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교육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학생의 특성
Features of Students Moving for University Edu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2, 2020년, pp.95 - 101  

한송이 (세명대학교 교양대학) ,  배상훈 (성균관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을 위해 입학 단계에서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학생들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8년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 자료를 분석하였다. 교차 분석(카이제곱 검정)과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 지역 학생들은 서울, 경인, 지방 등 다양한 지역으로 이동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지만, 지방 출신 학생의 경우 낮은 비율의 학생들이 서울 지역 대학으로 이동하고 있었다. 또한, 대학교육을 위해 서울에서 지방으로, 지방에서 서울 지역으로 이동하는 학생 집단이 사회경제적 배경, 고교 유형과 성취 수준, 진로 성숙 수준, 대학몰입 정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중심의 대학 서열화 구조를 극복하고 학생 구성의 다양성을 확보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고 지역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정부가 체계적인 지원을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tures of students moving to other areas for university education in entrance stage. 2018 K-NSSE data were analyzed, and Chi-square test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many students in Seoul area moved to various ar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대학교육을 위해 서울 지역에서 지방으로, 지방에서 서울로 이동하는 학생들이 갖는 인구 사회학적 배경, 고교 유형과 성취 수준, 진로 성숙도, 대학에 대한 소속감과 부모 인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대학 진학 단계에서, 출신 지역에 남은 학생 집단과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 학생 집단을 비교함으로써 어떠한 학생들이 지역을 넘어 이동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특히 서울 지역과 지방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학생 이동이 그러할 것이다. 본 연구는 대학교육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학생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서울 지역에서 지방으로, 지방에서 서울 지역으로 이동하는 학생들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학교육을 위해 서울 지역에서 지방으로, 지방에서 서울로 이동하는 학생들이 갖는 인구 사회학적 배경, 고교 유형과 성취 수준, 진로 성숙도, 대학에 대한 소속감과 부모 인식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대학 진학 단계에서, 출신 지역에 남은 학생 집단과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 학생 집단을 비교함으로써 어떠한 학생들이 지역을 넘어 이동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육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한 학생들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지리적, 심리적으로 큰 변화를 수반하는 서울과 (경인 지역을 제외한) 지방 간 학생 이동에 초점을 두었다.
  • 본 연구는 대학교육을 위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학생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서울 지역에서 지방으로, 지방에서 서울 지역으로 이동하는 학생들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8년 학부교육 실태조사(K-NSSE)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무너진다’는 말에서 '벚꽃 피는 순서'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최근 우리나라 대학 사회에는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이 무너진다’라는 말이 퍼져있다[1]. 여기서 ‘벚꽃 피는 순서’란, 통상 대학이 ‘서울’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지를 의미한다. 우리나라 고등교육은 1980년대 이후 양적으로 팽창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수도권, 특히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서열화 구조가 견고하게 유지되고 있다[2-4].
고등교육 단계에서 학생 이동은 무엇을 포함하는 개념인가? 고등교육 단계에서 학생 이동(Student mobility)은 여러 요인이 혼재된 복합적인 개념이다. 교육을 통한 계층 이동, 대학 내 전공의 이동(Within the institution), 대학 간 이동(Between institutions), 다른 나라로 이동, 국내에서 지역 간 이동 등 다양한 이동 현상을 포함한다. 이 중 가장 연구가 활발한 분야는 대학 간 이동이다.
대학의 지역적 서열화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실제로 2008년부터 2018년까지 수도권과 지방 대학의 중도탈락률을 보면, 그 격차가 계속해서 벌어지고 재학생 충원율에서도 지방 대학의 어려움은 가중되고 있다[6]. 이러한 대학의 지역적 서열화는 지방 대학의 몰락, 나아가 지역 소멸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아닐 수 없다(참고: [7,3]). 지방 대학의 황폐화는 지역의 교육적 공동화 현상을 심화시키고, 이는 결국 지역 소멸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 R. Kim. (2019.8.11.). Autonomousization of College enrollment quota…"Cherry blossoms in order." The Seoul Shinmun.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190812014012&wlog_tag3naver. 

  2. A. N. Kim. (2003). Trends in Scholastic Ability Test Scores of College Students and Stratification of Higher Educ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3(3), 65-83. 

  3. H. Y. Oh. (2015). A Study on the Hierarchical Ranking Structure of University and Education.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18(2), 8-13. DOI : 10.18108/jeer.2015.18.2.8 

  4. Y. K. Joh. (2005).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selection behaviour of high school leavers, Korea. Journal of Geography, 45, 227-238 

  5. S. Y. Chun, S. Y. Lee & S. H. Lee. (2005). Local Financial Resource Drain Caused by the Student Indraft of Seoul Area Universities and the Hollowing of Provincial Universiti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3(1), 307-326. 

  6. S. H. Bae, S. I. Han & B. Byun. (2019). The crisis of local university looking at statistics. Higher Education, 206, 22-31. 

  7. K. K. Kim. (1999). Breaking college ranks: Only college entrance levelling policy is the way to live. Seoul: Kaemagowon. 

  8. S. Y. Kim. (2012). An Analysis of College Student Dropouts' Mobility Paths and Structure. Educational Research, 43(3), 131-163. 

  9. Y. J. Oh. (2005). An Empirical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tudent Mobility between Universitie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3(1), 327-356. 

  10. T. J. Rhine, D. M. Milligan & L. R. Nelson. (2000). Alleviating transfer shock: An environment for more successful transfer students. Community College Journal of Research and Practice, 24(6), 443-453. DOI : 10.1080/10668920050137228 

  11. S. A. Woosley & N. J. Johnson. (2006). A comparison of the academic and cocurricular outcomes of residence hall transfer students and nontransfer students. Journal of College and University Student Housing, 34(1), 25-30. 

  12. H. I. Joo. (2010). An Autoethnographic Study of the Provincial University Student's Experiences in Jibangdae(Provincial University). Media, Gender & Culture, 13, 75-113. 

  13. B. Huang & X. Ren. (2017). The effect of tightness-looseness on well-being: Residential mobility as a moderator. In 2017 IEE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Engineering and Engineering Management (IEEM) (pp. 2189-2193). IEEE. DOI : 10.1109/ieem.2017.8290280 

  14. Y. S. Lem & Y. J. An. (2017). Living in Seoul as a 'Female University Student from the Provinces': Applying Photovoice to Living-in-Seoul. The Journal of Asian Women, 56(2), 205-256. 

  15. M. O. Yang, H. S. Kim & J. H. Lee. (2015). To live as a Local University Student in Korea.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2(1), 267-286. 

  16. J. H. Park. (2009). A Study on the Gender Spatialty in the Entrance into a Tertiary Education. Journal of Geography Education, 53, 15-28. 

  17. H. W. Lee. (2005). Employment Mobility of Local Women. The Korean Geographlcal Society(2005.5.12.). 16-17. 

  18. S. K. Yoon, Y. K. Han, S. H. Im & W. Y. Kim. (2015). A Study on the Factors that Affect College and Major Selection.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42(2), 87-107. 

  19. M. R. Kim. (2004). Meritocracy Structure in Opportunities of Higher Education : Admission Opportunities of Genders to Each Type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20, 1-21. 

  20. S. E. Park & B. E. Seo. (2017). Determinants of local choice of university in educational aspiration : Focus on influences of family background and school factors.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7(3), 29-56. DOI : 10.32465/ksocio.2017.27.3.002 

  21. K. K. Kim & S. Y. Byun. (2006). Determinants of children's educational transi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16(4), 1-27. 

  22. M. J. Lee, M. M. Bong & S. K. Kwon. (2010). Predictors of Career Aspirations for Adolescents from Low- and middle-Income Familie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4(2), 423-447. 

  23. M. R. Kim. (2014). How do students experience different university life according to different social class of family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ology of Education, 24(2), 25-65. DOI : 10.32465/ksocio.2014.24.2.002 

  24. S. A. Lee. (2017). A Narrative Inquiry into University Students' Difficulty of Campus Life who are Placed under Academic Probation: Focus on Social Relations. The Journal of Anthropology of Education, 20(3), 227-257. DOI : 10.17318/jae.2017.20.3.007 

  25. J. I. Lee & S. H. Bae. (2018). The Effects of Diversity in Demographic Profile of Students in the Institution on Higher-order Learning and Reflective Learning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36(2), 139-165. DOI : 10.22553/keas.2018.36.2.139 

  26. G. D. Kuh, J. Kinzie, J. Buckley, B. Bridges & J. C. Hayek. (2006). What matters to student success: A review of the literature, Commissioned report for the National Symposium on Postsecondary Student Success: Spearheading a Dialog on Student Success. Washington, DC: National Postsecondary Education Cooperative. 

  27. R. Florida. (2002). The rise of the creative class: and how it's transforming work, leisure, community and everyday life. NewYork: Basic Book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