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2019년도 국내 골재 수급 분석 (I)
Analysis of 2019 Domestic Aggregate Production in Korea (I) 원문보기

자원환경지질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v.53 no.6, 2020년, pp.755 - 769  

홍세선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센터) ,  이진영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9년에 국내에서 채취된 골재에 대하여 광역시도별로 채취현황분석을 실시하였다. 2019년에 전국에서 채취된 골재는 약 1억3천4백만 ㎥로 이 중 모래는 약 4천1백만 ㎥, 자갈은 약 9천3백만 ㎥가 채취되었다. 골재원별로는 선별 파쇄골재(50.3%)가 가장 많이 채취되었으며, 산림골재(41.4%), 육상골재(3.3%), 바다골재(1.7%), 선별세척(1.7%), 하천 골재(0.7%) 순이다. 이는 선별파쇄골재와 산림골재가 국내 골재채취의 주생산지임을 말해준다. 권역별로 보면 경기도가 국내 골재 채취의 약 30%를 점하며, 그 다음으로 경상남도, 충청북도, 강원도, 경상북도, 충청남도의 순이다. 주로 채취되는 골재는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다. 경기도는 선별파쇄골재가 가장 많이 채취되며, 경상남도는 산림골재가 가장 많이 채취된다. 또한 육상골재는 경상북도와 강원도에서 채취가 가장 많이 되는 등 지역에 따라 채취가 용이한 골재의 종류가 다르다. 2019년도 골재채취의 특징은 하천골재와 바다골재의 채취가 현저히 줄어든 반면 선별파쇄와 산림골재의 채취가 증가하여 전체 골재채취물량의 약 90%가 넘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골재자원의 향후 수급에 있어 선별파쇄와 산림골재에 우선적인 정책방향이 있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2019, about 134 million ㎥ of aggregate was produced in an estimated 880 quarries and pits in 17 metropolitan governments. Leading producing metropolitan cities were Gyeonggi-do, Gyeongsangnam-do, Chungcheongbuk-do, Gangwon-do, Gyeongsangbuk- do, Chungcheongnam-do, in order decreasing volum...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7)

  1. Hong, S.S., Kim, J.Y. and Lee, J.Y. (2015) Trends of supply and demand of aggregate in Korea (I), The Jour, Petro, Soc, Korea, v.24, p.253-272. 

  2. Hong, S.S., Lee, C.B., Park, D.W., Yang, D.Y., Kim, J.Y., Lee, B.T. and Oh, K.C. (2004), Geology and distribution of crushed aggregate resources in Korea, Econ, Environ, Geol., v.37, p.555-568. 

  3. Kim, J.Y. (2001) Quaternary geology and assessment of aggregate resources of Korea for the national industrial resources exploration and development, Quaternary International, v.82, p.87-100. 

  4. Kim, J.Y., Oh, K.C., Yang, D.Y., Hong, S.S., Chang, S.B., Lee, J.Y. and Rim, H.S. (2005) Physical properties of old fluvial aggregates in the southeastern of Jeonnam province, Korea, Econ, Environ, Geol., v.38, p.319-334. 

  5.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1993-2019, Annual aggregate statistics. www.agris.go.kr. 

  6. Oh, K.C., Kim, J.Y., Yang, D.Y., Lee, J.Y. and Hong, S.S. (2008) An assessment of the sand resources in old riverbeds and flood plain deposits within a branch of the Geum River, South Korea, Quaternary International, v.176-177, p.156-171. 

  7. Yang, D.Y., Lim, S.B., Min, C.K., Lee, C.B., Park, D.W., Kim, J.Y. and Lee, D.Y. (1999)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rushed aggregates in Korea, Econ, Environ, Geol., v.32, p.1-1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