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반도 대기정체의 특성 및 지역기후모델 HadGEM3-RA를 이용한 미래 전망
Characteristics of Air Stagn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Projection Using Regional Climate Model of HadGEM3-RA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30 no.4, 2020년, pp.377 - 390  

김도현 (국립기상과학원 미래기반연구부) ,  김진욱 (국립기상과학원 미래기반연구부) ,  김태준 (국립기상과학원 미래기반연구부) ,  변재영 (국립기상과학원 미래기반연구부) ,  김진원 (국립기상과학원 미래기반연구부) ,  권상훈 (국립기상과학원 미래기반연구부) ,  김연희 (국립기상과학원 미래기반연구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ot only emissions, but also atmospheric circulation is a key factor that affects local particulate matters (PM) concentrations in Korea through ventilation effects and transboundary transports. As part of the atmospheric circulation, air stagnation especially adversely affects local air quality due...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모델이 대기 정체를 정확하게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약한 바람을 포함한 상하층의 바람을 관측과 유사하게 모의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번 절에서는 대기정체 정량화에 사용된 기후 요소(SurWind, Va850, Ua500)에 대한 HadGEM3-RA의 모의 성능을 평가하려고 한다. 이를 위하여, HadGEM3-RA와 지역기후모델의 경계장으로 사용되었던 전지구기후모델(UKESM)의 모의자료 중 Historical 실험 및 관측자료로써 재분석자료(ERA-Interim)를 이용하였다.
  • 6 시나리오는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 능력이 뛰어남과 동시에 친환경 기술의 발달로 완화 능력도 높은 지속성장 경로를 대표하며, 시나리오 중 가장 낮은 온실가스 농도를 가정한다. 따라서, 위의 두 SSP 시나리오 하의 HadGEM3-RA 모의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온실가스 농도에 따른 대기 정체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MKPI 지수와 HadGEM3-RA의 모의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겨울철 대기정체의 특성과 그 미래전망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다음장인 2장에서는 연구에서 사용된 자료 및 연구 방법을 설명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의 고농도 미세먼지와 관련이 깊은 대기정체 빈도의 미래 변화를 대기패턴의 변화와 연관 지어 전망하였다. 이를 위하여 지역기후모델 HadGEM3-RA의 모의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과거 기후를 대표하는 Historical 실험 및 미래의 고농도 온실가스를 가정하는 SSP5-8.
  • , 2017). 해당 연구에서는 이러한 대기패턴의 변화가 해양에 비해 육지가 더 빨리 가열되는 해양-육지간 온난화 차이에 기인할 것으로 보았다. 해양-육지간 온난화 차이에 의하여 하층 대기에 대하여 북태평양을 중심으로 양의 해면 기압 아노말리, 극지방을 중심으로는 음의 해면 기압 아노말리가 나타나 북반구 중위도와 고위도 전반에 양의 극 진동(Arctic Oscillation) 패턴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가설 설정

  • 3.1절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정체는 상하층의 약한 바람 조건에서 발생한다. 그러므로 모델이 대기 정체를 정확하게 정량화하기 위해서는 약한 바람을 포함한 상하층의 바람을 관측과 유사하게 모의하여야 한다.
  • 6의 두 시나리오에 대하여 2015년부터 2100년까지 단일앙상블 멤버의 적분을 수행하였다. SSP5-8.5 시나리오는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 능력은 뛰어나지만 화석연료 사용의 의존으로 완화 능력이 낮은 고속성장 경로를 대표하며, 시나리오 중 가장 높은 온실가스 농도를 가정한다. 한편, SSP1-2.
  • 5 시나리오는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 능력은 뛰어나지만 화석연료 사용의 의존으로 완화 능력이 낮은 고속성장 경로를 대표하며, 시나리오 중 가장 높은 온실가스 농도를 가정한다. 한편, SSP1-2.6 시나리오는 기후변화에 대한 적응 능력이 뛰어남과 동시에 친환경 기술의 발달로 완화 능력도 높은 지속성장 경로를 대표하며, 시나리오 중 가장 낮은 온실가스 농도를 가정한다. 따라서, 위의 두 SSP 시나리오 하의 HadGEM3-RA 모의자료를 사용함으로써 온실가스 농도에 따른 대기 정체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i, N., M. Khazaei, S. F. van Eeden, and I. Laher, 2007: The pharmacology of particulate matter air pollution-induced cardiovascular dysfunction. Pharmacol. Ther., 113, 16-29. 

  2. Cai, W., K. Li, H. Liao, H. Wang, and L. Wu, 2017: Weather conditions conducive to Beijing severe haze more frequent under climate change. Nature Clim. Change, 7, 257-262, doi:10.1038/nclimate3249. 

  3. Davies, T., M. J. P. Cullen, A. J. Malcolm, M. H. Mawson, A. Staniforth, A. A. White, and N. Wood, 2005: A new dynamical core for the Met Office's global and regional modelling of the atmosphere. Q. J. R. Meteorol. Soc., 131, 1759-1782. 

  4. Dee, D. P., and Coauthors, 2011: The ERA-Interim reanalysis: configuration and performance of the data assimilation system. Q. J. R. Meteorol. Soc., 137, 553-597, doi:10.1002/qj.828. 

  5. Eyring, V., S. Bony, G. A. Meehl, C. A. Senior, B. Stevens, R. J. Stouffer, and K. E. Taylor, 2016: Overview of the 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6 (CMIP6) experimental design and organization. Geosci. Model Dev., 9, 1937-1958, doi:10.5194/gmd-9-1937-2016. 

  6. Giorgi, F., C. Jones, and G. R. Asrar, 2009: Addressing climate information needs at the regional level: the CORDEX framework. WMO Bulletin, 58, 175-183. 

  7. Hong, C., and Coauthors, 2019: Impacts of climate change on future air quality and human health in China. Proc. Natl. Acad. Sci., 116, 17193-17200, doi:10.1073/pnas.1812881116. 

  8. Horton, D. E., Harshvardhan, and N. S. Diffenbaugh, 2012: Response of air stagnation frequency to anthropogenically enhanced radiative forcing. Environ. Res. Lett., 7, 044034, doi:10.1088/1748-9326/7/4/044034. 

  9. Im, E.-S., Y.-W. Choi, and J.-B. Ahn, 2017: Worsening of heat stress due to global warming in South Korea based on multi-RCM ensemble projections. J. Geophys. R. Atmos., 122, 444-11461, doi:10.1002/2017JD026731. 

  10. Jo, E.-J., and Coauthors, 2017: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on respiratory disease and the impact of meteorological factors in Busan, Korea. Resp. Med., 124, 79-87, doi:10.1016/j.rmed.2017.02.010. 

  11. Kan, H., S. J. London, G. Chen, Y. Zhang, G. Song, N. Zhao, L. Jiang, and B. Chen, 2007: Differentiating the effects of fine and coarse particles on daily mortality in Shanghai, China. Environ. Int., 33, 376-384. 

  12. Kim, H.-C., and Coauthors, 2017: Recent increase of surface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Korea. Sci. Rep., 7, 4710, doi:10.1038/s41598-017-05092-8. 

  13. Kim, J., 2008: Transport routes and source regions of Asian dust observed in Korea during the past 40 years (1965-2004). Atmos. Environ., 42, 4778-4789. 

  14. Kim, J., and Coauthors, 2014: Evaluation of the CORDEX-Africa multi-RCM hindcast: systematic model errors. Clim. Dyn., 42, 1189-1202, doi:10.1007/s00382-013-1751-7. 

  15. Kim, S.-H., and Coauthors, 2015: Effects of particulate matter in ambient air on the development and control of asthma. Allergy Asthma Respir. Dis., 3, 313-319, doi:10.4168/aard.2015.3.5.31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orshover, J., and J. K. Angell, 1982: A review of air-stagnation cases in the eastern United States during 1981- Annual summary. Mon. Wea. Rev., 110, 1515-1518. 

  17. Kulkarni, S., M. C. Deo, and S. Ghosh, 2019: Performance of the CORDEX regional climate models in simulating offshore wind and wind potential. Theor. Appl. Climatol., 135, 1449-1464, doi:10.1007/s00704-018-2401-0. 

  18. Lee, H.-J., Y. M. Jeong, S.-T. Kim, and W.-S. Lee, 2018: Atmospheric circulation patterns associated with particulate matter over South Korea and their future projection. J. Climate Change Res., 9, 423-43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J. H., Y. P. Kim, K.-C. Moon, H.-K. Kim, and C. B. Lee, 2001: Fine particle measurements at two background sites in Korea between 1996 and 1997. Atmos. Environ., 35, 635-643. 

  20. Lee, S., C.-H. Ho, and Y.-S. Choi, 2011: High-PM 10 concentration episodes in Seoul, Korea: Background sources and related meteorological conditions. Atmos. Environ., 45, 7240-7247, doi:10.1016/j.atmosenv.2011.08.071. 

  21. Park, C., and Coauthors, 2016: Evaluation of multiple regional climate models for summer climate extremes over East Asia. Clim. Dyn., 46, 2469-2486, doi:10.1007/s00382-015-2713-z. 

  22. Riahi, K., and Coauthors, 2017: The 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and their energy, land use, and greenhouse gas emissions implications: An overview. Global Environ. Change, 42, 153-168, doi:10.1016/j.gloenvcha.2016.05.009. 

  23. Sellar, A. A., and Coauthors, 2019: UKESM1: Description and evaluation of the U.K. Earth System Model. J. Adv. Model. Earth Sy., 11, 4513-4558, doi:10.1029/2019MS001739. 

  24. Torma, C., F. Giorgi, and E. Coppola., 2015: Added value of regional climate modeling over areas characterized by complex terrain-Precipitation over the Alps. J. Geophys. R. Atmos., 120, 3957-3972, doi:10.1002/2014JD022781. 

  25. van Vuuren, D. P., and Coauthors, 2011: The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an overview. Climatic Change, 109, 5, doi:10.1007/s10584-011-0148-z. 

  26. Wang, X., R. E. Dickinson, L. Su, C. Zhou, and K. Wang, 2018: PM2.5 pollution in China and how it has been exacerbated by terrain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Bull. Amer. Meteor. Soc., 99, 105-119, doi:10.1175/BAMS-D-16-0301.1. 

  27. WHO, 2016: Ambient air pollution: a global assessment of exposure and burden of disease. World Health Organization, 121 pp. 

  28. Xu, M., H. Xu, and J. Ma, 2016: Responses of the East Asian winter monsoon to global warming in CMIP5 models. Int. J. Climatol., 36, 2139-2155, doi:10.1002/joc.4480. 

  29. Yang, Y., H. Liao, and S. Lou, 2016: Increase in winter haze over eastern China in recent decades: Roles of variations in meteorological parameters and anthropogenic emissions. J. Geophys. Res. Atmos., 121, 13050-13065, doi:10.1002/2016JD0251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