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선 치료 분야의 선량 측정을 위한 반도체 화합물의 적용가능성 연구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Semiconductor Compounds for Dose Measurement in Electron Beam Treatment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14 no.1, 2020년, pp.1 - 6  

양승우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 ,  한무재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 ,  신요한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 ,  정재훈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방사선종양학과) ,  최윤선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방사선 종양학과) ,  조흥래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방사선 종양학과) ,  박성광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방사선 종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전자선 치료에서 전자선 선량 측정 시 교차교정이 필요한 기존 평행평판형이온함을 대체하고자 하였다. 광도전성 반도체 화합물 HgI2를 사용하여 선량계로 제작하였으며, 선형가속기에서 6, 9, 12 MeV 전자선에 대한 HgI2 선량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기존 선량계와의 대체가능성과 전자선 선량계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전자선 선량계 개발의 기초연구로써 활용하고자 하였다. 재현성 평가결과, RSD는 6, 9, 12 MeV 에너지에서 각각 0.4246%, 0.5054%, 0.8640%로 나타나 출력 신호가 안정적인 것을 나타내었다. 선형성 평가결과, 직선형 추세선의 신뢰도 지표 R2값은 6 MeV에서 0.9999, 9 MeV에서 0.9996, 12 MeV에서 0.9997로 나타나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HgI2에 출력 신호가 비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HgI2 선량계는 전자선 측정 적용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판단되며, 전자선 검출에 대한 기초연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replace the existing plane parallel ionization chamber, which requires cross-calibration in electron beam treatment. The semiconductor compounds HgI2 was fabricated as detector, and the characteristics of HgI2 detector for the 6, 9 and 12 MeV electron beam was analy...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전자선은 산란에 따른 영향이 커서 정확한 측정이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고에너지 전자선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비교적 민감도가 우수한 HgI2 선량계에 대한 평가를 수행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 선량계를 선형 가속기에서 조사되는 저 에너지 및 고에너지 전자선에 대한 반응특성을 평가함으로써 해당 물질의 전자선 검출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교차교정이 필요한 기존 평행평판형이온함의 대체가능성과 전자선 선량계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HgI2 물질을 사용하여 선량계를 제작하였고, 이에 전기적 특성에 대한 신뢰도를 선형성과 재현성의 지표로 평가하여, 교차교정 없이 저에너지 고에너지 전자선 출력의 정확한 평가가 가능한 선량계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체 제작한 HgI2 선량계를 선형 가속기에서 조사되는 저 에너지 및 고에너지 전자선에 대한 반응특성을 평가함으로써 해당 물질의 전자선 검출에 대한 기초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교차교정이 필요한 기존 평행평판형이온함의 대체가능성과 전자선 선량계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 [9,10] 하지만 전 자선의 경우, 환자 위치, gentry 구성으로부터 발생 하는 산란에 따른 선량 오차가 크게 발생 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광도전성 반도체 화합물을 이용한 전자선 선량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자침전법(Particle-in Binder; PIB)으로 제작이 용이한 광도전성 반도체 화합물인 HgI2를 선량계로 제작하고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F. M. Khan, J. P. Gibbons, Khan's The Physics of Radiation Therapy, 5th ed, Wolters Kluwer, pp 264-274, 2014. 

  2. S. F. Kry, S. A. Smith, R. Weathers, M. Stovall "Skin dose during radiotherapy, a summary and general estimation technique," Journal of Applied Clinical Medical Physics, Vol. 13, No. 3, pp. 2012. 

  3. IAEA TRS-398 "Absorbed Dose Determination in External Beam Radiotherapy: An International Code of Practice for Dosimetry based on Standards of Absorbed dose to Water," Technical Report Series No. 398, Vienna, 2000. 

  4. AAPM Report 67, AAPM's TG-51 "Radiation Therapy Committee Task Group No. 51: Protocol for Clinical Dosimetry of High-Energy Photon and Electron Beams," Medical Physics, Vol. 26, pp. 1847-1870, 1999. 

  5. J. E. Rah, D. O. Shin, S. H. Park, H. J. Jeong, U. J. Hwang, "Study on Absorbed Dose Determination of Electron Beam Quality for Cross-calibration with Plane-parallel Ionization Chamber," Korean Society of Medical Physics, Vol. 20, No. 2, pp. 97-105, 2009. 

  6. D. H. Jeong, J. O Lee, "Determination of Quality Correction Factors for a Plane-Parallel Chamber in High Energy Electron Beams using Monte Carlo Calculation," Journal of Radiolog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31, No. 1, pp. 89-95, 2008. 

  7. M. Y. Kim, D. J. Rhee, Y. M. Moon, D. H. Jeong, "Determination of Beam Quality Correction Factors for the PTW-Markus Chamber for Electron Beam Qualities $R_{50}$ 1.0 and 1.4 $g/cm^2$ ," progress in medical, Vol. 26, No. 3, pp. 178-184, 2015. 

  8. G. W. Jung, J. W. Shin, K. M. Oh, S. K. Park, J. Y. Kim, J. K. Park, S. G. Nam, "The Feasibility Study of photoconductor materials for the use of a dosimeter in Radio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7, No. 1, pp. 81-84, 2013. 

  9. S. Gowda, "The mass attenuation coefficients, effective atomic cross sections, effective atomic numbers and electron densities of some halides," waset journal of pioneering Medical sciences Vol. 10, pp. 392, 2016. 

  10. K. M. Oh, J. S. Kim, J. W. Shin, S. U. Heo, G. S. Cho, D, k. Kim, J. G. Park, S. H. Nam, "Improvement in pixel signal uniformity of polycrystalline mercuric iodide films for digital X-ray imaging," Japanese Journal of Applied Physics, Vol. 53, No. 3, pp. e031201, 2014. 

  11. L. A. R. da Rosa, D. F. Regulla, U. A. Fill, "Reproducibility study of TLD-100 micro-cubes at radiotherapy dose level," Applied Radiation and Isotopes, Vol. 50, No. 3, pp. 573-577, 1999. 

  12. Y. J. Heo, K. T. Kim, M. J. Han, C. W. Moon, J. E. Kim, J. K. Park, S. K. Park, "Development of a stable and sensitive semiconductor detector by using a mixture of lead(II) iodide and lead monoxide for NDT radiation dose detection," Journal of Instrumentation, Vol. 13, C03023, 2018. 

  13. M. J. Han, J. Y. H. Shin, J. H. Jung, K. T. Kim, Y. J. Heo, H. L. Cho, S. K. Park, "A study of Curved Dosimeter for Flattening Filter Free Beam Quality Assurance Evaluation using Curved Dosimeter in Radiotherap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13, No. 1, pp. 119-124, 2019. 

  14. Y. H. Shin, M. J. Han, J. H. Jung, K. T. Kim, Y. J. Heo, D. H. Lee, H. L. Cho, S. K. Park, "The Study on Applicability of Semi-conductive Compound for Radioactive Source Tracing Dosimeter in NDT Fie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ol. 13, No. 1, pp. 39-44,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