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화법과 중화법을 이용한 산성광산배수 내 망간 제거 평가
Evaluation of Manganese Removal from Acid Mine Drainage by Oxidation and Neutralization Method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3 no.6, 2020년, pp.687 - 694  

김범준 (강원대학교 에너지.인프라 시스템 융합학과) ,  지원현 (한국광해관리공단 기술연구소) ,  고명수 (강원대학교 에너지.인프라 시스템 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KMnO4, H2O2, NaOH와 같은 산화제와 중화제를 사용하여 광산배수 내 Mn 제거효율을 확인하고 광산배수에 다량으로 존재하는 Fe2+의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용액 내 Fe2+의 유무에 따라 Mn의 제거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초기농도 0.1 mM의 Mn2+ 용액을 준비하였다. 이때, 광산배수모사 용액의 Fe2+ 농도는 1 mM이 되도록 조성하였다. 산화제와 중화제의 주입량은 용액 내 Mn2+를 기준으로 각각의 몰비가 0.1, 0.67, 1.0, 2.0이 되도록 주입하였으며, Mn2+의 제거효율은 산화제인 KMnO4를 주입한 경우 최대 90%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산화제 주입 후 검은색의 MnO2 침전물이 형성되어 Mn2+의 산화제거를 확인하였고, 반응용액의 pH-Eh 조건에서 Mn 산화물인 Pyrolusite (MnO2)가 안정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용액 내 Fe2+가 존재하는 광산배수 모사용액에서는 용액 내 Mn2+의 제거율이 6%로 매우 낮은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Mn2+의 산화보다 Fe2+의 산화가 더욱 빠르게 진행되면서 Mn 산화물 형성을 저해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산화제 및 중화제 주입 후 용액 내 Fe의 농도가 급격히 감소하는 결과는 Fe2+의 산화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Fe2+의 산화 과정에서 KMnO4의 Mn7+가 Mn2+로 환원되어 광산배수 모사 용액의 용존 Mn의 농도가 오히려 증가하는 결과를 보이기도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용액에 존재하는 Mn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산화법이 중화법보다 더 효과적이며, 광산배수에 존재하는 다량의 Fe2+를 먼저 제거한 후 용존 Mn의 제거를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o oxidizing agents (KMnO4, H2O2), and one neutralizing agent (NaOH) were applied to evaluate Mn removal in mine drainage. A Mn2+ solution and artificial mine drainage were prepared to identify the Fe2+ influence on Mn2+ removal. The initial concentrations of Mn2+ and Fe2+ were 0.1 mM and 1.0 mM, r...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에서는 산화법과 중화법을 이용한 용액 내 Mn 제거효율을 평가하고 광산 배수에 다량 존재하는 Fe2+가 용존 Mn의 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때, 산화제와 중화제의 주입량에 따른 용액 내 Fe과 Mn의 화학종 변화를 통해 용존 Mn의 제거 기제 (mechanisms)를 평가하고 산화법 와 중화법의 적합성을 확인하여 향후 광산 배수 내 망간 제거를 위한 적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 확인하였다. 이때, 산화제와 중화제의 주입량에 따른 용액 내 Fe과 Mn의 화학종 변화를 통해 용존 Mn의 제거 기제 (mechanisms)를 평가하고 산화법 와 중화법의 적합성을 확인하여 향후 광산 배수 내 망간 제거를 위한 적용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hmad, B.J., Cheng, W.H., Low, W.M., Nora'aini, A. and Megat Mohd Noor, M.J. (2005) Study on the removal of iron and manganese in groundwater by granular activated carbon. Desalination, v.182, p.347-353. 

  2. Banks, D.L., Younger, P.L., Arnesen R.T., Iversen E.R. and Banks, S.B. (1997) Mine water chemistry: the good, the bad and the ugly. Environ. Geol., v.32, p.154-174. 

  3. Choi, Y.J., Choi, Y.W., Lee, A.N. and Kim, K.W. (2017) Use of light emitting diode for enhanced activity of sulfate reducing bacteria in mine drainage treatment process under extreme cold. Econ. Environ. Geol., v.50, p.251-256 

  4. Crittenden, J.C., Trussell, R.R., Hand, D.W., Howe, K.J. and Tchobanoglous, G. (2012) MWH's Water treatment: Principles and Design, 3nd (ed.), John Wiley, New York, p.1553-1568. 

  5. Hedin, R.S. and Nairn, R.W. (1993) Contaminant removal capabilities of wetlands constructed to treat coal mine drainage. In Moshiri G.A. (ed.) Constructed wetland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CRC Press, Boca Raton, p.187-195. 

  6. Ji, M.K., Yoon, H.S., Ji, E.D., Lee, W.R., Park, Y.T., Yang, J.S., Jeon, B.H., Shim, Y.S., Kang, M.H. and Choi, J.Y. (2010) Development of control technology for acid mine drainage by coating on the surface of pyrite using chemicals.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5, p.46-52. 

  7. Ji, S.W. and Cheong, Y.W. (2005) Experiment of reactive media selection for the permeable reactive barrier treating groundwater contaminated by acid mine drainage. Econ. Environ. Geol., v.38, p.237-245. 

  8. Ji, S.W., Cho, D.W., Yim, G.J., An, J.M., An, G.O., Jang, J.Y. and Cheong, Y.W. (2020) Fundamental study on adsorption of manganese in water using manganese-oxide coated sand(MCS) generated in a filtration tank of a mine drainage treatment facility. J. Korean Soc. Miner. Energy Resour. Eng., v.57, p.249-256. 

  9. Kim, D.K., Ji, W.H., Kim, D.M., Park, H.S. and Oh, Y.S. (2018) Evaluation of Mn removal efficiency from the mine drainage in the presence of Fe using slag complex reactors. Econ. Environ. Geol., v.51, p.401-407. 

  10. Kim, Y.H. (2009) Health effects of manganese and some recent issues in manganese neurotoxicity research, Korean J. Occup Environ Med., v.21, p.87-105. 

  11. KMoE (2015) Drinking water quality standards,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v.621, p.1-3. 

  12. Larsen, N.A., Pakkenberg, H., Damsgaard, E. and Heydorn, K. (1979) Topographical distribution of arsenic, manganese, and selenium in the normal human brain. Journal of the Neurological Sciences, v.42, p.407-416. 

  13. Lai, H. and McNeill, L.S. (2006) Chromium Redox Chemistry in Drinking Water Systems.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v.132, p.842-851. 

  14. Lee, K.Y., Jang, M., Park, I.G., Um, T.Y. and Lim, K.H. (2013)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manganese oxidizing bacteria for manganese treatment in acid mine drainage. J. Korean Soc. Miner. Energy Resour. Eng., v.35, p.564-570. 

  15. Lee, M.H., Kim, Y.H. and Kim. J.J. (2019) Characteristics of removal and precipitation of heavy metals with pH change of artificial acid mine drainage. Econ. Environ. Geol., v.52, p.529-539. 

  16. Lee, P.K., Kang, M.J. and Choi, S.H. (2011)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and Removal Efficiency of Heavy Metals in the Stream Water Affected by Leachate from the Jiknaegol Tailings Impoundment of the Yeonhwa II Mine.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6, p.19-31. 

  17. Lee, Y.N. and Yim, S.B. (2020) Study on Zeolite-Slag Ceramics for Treatment of Acid Mine Drainage from Il-kwang Min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28, p.75-84. 

  18. Lee, Y.S. Do, S.H. Kwon, Y.E. Hong, S.H. (2016) Manganese removal by KMnO4: Effects of bicarbonate and the optimum condition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ater and Wastewater, v.30, p.207-213. 

  19. Lewis, A.E. (2010) Review of metal sulphide precipitation. Hydrometallurgy, v.104, p.222-234. 

  20. Masterton, W.L., Slowinski, E.J. and Stanitski, C.L. (1983) Chemical principles: alternate edition with a qualitative analysis supplement. Saunders College Pub., Philadelphia, p.445-446. 

  21. Mettler, S., Abdelmoula, M., Hoehn, E., Schoenenberger, R., Weidler, P. and Gunten, U.V. (2001) Characterization of iron and manganese precipitates from an in-situ groudwater treatment plant. Ground water, v.39, p.921-930. 

  22. Oh, J.I. and Shim, Y.S. (2003) Statistical analysis of water quality of domestic acid mine drainage (AM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23, p.587-596. 

  23. Oh, Y.S., Park, H.S., Kim, K.D. and Ji, W.H. (2020) Evaluation of Cu removal from mine water in passive treatment methods; field pilot experiments. Econ. Environ. Geol., v.53, p.235-244. 

  24. Park, H.S., Kim, D.M., Oh, Y.S., Ji, W.H., Park, M.J., Lee, J.S., Lee, J.U. and Ko, M.S. (2018) Application method for SAPS substrate materials according to mine drainage properties, J. Korean Soc. Miner. Energy Resour. Eng., v.55, p.395-404. 

  25. Patil, D.S., Chavan, S.M. and Oubagaranadin, J.U.K. (2016) A review of technologies for manganese removal from wastewater.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neering, v.4, p.468-487. 

  26. ROllin, H.B. and Nogueira, C.M.C.A. (2011) Manganes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health effects. In Nriagu (ed.) Encyclopedia of Environmental Health, p.617-629. 

  27. Sigg, L. and Stumm, W. (1981) The interaction of anions and weak acids with the hydrous goethite (α-FeOOH) surface. Colloids and Surfaces, v.2, p.101-117. 

  28. Xuwen, H.E., Huimin, Y. and Yong, H.E. (2010) Treatment of mine water high in Fe and Mn by modified manganese sand. Mining Science and Technology, v.20, p.571-5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