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스캐폴딩이 창의적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바운더리 오브젝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Scaffolding on Creative Collaborative Performanc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Boundary Objects -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 2020년, pp.1 - 15  

신현선 (이화여대 경영학부) ,  김효근 (이화여대 경영학부) ,  나윤빈 (고려사이버대학교 문화예술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업 내 협업 프로젝트에서 창의적 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팀의 협업 촉진을 위해 조직학습 커뮤니케이션의 중요 요인 중 하나인 스캐폴딩과 더불어 협업도구이자 매개체인 바운더리 오브젝트 변수가 성과에 영향을 끼치는지 확인하였다. 203명의 협업프로젝트를 경험한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집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을 거쳐 3단계 매개효과 분석(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즉, 스캐폴딩이 창의적 협업 성과에 끼치는 영향관계에서 바운더리 오브젝트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인지적 스캐폴딩이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바운더리 오브젝트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으나, 정서적 스캐폴딩은 창의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완전매개효과가 있었고 유효성 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도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감안하면 조직학습 차원에서 스캐폴딩이 유용하며, 바운더리 오브젝트 역시 프로젝트의 협업을 촉진하는 매개체로써 일부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 비전을 공유하고 팀원 간 개인적 친분을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creative performance in corporate collaboration projects. Specifically to facilitate team collaboration, we identified that scaffolding,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organizational learning communication, and the Boundary Objects, which are ...

주제어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스캐폴딩이 창의적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바운더리 오브젝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모형 구성과 관련, 서로 다른 기능을 담당하고 있는 팀 사이에 협업이 이루어질 때 팀원들 사이에는 상호작용이 일어나게 된다.
  • 결국 각기 다른 지식과 수준을 연결하는데 도움을 줄수 있는 도구의 활용이 커뮤니케이션을 더욱 촉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지식의 종류와 수준이 서로 다른 팀들 간 조직 학습을 위해서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을 스캐폴딩,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질 때 활용하게 되는 도구를 바운더리 오브젝트로 보고 이들 변수의 창의적 협업 성과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스캐폴딩이 창의적 협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바운더리 오브젝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 바운더리 오브젝트는 서로의 지식, 언어, 맥락, 문화가 다른 팀 간에 상호작용이 이루어질 때 언어로 표현되지 않는 부분을 보충해주는 지식 표상화 도구로 정의된다[4].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바운더리 오브젝트를 각자 속한 팀이 가지고 있는 지식을 보다 명료하고 이해하기 쉽게 눈에 보이는 형태로 해석하고 표현하여 서로의 관점에 대해 소통하고 조정하는 모든 도구로정의하고자 한다. 바운더리 오브젝트의 구성요인과 측정문항은 바운더리 오브젝트 정의 모델을 바탕으로 구성하였다[10].

가설 설정

  • H1 : 인지적 스캐폴딩이 창의적 협업 성과(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바운더리 오브젝트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 H2 : 인지적 스캐폴딩이 창의적 협업 성과(결과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바운더리 오브젝트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 H3 : 정서적 스캐폴딩이 창의적 협업 성과(유효성)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바운더리 오브젝트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 H4 : 정서적 스캐폴딩이 창의적 협업 성과(결과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바운더리 오브젝트가 매개효과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지식이란 무엇인가? 협업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내의 다양한 지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수준을 가진 조직구성원들 사이에서 원활한 조직지식의 생성과 전달, 습득과 활용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이 최대한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될 때 협업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2]. 조직지식은 개인의 지식이 사회적 연결을 통해서 새로운 지식으로 발전하는 것을 의미하는데[3], 조직지식의 연결은 조직 학습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일련의 지식을 획득하고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프로세스를 말한다[2]. 조직 학습을 통해서 각기 다른 조직원들은 서로 다른 지식을 전달하고 지식을 함께 해석하여 공유된 의미를 가지고[4], 이전에 고수하던 방법을 조직에 알맞은 새로운 형태의 조직 지식으로 변환 시키는 작업을 하게 된다[5].
스캐폴딩을 사회적 상호작용이자 조력활동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스캐폴딩은 학습자에게 적절한 수준의 안내나 도움을 제공하여 인지적 발달을 돕는 역할을 하는 체계로서[6], 지식수준이 다른 대상들 간의 학습을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이다. 즉, 지식수준이 높은 대상이 지식수준이 낮은 대상에게 언어적 도움을 줌으로써 지식수준을 높일 수 있게 돕는다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지식을 받아들이는 수혜자의 상황과 수준이 반영되어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순한 지식 전달 과정이 아닌 사회적 상호작용이자 조력활동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단순히 교육과정에서뿐만 아니라 기업에서도 적용된다[8].
협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은 어떤 환경이 조성되어야하는가? 협업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조직 내의 다양한 지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수준을 가진 조직구성원들 사이에서 원활한 조직지식의 생성과 전달, 습득과 활용을 위한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이 최대한 잘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될 때 협업이 순조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2]. 조직지식은 개인의 지식이 사회적 연결을 통해서 새로운 지식으로 발전하는 것을 의미하는데[3], 조직지식의 연결은 조직 학습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일련의 지식을 획득하고 행동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프로세스를 말한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P. Schepers and P. T. Van den Berg, "Social factors of work-environment creativity,"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21, No.3, pp.407-428, 2007. 

  2. C. M. Savelsbergh, B. L. van der Heijden, and R. F. Poell, "The development and empirical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measurement instrument for team learning behaviors," Small Group Research. 2009. 

  3. D. Swartz, Culture and power. The sociology of Pierre Bourdieu,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7. 

  4. E. Wenger, Communities of practice: Learning, meaning, and ident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8. 

  5. P. R. Carlile, "A pragmatic view of knowledge and boundaries: Boundary objects in new product development," Organization science, Vol.13, No.4, pp.442-455, 2002. 

  6. D. Wood, J. S. Bruner, and G. Ross, "The role of tutoring in problem solving,"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Vol.17, No.2, pp.89-100, 1976. 

  7. 송선희, "Vygotsky 의 비계설정(scaffolding) 이론에 대한 고찰," 교육방법연구, 제15권, pp.77-93, 2003. 

  8. S. M. Land and C. Zembal-Saul, "Scaffolding reflection and articulation of scientific explanations in a data-rich, project-based learning environment: An investigation of progress portfolio,"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and Development, Vol.51, No.4, pp.65-84, 2003. 

  9. R. Boutellier, O. Gassmann, H. Macho, and M. Roux, "Management of dispersed product development teams: The role of information technologies," R&D Management, Vol.28, No.1, pp.13-25, 1998. 

  10. A. Fong, R. Valerdi, and J. Srinivasan, "Boundary objects as a framework to understand the role of systems integrators," In Systems Research Forum,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mpany, Vol.2, No.1, pp.11-18, 2007. 

  11. D. Van Knippenberg, J. F. Dawson, M. A. West, and A. C. Homan, "Diversity faultlines, shared objectives, and top management team performance," human relations, Vol.64, No.3, pp.307-336, 2011. 

  12. A. L. Brown, A. S. Palincsar, and B. B. Armbruster, "Instructing comprehension-fostering activities in interactive learning situations," Learning and comprehension of text, pp.255-286, 1984. 

  13. Judith A. Langer and Arthur N. Applebee, "Reading and Writing Instruction: Toward a Theory of Teaching and Learning," Stanford University, Vol.13, No.1, pp.171-194, 1986. 

  14. L. Vygotsky,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development," Reading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Vol.23, No.3, pp.34-41, 1978. 

  15. L. E. Berk and A. Winsler,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Vygotsk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NAEYC Research into Practice Series, Vol.7,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509 16th Street, NW, Washington, DC 20036-1426 (NAEYC catalog# 146), 1995. 

  16. S. E. Wolf and T. Brush, "Using the Big Six Information Skills as a Metacognitive Scaffold To Solve Information Based Problems," School Library Media Research, Vol.6, 2000. 

  17. L. R. Roehler and D. J. Cantlon, "Scaffolding: A powerful tool in social constructivist classrooms," Scaffolding student learning: Instructional approaches and issues, 1. 1997. 

  18. K. D. Simons and J. D. Klein, "The impact of scaffolding and student achievement levels in a problem-based learning environment," Instructional science, Vol.35, No.1, pp.41-72, 2007. 

  19. J. Tudge, Vygotsky,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and peer collaboration: Implications for classroom practi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20. G. Spinelli, M. Perry, and K. O'Hara, "Understanding complex cognitive systems: the role of space in the organisation of collaborative work," Cognition, Technology & Work, Vol.7, No.2, pp.111-118, 2005. 

  21. 이미정, 쓰기 상호평가적 협의에서 또래간 비계설정의 양상,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22. S. L. Star and J. R. Griesemer, "Institutional ecology, translations' and boundary objects: Amateurs and professionals in Berkeley's Museum of Vertebrate Zoology, 1907-39," Social studies of science, Vol.19, No.3, pp.387-420, 1989. 

  23. B. A. Bechky, "Sharing meaning across occupational communities: The transformation of understanding on a production floor," Organization science, Vol.14, No.3, pp.312-330, 2003. 

  24. S. Leigh Star, "This is not a boundary object: Reflections on the origin of a concept,"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35, No.5, pp.601-617, 2010. 

  25. J. S. Brown and P. Duguid, "Organizing knowledge,"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40, No.3, pp.90-111, 1998. 

  26. N. Levina and E. Vaast, "The emergence of boundary spanning competence in practice: implications for implementation and use of information systems," MIS quarterly, Vol.29, No.2, pp.335-363, 2005. 

  27. Mary Kathryn Henderson, "Flexible Sketches and Inflexible Data Bases: Visual Communication, Conscription Devices, and Boundary Objects in Design Engineering," Science, Technology & Human Values, Vol.16, No.4, pp.448-473, 1991. 

  28. Gunaratne, Junius, et al. "Using Evolutionary Prototypes to Formalize Product Requirements," Siemens Corporate Research, NJ, 2004. 

  29. N. J. Fox, "Boundary objects, social meanings and the success of new technologies," Sociology, Vol.45, No.1, pp.70-85, 2011. 

  30. R. A. Cooke and J. L. Szumal, "The impact of group interaction styles on problem-solving effectiveness," The Journal of Applied Behavioral Science, Vol.30, No.4, pp.415-437, 1994. 

  31. L. K. Michaelsen, W. E. Watson, and R. H. Black, "A realistic test of individual versus group consensus decision making,"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4, No.5, p.834, 1989. 

  32. M. S. Ackerman and C. Halverson, "Organizational memory: processes, boundary objects, and trajectories," Proceedings of the 32nd Annual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s Sciences, HICSS-32, 1999. 

  33. P. Chelladurai and H. A. Riemer, "A Classification of The Facets of Athlete Satisfaction," Journal of Sport Management, Vol.11, pp.133-159, 1997. 

  34. 김한주, 황윤섭, "연구개발 특성이 기업 연구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국제화된 한국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통상정보연구, 제9권, 제4호, pp.395-413, 2007. 

  35. Mihaly Csikszentmihalyi, 창의성의 즐거움, 노혜숙 옮김, 북로드, 1996. 

  36. D. M. Harrington, "The ecology of human creativity: A psychological perspective," Sage Publications, Inc. Vol.115, pp.143-169, 1990. 

  37. C. A. Mockros and M. Csikszentmihalyi, "The social construction of creative lives. In The Systems Model of Creativity," Springer Netherlands, pp.127-160, 2014. 

  38. S. Taggar, "Individual creativity and group ability to utilize individual creative resources: A multilevel model,"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5, No.2, pp.315-330, 2002. 

  39. C. K. D. Dreu, "Team innovation and team effectiveness: The importance of minority dissent and reflexivity," European Journal of Work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11, No.3, pp.285-298, 2002. 

  40. R. C. Hanke, Team creativity: A process model, Smeal College of Business, 2006. 

  41. T. Meijer, C. Reezigt, van der Bij, M. Schilder, and H. Broekema, Interrelations between team flexibility, team creativity and project success: A multi-stakeholder approach, University of Groningen. 2012. 

  42. A. D. Ancona and D. F. Caldwell, "Bridging the boundary: External activity and performance in organizational team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 pp.634-665, 1992. 

  43. M. A. Campion, E. M. Papper, and G. J. Medsker, "Relations between work team characteristics and effectiveness: A replication and extension," Personnel psychology, Vol.49, No.2, pp.429-452, 1996. 

  44. R. M. Stock, "Interorganizational teams as boundary spanners between supplier and customer companies,"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34, No.4, pp.588-599, 2006. 

  45. T. M. Amabile,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10, No.1, pp.123-167, 1998. 

  46. G. R. Oldham and A. Cummings, "Employee creativity: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t work,"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9, No.3, pp.607-634, 1996. 

  47. N. Madjar, G. R. Oldham, and M. G. Pratt, "There's no place like home? The contributions of work and nonwork creativity support to employees' creative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5, No.4, pp.757-767, 2002. 

  48. D. J. Ferreira, and G. L. dos Santos, "Scaffolding online discourse in collaborative ill-structured problem-solving for innovation," Informatics in Education-An International Journal, Vol.8, No.2, pp.173-190, 2009. 

  49. D. Schon, The reflective practitioner, Basic Books, 1983. 

  50. M. Ragan, Building better human service systems: Integrating services for income support and related programs, The Institute, 2003.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