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동형 비닐하우스의 환기창 형태 조사 및 자연환기 효과 분석
Field Survey and Analysis of Natural Ventilation Characteristics of Multi-span Greenhouse with Different Roof Vent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9 no.1, 2020년, pp.36 - 42  

박민정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최덕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손진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윤성욱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김희태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  이승기 (공주대학교 생물산업공학부) ,  강동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1-2W 모델 연동온실에 대한 온실 규격 및 환기창 형태 실태 조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동온실의 천창 형태에 따른 유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자연환기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온실 실태조사 대상농가의 환기창면적 비율은 평균10%로 자연환기를 위한 시설면적 대비 환기창 면적 설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환기창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동 온실의 천창 형태별 자연환기를 해석 및 분석한 결과, 온실 내 작물위치의 온도 분포 및 내외부 온도차는 몽골식 천창 온실에서 가장 낮고 외몽골식 천창 온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추후 풍하중에 의한 구조적인 안전성을 평가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standard and roof vent type of multi-span greenhouse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ventilation of multi-span greenhouse with different roof vent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code. The vent area proportion of surveyed f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연동온실의 규격 및 환기창 형태를 조사 하고, 이를 바탕으로 천창 형태에 따른 자연환기 특성을 상용 CFD코드(FLUENT 19 R2, ANSYS, USA)를 이용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동온실의 환기창 형태가 자연환기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하여 연동 온실 규격 및 환기창 형태에 대하여 실태 조사를 수행하였다.

가설 설정

  • 내재해형 온실 내외부의 공기유동은 비압축성의 정상상태, 2차원의 난류 유동으로 가정하였으며, 열전달은 복사를 고려하였다. 난류 유동상태는 보다 사실적으로 모의가능하고 많이 사용되고 있는 realizable k-Ɛ 모델을 적용하였으며, 온실의 바닥면과 피복면 근처의 유동장은 standard wall functions 함수 모델을 적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구를 위해 무엇에 대한 온실 규격 및 환기창 형태 실태 조사를 수행했는가?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1-2W 모델 연동온실에 대한 온실 규격 및 환기창 형태 실태 조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동온실의 천창 형태에 따른 유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자연환기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온실 실태조사 대상농가의 환기창면적 비율은 평균10%로 자연환기를 위한 시설면적 대비 환기창 면적 설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환기창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온실 실태조사 대상농가의 환기창면적 비율은?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1-2W 모델 연동온실에 대한 온실 규격 및 환기창 형태 실태 조사를 수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연동온실의 천창 형태에 따른 유동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자연환기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온실 실태조사 대상농가의 환기창면적 비율은 평균10%로 자연환기를 위한 시설면적 대비 환기창 면적 설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나 환기창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동 온실의 천창 형태별 자연환기를 해석 및 분석한 결과, 온실 내 작물위치의 온도 분포 및 내외부 온도차는 몽골식 천창 온실에서 가장 낮고 외몽골식 천창 온실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추후 풍하중에 의한 구조적인 안전성을 평가해야할 것으로 판단된다.
연동 온실 면적의 증가 비율은 단동 온실 면적의 증가비율 대비 약 2배 이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국내 시설 온실이 점차 대면적화 및 대규모화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뿐만 아니라 무엇에 의해 시설 재배 농가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가? 연동 온실 면적의 증가 비율은 단동 온실 면적의 증가비율 대비 약 2배 이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국내 시설 온실이 점차 대면적화 및 대규모화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MAFRA, 2018). 또한, 최근 지구온난화로 인한 급격한 기온 상승 및 폭염, 이상고온 등과 같은 기후변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시설 재배 농가들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여름철과 같이 온도와 일사량이 높은 계절에는 고온장해 등으로 온실 내 작물의 생장에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이는 생산량 저하 및 농가 소득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Lee 등,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l-arifi, A. 1999. The influence of shading and evapotranspiration on a ventilated greenhouse environment. Ph.D. Diss., Ohio State Univ., p.48-55. 

  2. Al-helal, I.M. 1998.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tudy of natural ventilation in arid region greenhouses. Ph.D. Diss., Ohio State Univ., p.27-35. 

  3. Bartzanas, T., T. Boulard and C. Kittas. 2004. Effect of vent arrangement on windward ventilation of a tunnel greenhouse. Biosystems Engineering. 88(4): 479-490. 

  4. Bergman. T.L., A.S. Lavine, F.P. Incropera, and D.P. Dewitt.. 2012. Fundamentals of Heat and Mass transfer. 7th ed. Chichester. United Kingdom. 

  5. Davide P., J.I. Montero, E. Baeza, and B.J. Bailey. 2012. A CFD greenhouse night-time condensation model. Biosystems Engineering 111(2): 141-154. 

  6. Hong, S.W., I.B. Lee, H.S. Hwang, I.H. Seo, J.P. Bitog, J.I. Yoo, K.S. Kim, S.H. Lee, K.W. Kim and N.K. Yoon. 2008. Numerical simulation of ventilation efficiencies of naturally ventilated multi-span greenhouses in Korea. Transaction of the ASABE. 51(4):1417-1432. 

  7. Kwon, J.K., S.H. Lee, J.H. Seong, J.P. Moon, S.J. Lee, B.M., K.J. Kim. 2011. Analysis of Natural Ventilation Characteristics of Venlo-type Greenhouse with Continuous Roof Vents.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36(6): 444-452. 

  8. Lee, H.I., W. Moon, and J.I. Son, 2004. Principles of facility cultivatio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Korea. 

  9. Lee, H.J., S.T. Park, S.K. Kim, C.S. Choi, and S.G. Lee. 2017. The effects of high air temperature and waterlogging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s of hot pepper. J. Korean Hortic. Sci. Technol. 35(1):69-78. 

  10.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status of greenhouse and vegetable production, Sejong-si, Korea (in Korean). 2016. 

  11. MAFR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The status of greenhouse and vegetable production, Sejong-si, Korea (in Korean). 2018. 

  12. Mistriotis, A., G.P.A. Bot, P. Picuno and G. Scarascia-Mugnozza. 1997.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greenhouse ventilation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Agric. For. Meteorol. 85(3):217-228. 

  13. Nam. S.W., Y.S. Kim, and D.U. Seo. 2013. Evaluation of natural ventilation performance for multi-span plastic greenhouses.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2(1): 7-12(In Korean). 

  14. Rasheed, A. J.W. Lee, H.T. Kim, and H.W. Lee. 2019. Efficiency of Different Roof Vent Designs on Natural Ventilation of Single-Span Plastic Greenhouse. Protected Hort. Plant Fac. 28(3):225-233. 

  15. Sethi, V.P., and S.K. Sharma. 2007. Survey of cooling technologies for worldwide agricultural greenhose applications. Solar Energy. 81:1447-1459. 

  16. Song H.W., S.Y. Park, D.G. Kim, and J.W. Lee. 2017. Analysis on the Ventilation Performance by Roof Window Structures of Single-span Greenhou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Technology 18(4): 382-390. 

  17. Teitel, M., and, E. Wenger. 2014. Air exchange and ventilation efficiencies of a monospan greenhouse with one inflow and one outflow through longitudinal side openings. Biosystems Engineering. 119:98-107. 

  18. Yu, I.H., E.H. Lee, M.W. Cho, H.R. Ryu, and Y.C. Kim. 2012. Development of multi-span plastic greenhouse for tomato cultivation.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1(4): 428-436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