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 여성의 모유수유 예측요인: 국민건강영양조사 제7기 3차년도(2018)의 2차 자료 분석
Predictors of Breastfeeding in Adult Women: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The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KNHANES VII-3), 2018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2, 2020년, pp.440 - 448  

성지숙 (호원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제7기 3차년도(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통계 자료 중 건강 설문 조사 결과를 토대로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이 성인 여성의 모유수유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자료는 가중치를 적용하여 SPSS Win 22.0 프로그램의 복합표본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성인 여성의 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복합표본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한 결과, 연령, 교육 수준, 흡연이 모유수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30-39세 연령군인 경우 19-29세 연령군인 경우보다 3.06배, 초등학교 이하의 학력인 경우가 대학 이상의 학력인 경우보다 4.70배, 비흡연자가 흡연자에 비해 2.51배 모유수유율이 높았다. 따라서 30세 미만의 연령의 경우 모유 수유에 대한 교육을 더욱 강화하고 40세 이상의 연령의 경우 모유생산량을 높이고 돌봄 제공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또한 학력이 높은 경우에는 직장생활 등의 제한된 환경에서의 효율적인 모유수유 방법을 익히고 수유부를 배려하는 사회적 분위기 조성이 필요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여성 흡연자의 금연프로그램에는 임신 및 수유와 관련된 교육이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breastfeeding in adult women based on socio-demographic and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using the results of KNHANES VII-3. The data was analyzed by applying weights, using the complex sample analysis method of the SPSS Win 22.0 program.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모유수유 예측요인을 파악하기위하여 제7기 3차년도(2018) 국민건강영양조사[13] 통계 자료 중 건강 설문 조사 자료를 이용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모유수유 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모유수유율을 확인하고 이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제7기 3차년도 (2018) 국민건강영양조사 통계 자료 중 건강 설문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시행되었다.
  • 성인 여성의 모유수유 정도를 파악한다.
  • 성인 여성의 모유수유의 예측요인을 파악한다.
  • 성인 여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과 모유수유 유무의 차이를 파악한다.
  • 이는 세계적인 수준보다 낮은 수준으로 우리나라의 모유수유율의 향상을 위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한민국 대표 표본을 이용하여 모유수유 정도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 대표 표본을 이용하여성인 여성의 모유수유 정도를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 특성의 요인을 파악하여 모유수유의 효과적인 실천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WebMD, Breastfeeding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www.webmd.com/parenting/baby/nursing-basics#1 (accessed Sep. 17, 2020) 

  2. WHO, Breastfeeding [Internet]. Available From: https://www.who.int/health-topics/breastfeeding (accessed Sep. 17, 2020) 

  3. J. N. Lee, S. H. Kang, "Recent Clinical Research on Association between Breast Feeding and Intellig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Breastfeeding Medicine, Vol.2, No.1, pp.43-48, 2016. 

  4. A. Chen, W. J. Rogan, "Breastfeeding and the Risk of Postneonatal Death in the United States.", Pediatrics, Vol.113, No.5, pp.e435-e439, 2004. DOI: https://doi.org/10.1542/peds.113.5.e435 

  5. J. Y. Jo, "Lactation and Maternal Health : a Review",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Breastfeeding Medicine, Vol.3, No.1, pp.57-61, 2017. 

  6. S. K. Kim, Y. K. Kim, H. R. Kim, J. S. Park, C, G. Son et al., The 2012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 Welfare in Korea, Research Repor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orea, pp.415-441. 

  7. S. S. Lee, J. S. Park, S. Y. Lee, M. A. O, H. J. Choi et al., The 2015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 Welfare in Korea, Research Repor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orea, pp.197-205. 

  8. S. Y. Lee, L. J. Kim, J. S. Park, S. J. Byeon et al., The 2018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 Welfare in Korea, Research Report,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orea, pp.181-186. 

  9. H. R. Kim, "Breastfeeding trends, affecting factors and poilicy options for breastfeeding promotion in Korea",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No.201, pp.49-54, 2013. 

  10. Y. M. Salim, W. Stones, "Determinants of exclusive breastfeeding in infants of six months and below in Malawi: a cross sectional study",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Vol.20, No.1, pp.1-8, 2020. DOI: https://doi.org/10.1186/s12884-020-03160-y 

  11. M. Atchan, M. Foureur, D. Davis, "The decision not to initiate breastfeeding-women's reasons, attitudes and influencing factors-a review of the literature", Breastfeeding Review, Vol.19, No.2, pp.9-17, 2011. 

  12. J. H. Park,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Socioeconomic Factors and Breastfeeding", Journal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4, No.12, pp.322-330, 2014. 

  1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3)", 2020. 

  14. K. S. Dede, H. Bras, "Exclusive breastfeeding patterns in Tanzania: Do individual, household, or community factors matter?" International Breastfeeding Journal, Vol.15, pp.1-11, 2020. DOI: https://doi.org/10.1186/s13006-020-00279-8 

  15. L. A. Nommsen-Rivers, C. J. Chantry, J. M. Peerson, R. J. Cohen, K. G. Dewey, "Delayed onset of lactogenesis among first-time mothers is related to maternal obesity and factors associated with ineffective breastfeeding", The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Vol.92, No.3, pp.574-584, 2010. DOI: https://doi.org/10.3945/ajcn.2010.29192 

  16. A. Rahman, N. Khan, S. Akter, A. Rahman, M. Alam et al., "Determinants of exclusive breastfeeding practice in Bangladesh: Evidence from nationally representative survey data", Plos one, Vol.15, No.7, 2020. DOI: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236080 

  17. K. E. Agho, M. J. Dibley, J. I. Odiase, S. M. Ogbonmwan, "Determinants of exclusive breastfeeding in Nigeria", BMC pregnancy and childbirth, Vol.11, No.2, pp.1-8, 2011. DOI: https://doi.org/10.1186/1471-2393-11-2 

  18. M. Napierala, J. Mazela, T. A. Merritt, E. Florek, "Tobacco smoking and breastfeeding: Effect on the lactation process, breast milk composition and infant development. A critical review", Environmental research, Vol.151, pp.321-338, 2016. DOI: https://doi.org/10.1016/j.envres.2016.08.002 

  19. D. S. Kang, M. G. Kim, S. Y. Lee, S. L. Lee, G. H. Lee et al., Fertility Policy Reconsidered: Rebalancing the Family Life, Research Report,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orea, pp.349-35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