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펄스전류활성 소결 공정을 이용한 Ni 함량변화에 따른 WC 소재의 특성평가
Characteristic Evaluation of WC Hard Materials According to Ni Content Variation by a Pulsed Current Activated Sintering Process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30 no.12, 2020년, pp.672 - 677  

박현국 (한국생산기술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pensive PCBN or ceramic cutting tools are used for the processing of difficult-to-cut materials such as Ti and Ni alloy materials. These tools have a problem of breaking easily due to their high hardness but low fracture toughness. To solve this problem, cutting tools that form various coating la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실험 순서로는 1단계에서 챔버 내에 혼합된 분말이 충진된 흑연 몰드를 장입한 후 6Pa의 진공 상태로 만들어 주며, 이때 60 MPa의 압력을 동시에 인가하였다. 2단계로는 흑연 펀치에 직류 전류를 흘려주어 소결을 진행 하였으며, 이때 수축 길이의 변화를 관찰하면서 실험을 종료 하였다. 온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파이로 메타를 이용하여 흑연 다이 중앙부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WC는 불규칙한 각형이며, Nie 불규칙한 구형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1의 초기 원료분말을 수평형 볼 밀링 공정으로 24시간 동안 250 RPM으로 혼합하였으며, Ni 함량은 WC 소재 100 기준으로 5, 10 및 15 중량비(wt%)로 첨가하였다. 비중이 다른 WC와 Ni 소재의 균일 혼합을 위해 지르코니아 볼(6 및 10 mmØ)을 사용하였으며, 분말과 볼의 비율은 1:10의 중량비로 하였다.
  • WC와 Ni 분말을 수평형 볼 밀링을 이용하여 Ni 함량변화에 따라 WC-5, 10 및 15wt%Ni 분말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분말을 펄스전류활성 소결법을 이용하여 60 MPa의 소결압력으로 600oC/min으로 2분 이내의 짧은 시간에 제조하였다.
  • 측정하였다. 또한 소결 후의 상변화 관찰을 위하여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비커스 경도계를 이용하여 30 kg·f 하중으로 15초간 유지하여 시편의 압흔 자국을 이용한 기계적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 1의 초기 원료분말을 수평형 볼 밀링 공정으로 24시간 동안 250 RPM으로 혼합하였으며, Ni 함량은 WC 소재 100 기준으로 5, 10 및 15 중량비(wt%)로 첨가하였다. 비중이 다른 WC와 Ni 소재의 균일 혼합을 위해 지르코니아 볼(6 및 10 mmØ)을 사용하였으며, 분말과 볼의 비율은 1:10의 중량비로 하였다. 또한 알코올을 첨가하였으며, 이때 분말과 알코올의 비율 역시 1:10의 중량비로 하였다.
  • 수평형 볼 밀링 공정으로 제조된 혼합분말을 흑연 다이(외경 30mm, 내경 10mm, 높이 40mm)에 충진 후상하부를 흑연 펀치로 막아주었으며, 밀봉된 흑연 다이를 펄스전류활성 소결 장치에 장착 시켰다. 펄스전류활성 소결 장치는 최대 1,000A의 직류 전류를 사용 할수 있으며(pulse 12 ms on time and 2 ms off time), 최대 10 ton의 압력을 가할 수 있다.
  • 2단계로는 흑연 펀치에 직류 전류를 흘려주어 소결을 진행 하였으며, 이때 수축 길이의 변화를 관찰하면서 실험을 종료 하였다. 온도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파이로 메타를 이용하여 흑연 다이 중앙부의 표면 온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승온속도는 600oC/min으로 하여 약 2분간 가열하였으며, 목적 온도인 1, 200oC에 도달 시 장비의 전원을 off 시킨 후 챔버 내에서 냉각 시키는 것으로 소결 진행을 마무리 하였다.
  • 5-7) 이러한 방법으로 제조시 외부간접가열 방식으로 인한 소결시간의 증가에 따른 비정상 조대 결정립 성장과 내외부 물성 불균일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급속소결법 중 하나인 펄스전류활성소결공정을 이용하여 2분 이내의 단시간에 WC-Ni 소재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소결체에 대한 물리적/기계적 특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 제조된 분말을 펄스전류활성 소결법을 이용하여 60 MPa의 소결압력으로 600oC/min으로 2분 이내의 짧은 시간에 제조하였다. 제조된 소결체는 이론밀도에 가까운 99.
  • 표면 경면 연마된 WC-5, 10 및 15 wt%Ni 소결체를 비커스 경도계를 이용하여 30kgf의 하중으로 15초간 유지하여 생성된 압흔 및 전파된 크랙의 길이를 측정하여 Antis 식으로 파괴인성을 측정하였다.9)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을 진행하기 위하여 출발 원료는 텅스텐카바이드(WC)(대구텍, 1.0~1.5µm, 순도 99.95%)와 니켈(Ni) (RND Korea, 5~10µm, 순도 99.5%)의 분말을 사용하였다. Fig.

이론/모형

  • 제조된 시편의 밀도는 아르키메데스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소결체의 표면을 관찰하기 위하여 무라카미 부식법[5g Fe3(CN)6, 5g NaOH 및 50mL의 증류수]을 이용하여 약 35~40초간 표면을 부식 시켜 주사전자 현미경을 이용하여 표면을 관찰 후 EBSD (electron backscatter diffraction)를 이용하여 결정방위 및 결정립크기를 측정하였다. 또한 소결 후의 상변화 관찰을 위하여 X선 회절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비커스 경도계를 이용하여 30 kg·f 하중으로 15초간 유지하여 시편의 압흔 자국을 이용한 기계적 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J. H. Lee, I. H. Oh, J. H. Jang, S. K. Hong and H. K. Park, J. Alloys Compd., 786, 1 (2019). 

  2. J. H. Lee, H. K. Park, J. H. Jang and I. H. Oh, Met. Mater. Int., 25, 268 (2019). 

  3. J. H. Kim, J. H. Lee, J. H. Jang, I. H. Oh, S. K. Hong and H. K. Park, Korean J. Met. Mater., 58, 533 (2020). 

  4. J. H. Kim, I. H. Oh, J. H. Lee, S. K. Hong and H. K. Park,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6, 1 (2019). 

  5. H. K. Park, J. H. Lee, J. H. Jang and I. H. Oh, J Korean J. Met. Mater., 57, 304 (2019). 

  6. H. C. Kim, Ph. D. Thesis (in Korean), p.15-79, Jeonbuk University, Jeonbuk (2005). 

  7. H. C. Kim, I. J. Shon, I. K. Jung and I. Y. Ko, Met. Mater. Int., 12, 393 (2006). 

  8. J. Garcia, V. C. Cipres, A. Blomqvist and B. Kaplan, Int. J. Refract. Met. Hard Mater., 80, 40 (2019). 

  9. G. R. Anstis, P. Chantikul, B. R. Lawn and D. B. Marshall, J. Am. Ceram. Soc., 64, 533 (1981). 

  10. I. J. Shon, I. K. Jeong, I. Y. Ko, J. M. Doh and K. D. Woo, Ceram. Int., 35, 339 (2009). 

  11. E. A. Almond and B. Roebuck, Mater. Sci. Eng., A, 105-106, 237 (198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