규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 개인의 품절반응을 지수화하여 척도를 개발하여 소비자 개인의 이질성을 검증하였다. 향후 연구에서 많은 참여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반응의 요인으로 치밀한 연구 설계를 바탕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따라서 연구 대상 상품 카테고리와 유통경로를 제한하거나 통제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패션상품을 대상으로 온라인 유통경로에 한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본 연구자는 아직 국내의 온라인쇼핑 품절 연구가 많이 축적되지 않았고 연구 공백이 존재함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쇼핑 및 패션산업에 환경으로 하여 선행연구에서 진행되지 않았던 온라인 패션쇼핑 품절 시 소비자 반응(인지적 반응, 감정적 반응, 행동적 반응)을 통합한 후, 개인별 분산(varience)으로 분포의 정규성을 확인하고 개인품절 반응지수를 개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 달성을 위해 첫째, 개인관찰치별 품절에 대한 인지적 반응과 감정적 반응을 독립변수로 하고 행동적 반응을 종속변수로 한 회귀분석 결과에서 표준화계수를 산출한다.
  •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개인별로 품절을 경험했을 때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반응의 차이가 있을 것인지 알아보기 위하여 개발하였다. 동일한 품절 현상에 대해 개인별 품절반응 차이에 편차(deviation)와 분산(variance)이 발견될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 이들은 온라인쇼핑을 통한 구매행위가 익숙하고, 구매하고자 하였던 상품이 온라인쇼핑에서 품절되었던 경험이 있었다. 온라인 구매의 익숙함은 사전 설문으로 최근 1년간 온라인쇼핑에서 2회 이상 패션상품을 구매했는가에 대한 질문으로 통제하였다. 설문 조사는 인터넷 설문 조사 기관에서 2014년 07월에 2주간 진행되었으며 754명의 설문대상자 중 전체 질문에 응답한 회수된 설문지는 총 526부였다.
  • Walter and Grabner[25]는 품절 실험을 진행하였다. 주류 판매점에서 소비자의 품절 행동에 대하여 보고하였다. 브랜드 전환 및 저렴한 가격에 구입, 브랜드 전환 및 동일 가격에 상품 대체, 브랜드 전환 및 높은 가격에 구입, 동일 브랜드 구매, 포장 크기 변경, 구매연기 및 재방문, 점포전환 등 6가지 품절행동이 관측되었다.

가설 설정

  • Parker and Lehmann[20]은 주류, 차량 정비용품 선반에서 상품 희소성이 상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도출하였다. 감정은 상품의 인기(popularity)로 한정하였다. 소비자는 상품의 인기가 품질과 관련성이 있다고 평가하였다.
  • 공급자가 제공하는 마케팅 변수가 사례가 된다[37]. 두 번째, 사회심리학적 환경요인에서 자극이다. 상품 구매 시 동행자 유무별로 구매 행태가 변화할 수 있고, 구매 의사 결정에서 환경적 요인이 자극이 되어 유기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방문한 점포에서 구매예정상품의 품절을 경험한 소비자는 어떤 감정을 느끼는가? 방문한 점포에서 구매예정상품의 품절을 경험한 소비자는 심리적 반발, 불편감, 불만족 등의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게 된다[16-17]. 점포에서 상품 품절 시 소비자의 감정적 반응을 보고한 선행연구도 있다.
중소기업, 자영업에서 품절에 취약한 이유는? 품절 상품의 속성인 희소성에 의한 상품의 가치 증가와 상품의 가격 인상이 목적인 재고가 불충분한 상품의 가격 인하, 또는 온라인쇼핑의 조작과 같은 고의성이 있는 품절도 사회적 이슈로 거론되고 있다[3]. 대기업은 전사적 자원관리(ERP) 등을 통하여 재고 문제를 관리하여 품절을 예방할 수 있지만, 다수의 중소기업, 자영업은 자본, 인력 수급 등의 문제로 품절에 취약하다[4]. 
자극-유기체-반응 이론에서 자극은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자극은 크게 2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 특정 대상 혹은 사건과 직접적인 연관성을 가지며 유기체에게 영향력을 주는 자극이다. 공급자가 제공하는 마케팅 변수가 사례가 된다[37]. 두 번째, 사회심리학적 환경요인에서 자극이다. 상품 구매 시 동행자 유무별로 구매 행태가 변화할 수 있고, 구매 의사 결정에서 환경적 요인이 자극이 되어 유기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3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Statistics Korea 2019,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1/index.board?bmoderead&bSeq&aSeq374043&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 

  2. Seoul Electronic Commerce Center 2018, https://ecc.seoul.go.kr/DR2001/FN2002VE.asp 

  3. Media-pen 2018, http://www.mediapen.com/news/view/388927 

  4. YTN 2018, https://www.ytn.co.kr/_ln/0102_201811120522299380 

  5. Kim, J. & Lee, J. (2015). Qualitative study on the response of consumers experiencing products' being sold out on the internet shopping mal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5-5, 74-87. doi:10.7233/jksc.2015.65.5.074 

  6. Kim, J. & Lee, J. (2016). The effect of emotional response on behavioral response of consumers to sold out products on-line shopp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6-4, 32-44. doi:10.7233/jksc.2016.66.4.032 

  7. Kim, J. & Lee, J. (2018). The Effect of Emotional Responses to Out-of-Stock (OOS) Event Experience in Online Shopping on Behavioral Responses. International Journal of Costume and Fashion, 18(2), 85-100. 

  8. Kim, M., & Lennon, S. (2011). Consumer responses online apparel stockouts. Psychology & Marketing, 28(2), 115-144. 

  9. Shin. H., Hur. H., & Choo. H. (2015). Research : Consumer responses to stockouts in online fashion stores: Indicating effects of psychological reactance and emotion.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7-5, 770-780. doi:10.5805/SFTI.2015.17.5.770 

  10. Choi. S. (1993). (The) Effect of emotional response to clothing products on attitude formation(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 Lee. E. & Choi. S. (1994). The types of emotion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wearing cloth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8-3, 395-409. 

  12. Ko. S. (1993). (The) study on the impulse buying of clothing products(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3. Ko. A. (1994). Beliefs , attitude ,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Consumer intention to purchase domestic / foreign brand jean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8-2, 263-272. 

  14. Park. E. (1992). Effects of situational variables on clothing purchase behavior(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5. Sun. J. & Park. (1994). Planning purchase , unplanning purchase , and impulse purchase Effects of situational variables on clothing purchase ty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8-4, 536-548. 

  16. Chun. D., Choi. J., & Joo. Y. (2011). Determinants of consumer responses to retail out-of-stocks. Journal of Channel and Retailing, 16(4), 29-64. 

  17. Clee, M. A., & Wicklund, R. A. (1980). Consumer behavior and psychological reactanc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6(4), 389-405. 

  18. Corstjens, J., & Corstjens, M. (1995). Store wars: The battle for mindspace and shelfspace. New York, NY: Wiley. 

  19. Mandler, G. (1984). Mind and body: Psychology of emotion and stress. New York, NY: Norton. 

  20. Parker, J. R., & Lehmann, D. R. (2011). When shelf-based scarcity impacts consumer preferences. Journal of Retailing, 87(2), 142-155. 

  21. Sur, Y & Son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Korean Consumption Emotion Items. Korean Journal of Consumer and Advertising Psychology, 5(1), 69-92. 

  22. Cho. H. (2018). Influencing factors of out-of-stock situation on consumer response : focused on brand type(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Dong-a University, Busan. 

  23. Peckham, J. (1963). The consumer speaks. Journal of Marketing, 27(4), 21-26. 

  24. Progressive Grocer (1968). The out of stock study, part 1. Progressive Grocer, October, 1-16. 

  25. Walter, C. & Grabner, J. (1975). Stockout cost models: Empirical test in a retail situation. Journal of Marketing, 39(3), 56-68. 

  26. Schary, P., & Christopher, M. (1979). The anatomy of a stockout. Journal of Retailing, 55(2), 59-70. 

  27. Emmelhainz, L. W., M. A. Emmelhainz, & J. W. Stock (1991). Consumer responses to retail stock-outs. Journal of Retailing, 67 (2), 138-47. 

  28. Verbeke, W., Farris, P., & Thurik, R. (1998). Consumer response to the preferred brand out-of-stock situation.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32(11/12), 1008-1028. 

  29. Campo, K., Gijsbrechts, E., & Nisol, P. (2000). Towards understanding consumer response to stockouts. Journal of Retailing, 76(2), 219-242. 

  30. Zinn, W., & Liu, P. C. (2001). Consumer response to retail stockouts. Journal of Business Logistics, 22(1), 49-71. 

  31. Gruen, T., Corsten, D., & Braradwaj, S. (2002). Retail out of stocks: A worldwide examination of causes, rates, and consumer responses. Washington, D.C.: Grocery Manufacturers of America. 

  32. Corsten, D., & Gruen, T. (2003). Desperately seeking shelf availability: An examination of the extent, the causes, and the efforts to address retail out-of-stocks. International of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31(12), 605-617. 

  33. Sloot, L., Verhoef, P., & Frances, P. (2005). The impact of brand and category characteristics on consumer stockout reactions. Working paper. Rotterdam: Erasmus Research Institute of Management. 

  34. Yoon. K. & Kim (2008). A Study on consumer reaction in case of out-of-stock. Korea Logistics Review. 18(2), 227-255. 

  35. Woodworth, R. S.(1938). Experimental psychology. 

  36. Belk, R. W. (1975). Situational variables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3), 157-164. 

  37. Bagozzi, R. P. (1986). Principles of marketing management. Science Research Associates. 

  38. Arora, R. (1982). Validation of an S-O-R Model for Situation, Enduring, and Response Components of Involvemen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9(4), 505-516. 

  39. Bellizzi, J. A., Crowley, A. E., & Hasty, R. W. (1983). The effects of color in store design. Journal of retailing. 

  40. Bitner, M. J. (1992). Servicescapes: The impact of physical surroundings on customers and employees. the Journal of Marketing, 57-71. 

  41. Donovan, R. J. & J. R. Rossiter (1982). Store Atmosphere: An Environmental Psychology Approach. Journal of Retailing, 58(Spring) 34-57. 

  42. Yalch, R., & Spangenberg, E. (1988). An environmental psychological study of foreground and background music as retail atmospheric factors. In AMA educators' conference proceedings (Vol. 54, pp. 106-110). Chicago: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43. Yalch, R., & Spangenberg, E. (1990). Effects of store music on shopping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Marketing, 7(2), 55-63. 

  44. Kim. S. (2004). (A) Study of E-scape's influences on customers' cognitive and emotional responses in internet shopping - integrated approach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45. Kim, J. (2019). A study on the Segmented Market according to Consumer Responses in the Stockout of Online Fashion Products Shopping(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