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증장애 가족의 돌봄과 미래기대
Care and future expectations of families with severe disabilities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18 no.6, 2020년, pp.139 - 146  

신경안 (동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증장애인의 돌봄은 비장애 가족에 비해 전 생애주기에 돌봄이 필요하다. 이런 이유로 중증장애 가족의 돌봄자는 일상적인 스트레스는 물론 가족 전체에 부정적인 감정을 가질 우려가 높다. 장애가족 역시 장애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생활에서 비 장애자녀나 부부간의 어려움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다. 특히 우리나라의 급격한 고령화는 장애 돌봄자의 노령화와 함께 노인장애인의 삶에도 영향을 미친다.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장애인 돌봄자의 과거와 현재 경험을 통한 현실적 지원에 대한 대안을 탐색하였으며, 미래에 대한 희망과 기대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장애 영유아에 대한 장애확인 후 지원체계나 제도에 대한 정보전달이 등급판정 기관에서부터 제공. 둘째, 장애유형이나 개별특성에 적합한 '맞춤형 돌봄지원'의 사회, 정치, 제도, 경제적 차원에서의 제공. 셋째, 비장애 자녀대상의 프로그램의 제공과 장애인을 포함하거나 혹은 장애가족만을 위한 힐링 프로그램의 제공. 넷째, 성인장애인을 위한 휴식과 쉼을 제공하는 공간과 프로그램의 제공. 다섯째, 장애인 노화연령을 반영한 노인장기요양제도 적용과 장애인 커뮤니티케어의 제도화이다. 이러한 대안제시를 통해 연구는 성인과 노인 장애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논의점의 제시에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re of people with severe disabilities requires care throughout their life cycle compared to non-disabled families. For this reason, carers of severely handicapped families are highly likely to have negative feelings throughout the family as well as daily stress. Disabled families also have a hig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주로 일상생활이나 사회활동에 제약을 가지는 중증의 성인 발달장애인과 뇌병변 장애인의 주된 돌봄자이다. 연구 참여자의 선정은 장애인 서비스를 지 원하는 기관을 통해 추천을 의뢰하는 의도적 표집추출 (Purposive Sampling)을 활용하였다.
  • 본 연구는 중증장애인을 직접 돌보는 장애 가족을 대상으로 돌봄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어려움, 장애인의 미래에 대한기대를 확인하고자 실시된 연구이다. 연구는 자기기입의 양적조사와 달리 과거와 현재, 미래에 대한 경험과 기대를 자유롭게 진술하도록 한 후 이를 범주화하였다.
  • 이러한 연구진행은 장애가족이 가진 과거와 현재의 감정을 확인하고, 다양한 영역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범 주화하여 긍정적인 미래를 위한 대안제시를 장애인가 족의 시각에서 접근하고자 함이다.
  • 연구에서는 중증장애 가족의 돌봄 경험과 미래욕구 에 대한 주된 돌봄자의 진술을 통해 다음과 같이 어려 움의 유형이 분류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장애인과 돌봄자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논의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A: 그나마 요즘인 것 같아요. 활동지원 제도로 돌봐 주는 상황에서 조금씩 벗어나는 게.
  • A: 아침에 깨고 싶지 않다는 생각은 많이 했어요. 표 현은 안 했지만 마음속으로 나쁜 생각을 많이 했 던 것 같아요.
  • A: 처음에는 깜깜했죠. 심정은 죽고 싶었죠.
  • A: 키울 땐 제 생활이 없었죠. 관계도 다 끊기고.
  • B: 건강 챙기는 거하고, 노후 자금 좀 하려고 노력을 하죠. 많이 힘들지만.
  • B: 나만 자꾸 불러요. 같이 있어야 안정되고.
  • B: 남자애라 형을 좋아해요. 돌보는 건 형제자매라도 부탁하는 것도 한두 번이고, 아이들도 생활이 있 으니까.
  • B: 모든 일을 전적으로 제가 도와줘야 해요. 항상 누 군가에게 의지해야 하고, 어떨 때는 이러지 않으 면 힘들지 않을 건데 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 B: 부모회 엄마들이죠.
  • B: 생각이 없고, 절망, 하늘이 무너지는 느낌.
  • B: 작년에 혼자 여행을 간 적이 있어요. 3일 동안.
  • B: 혼자 생활을 못해서, 활동보조사가 케어하면 가능 하지 않을까 생각을. 그래야 가능하지 않을까요.
  • C: 그땐 가망 없구나, 죽는 게 답이구나 싶었어요.
  • C: 다쳐도 표현 못하고 할 때 마음이 아파요. 내가 없을 때는 어떻게 하나 하면 마음이 아프죠.
  • C: 연금보험 열심히 들고 있죠.
  • C: 조금이라도 아이가 성장했다면 그것만으로도 감 사하고, 덩치는 커도 정신연령이 낮아서 그런가 그냥 예뻐요. 같이 여행 가는 것도 기쁘더라고요.
  • C: 해외여행 가고 싶어요. 해외로 여행을 한 번도 못 가봤거든요
  • D: 독립해서 살았으면 하는데, 하면 좋겠지만 안 될 거 같아요.
  • D: 아마도 시설에 가 있겠죠. 끝까지 제가 돌보려고 하지만, 힘이 없거나 노인이 되면 시설 보내겠죠.
  • D: 저하고는 괜찮은데 형하고는 데면데면.
  • E: 노후는 무슨, 얘들 위해서 저축이나 해야죠..
  • E: 복지관 나갈 때 다른 사람 꼬임에 넘어가 돈을 생각 없이 막 쓰고 그게 안타까웠어요. 이용당하고.
  • E: 장애라고는 생각 못 했는데, 큰일 났구나. 하늘이 무너지는 심정이었죠.
  • 두 번째로 돌봄 자체에 대한 부담과 경제적 부담감 이다. 돌봄자는 돌봄 과정에서 비장애아동과는 달리 의 사표현의 어려움이나 작은 소리, 환경변화에 부적응 등의 다른 특성으로 인해 돌봄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다.
  • 이에 본 연구는 장애 돌봄자의 과거, 현재, 미래에 대한 감정과 기대를 통해 바람직한 미래가 무엇인지를 확 인하는 생애사를 중심으로 질적연구방법론을 실시하면 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장애가족은 장애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 둘째, 장애가족은 장애 인에게 어떤 영향을 받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2014). International Symposium on CRPD and Inclusion of the Presons with Psychosocial Disabilities. Materials published by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1-333. 

  2. K. Y. Kim. (2018). A Study on the Meaning of the Experience of Job for Employed People with Mental Disabilities. Asia Culture Academy of Incorporated Association, 9(3), 77-87. DOI : 10.22143/HSS21.9.3.7 

  3. Y. A. Kim. (2015). A Study on the good job mobility and retention of wage workers with disabilities. Unpublished docto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4. Y. R. Shin, G. M. Kim, C. Yool & D. G. Kim. (2007). Theoretical Review on the Conceptualization of Social Inclus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From Social Exclusion to Inclusion. Korean Social Welfare Studies, 65(3), 5-28. DOI : 10.20970/kasw.2013.65.3.001 

  5. J. S. Kim & K. A. Shin. (2020). The Effect of Family Cohesion of Down's Syndrome Family on Children's Independent LivinE: Focused on Mediating Effect : Mediating effect of strengthening family capacit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0(8), 213-222. DOI : 10.22156/CS4SMB.2020.10.08.213 

  6. Y. H. Kim & Y. K. Joo.(2014).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and structural relationships of the parents' irrational beliefs and depression and anxiety consciousnes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Research, 48(4), 201-222. 

  7. H. R. Jang & T. W. Um. (2019).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Par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n Developmental Disabilities, 23(3), 25-69. DOI : 10.34262/kadd.2019.23.3.49 

  8. M. Y. Cho. (2010).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Change of Korean Community Welfare: Focusing on Community Service,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26, 157-183. 

  9. S. K. Shin., Y. A. Lee & D. H. Kim. (2020). A study on the realization of community care for the developmentally disabled : Focusing on Japanese community practice, Industrial Convergence Research, 18(5), 88-96. DOI : 10.14400/JDC.2020.18.6.531 

  10. Kalish. R. (1975). Late Adulthood : Perspectives on Human Development. CA.: Cole Publishing Co. 

  11. C. U. Je & Y. Y. Choi. (2014). Feasibility of the Special Needs Trust Schemes for the protection of Persons with Severe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Jounal of Comparative Private Law, 21(3), 1139-1184. DOI : 10.22779/kadw.2017.37.37.5 

  12. S. K. Park, S. M. Kim & S. W. Lee (2018). The Effects of cultural and leisure activities on maintaining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daily-life satisfaction among adul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40, 123-149. DOI : 10.22779/kadw.2018.40.40.123 

  13. M. K. Choi, J. H. Lim & W. S. Shin. (2017).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Social Workers on the Self-Determination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Journal of Disability and Welfare, 37, 5-32. 

  14. S. O. Soo & W. I. Cho. (2008). A qualitative study on the parenting experience and quality of life of mother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Special Child Education Research, 10(3), 319-348. DOI : 10.21075/kacsn.2008.10.3.319 

  15. J. H. Choi. (1996).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to support families of infants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Thesis, 13(1), 1-16. 

  16. H. K. Yoo. (2007). A literature study on the major factors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Rehabilitation Science Research, 40(4), 19-54. 

  17. S. K. Kang. (2002).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s' attitudes, stress coping, and social support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on their life satisfaction.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14, 7-35. 

  18. K. A. Shin. (2019). Improvement Directions and Tasks for Local Welfare for Local Governments and Social Welfare Community Welfare Program in Decentralization: Focusing on Gyeonggi-do , Journal of Arts, Humanities and Social Convergence Multimedia. 9(12), 1145-1154. DOI : 10.35873/ajmahs.2019.9.12.100 

  19. J. Y. Kim & H. J. Yoon. (2013). A study of fathers' parenting experienc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pecial education, 12(3), 333-356. 

  20. K. H. Bae & Y. S. Jung. (2008).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the famil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on parenting burden, cop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Special Education Rehabilitation Science Research, 47(4), 115-137. 

  21. H. S. Lee, K. H. Ryu & K. G. Han. (2007).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mothers with disabilities. Special Child Education Research, 9(4), 271-294. 

  22. E. Kittay. (2011). The ethics of care, dependence, and disability. Ratio Juris, 24(1), 49-58. 

  23. L. Pearlin., J. Mullan., S. Semple. & M. Skaff. (1990). Caregiving and the stress process: An overview of concepts and their measures. The Gerontologist, 30(5), 583-594. 

  24. L. Heflin & R. Simpson. (1998). Interventions for Children and Youth with Autism. Focus Autism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13(4), 194-21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