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수슬러지를 이용한 제올라이트의 합성 및 특성연구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Zeolite Using Water Treatment Sludge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26 no.4, 2020년, pp.263 - 269  

고현진 (신성대학교 6차산업지원연구소) ,  고용식 (신성대학교 화장품신소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수슬러지를 이용하여 제올라이트(zeolite)를 수열합성하고, 제올라이트의 결정화에 대한 반응온도, 반응시간, Na2O/SiO2 몰비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제조한 제올라이트의 결정구조, 물성 및 열적 특성은 각각 X-선 회절분석, FTIR, BET 질소흡착 및 TGA로 분석하였다. 제올라이트의 흡착성능을 조사하기 위해 암모니아성 질소, 중금속이온 및 TOC 제거효율을 측정하였다. 정수슬러지의 주성분은 Al2O3와 SiO2로서 각각 28.79%와 27.06%을 나타내었으며, 제올라이트 합성을 위한 실리카 및 알루미나 원료는 정수슬러지 이외에 어떠한 화학원료도 추가로 첨가하지 않고 합성을 진행하였다. 정수슬러지를 이용하여 제조한 제올라이트는 A형 제올라이트의 구조를 나타내었으며, 반응기질의 조성을 2.1Na2O-Al2O3-1.6SiO2-65H2O으로 하고, 반응온도 90 ℃, 반응시간 5시간, Na2O/SiO2 몰비가 1.3인 경우에 가장 높은 결정성을 나타내었다. 합성 제올라이트의 비표면적은 55 ㎡ g-1로서 상업용 제올라이트 A 보다 높게 나타났다. 합성 제올라이트의 암모니아성 질소(NH4+) 제거율은 3시간 반응한 경우 68%를 나타내었으며, 제올라이트의 Pb2+ 및 Cd2+ 이온에 대한 흡착실험 결과 제거율은 각각 99.1% 및 99.3%를 나타내었다. 이는 제올라이트의 격자 내에 존재하는 Na+ 이온과 Pb2+ 및 Cd2+ 이온 간의 원활한 이온교환이 이루어졌음을 나타낸다. 300 ppm 부식산 용액에 제올라이트의 첨가량을 변화시켜 3시간 동안 흡착실험을 수행한 결과 제올라이트 5 g을 첨가한 경우 TOC 제거율이 83%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Zeolite was synthesized hydrothermally using the water-treatment sludge, and the effects of various synthesis parameters like reaction temperature, reaction time, and Na2O/SiO2 molar ratio on the crystallization of zeolite were investigated. Crystal structure, physical property, and thermal stabilit...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정수 처리 시 다량 발생하는 정수슬러지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이를 원료로 사용하여 제올라이트를 수열 합성하고, 물리화학적 특성과 흡착성능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정수슬러지를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하고자 이를 원료로 이용하여 A형 제올라이트를 수열합성 하였으며, 합성에 미치는 반응조건의 영향과 제조한 제올라이트의 물성 및 흡착성능 등을 조사하였다. 정수슬러지의 주성분은 SiO2(2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Kang, K. C., Kim, Y. H., Kim, J. M., Lee, C. H., and Rhee, S. W., "Synthesis of AlPO 4 -type Mesoporous Materials using Alum Sludge," Appl. Chem. Eng., 22(2), 173-177 (2011). 

  2. Kim, J. M., Kim, M. K., Lee, J. M., Lee, C. H., Lee, S. W., Choi, D. J., and La, J. M., "Method of Manufacturing a Building Material Composition Eco-friendly," Korea Patent, 10-1041094 (2011). 

  3. Yun, D. H., Lee, B. H., and Kim, Y. T., "Strength and Leaching Characteristics of Water Sludge-added Lightweight Soil Considering Reinforcing Material and Layer," J. Korean Geo-environ. Soc., 13(8), 75-84 (2012). 

  4. Lee, C. H., Park, N. Y., Kim, G., and Jeon, J. K., "Comparison of Adsorption Performance of Ammonia and Formaldehyde Gas Using Adsorbents Prepared from Water Treatment Sludge and Impregnated Activated Carbon", Appl. Chem. Eng., 27(1), 62-67 (2016). 

  5. Kim, I. H., "Study on the Using Water Purifying AlPO4-based Zeolite Synthesis and Ammonia Removal," PhD Disserta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buk, Korea (2007). 

  6. Kang, K. C., Kim, Y. H., Kim, J. M., Lee, C. H., and Rhee, S. W., "Synthesis of AlPO 4 -type Mesoporous Materials using Alum Sludge," Appl. Chem. Eng., 22(2), 173-177 (2011). 

  7. Park, N., Bae, J., Lee, C. H., and Jeon, J. K., "Extrusion of Pellet-type Adsorbents Employed with Alum Sludge and H 2 S Removal Performance," Clean Technol., 19(2), 121-127 (2013). 

  8. Bae, J., Park, N., Lee, C. H., Park, Y. K., and Jeon, J. K., "Adsorption Performance of Basic Gas over Pellet-type Adsorbents Prepared from Water Treatment Sludge," Korean Chem. Eng. Res., 51(3), 352-357 (2013). 

  9. Bae, J., Park, N., Kim, G., Lee, C. H., Park, Y. K., and Jeon, J. K., "Characteristics of Pellet-type Adsorbents Prepared from Water Treatment Sludge and Their Effect on Trimethylamine Removal," Korean. J. Chem. Eng., 31(4), 624-629 (2014). 

  10. Park, Y. S., Lee, J. Y., and Sohn, M. J., "Regeneration Characteristics of Waste Adsorbent Made by Drinking Water Treatment Sludge" J. Korea Soc. Waste Manag., 36(5), 421-427 (2019). 

  11. Ko, Y. S., and Ahn, H. 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Tantalum Silicalite Molecular Sieves with MFI Structure," Microporous and Mesoporous Materials, 30(2-3), 283-291 (1999). 

  12. Ko, Y. S., and Ahn, H. S., "Isomorphous Substitution of Fe 3+ in Zeolite LTL," Microporous Materials, 9(3-4), 131-140 (1997). 

  13. Ko, Y. S., and Ahn, H. S., "Characterization of Zeolite L from Na 2 O-K 2 O-Al 2 O 3 -SiO 2 -H 2 O System," Powder Technology, 145(1), 10-19 (2004). 

  14. Ko, Y. S., and Ahn, H. S., "Hydrothermal Synthesis of Zeolite L in a Na + /K + Mixed Alkali System," Korean J. Chem. Eng., 25(6), 1546-1552 (2008). 

  15. Ko, Y. S., and Ahn, H. 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Zeolite L," Bull. Korean Chem. Soc., 20(2), 173-178 (1999). 

  16. Ko, Y. S., Jang, H. T. and Ahn, H. S., "Hydrothermal Synthesis of Niobium Silicalite Molecular Sieves with MFI Structure," J. Ind. Eng. Chem., 13(5), 704-771 (2007). 

  17. Chung, K. H., and Park, B. G., "Esterification of Oleic Acid in Soybean Oil on Zeolite Catalysts with Different Acidity," J. Ind. Eng. Chem., 15(3), 388-392 (2009). 

  18. Shahed, G. V., Taherian, Z., Khataee, A., Keshkani, F., and Orooji, Y., "Samarium-impregnated Nickel Catalysts over SBA-15 in Steam Reforming of CH4 Process," J. Ind. Eng. Chem., 86, 73-80 (2020). 

  19. Ko, Y. S., and Ahn, H. S., "Characterization and Catalytic Properties of Titanium Silicalite-1 Catalyst," Korean J. Chem. Eng., 15(2), 182-191 (1998). 

  20. Ko, Y. S., and Ahn, H. S.,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Zirconium Silicalite-1," Korean J. Chem. Eng., 15(4), 423-428 (1998). 

  21. Talebian-Kiakalaieh, A., and Tarighi, S., "Synthesis of hierarchical Y and ZSM-5 zeolites using post-treatment approach to maximize catalytic cracking performance," J. Ind. Eng. Chem., 88, 167-177 (2020). 

  22. Kim, G., Park, N., Bae, J., Jeon, J. K., and Lee, C. H., "Adsorption Kinetics Constants for Basic Odorant on Pellet-type Adsorbents Recycled from Water-treatment Sludge," Appl. Chem. Eng., 25(2), 167-173 (2014). 

  23. Ghim, Y. S., "Gasification and Pyrolysis Technology for the Treatment of Plastics Waste", J. Ind. Eng. Chem., 3(2), 201-206 (1992). 

  24. Lee, K. J., Han, S. S., Cho, C. H., and Lee, H. J., "A Study on Reaction Mechanism of Crystallization of Zeolite A and Y," HWAHAK KONGHAK, 29(3), 245-252 (199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