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아급성 뇌졸중 환자에게 무릎 신전 보조기기가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효과 및 유용성 : 사례 연구
The effect and feasibility of knee extension assist orthosis on balance and gait in subacute stroke patients : case study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7 no.3, 2020년, pp.35 - 44  

심정우 (세종충남대학교병원) ,  양승재 (충남대학교병원) ,  윤현식 (충남대학교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 and feasibility of knee extension assist orthosis (KEAO) on balance and gait in subacute stroke patients. Design: Case study.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4 subacute stroke patients, who had an onset period of less than 6 months. The limi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시중에 판매되는 무릎보조기는 많은 종류가 있으나 , 삼점압을 이용하여 무릎의 과신전을 방지하고 능동적인 신전을 도와주는 보조기는 시중에 나와 있지 않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릎 신전 보조기기 (Knee Extension Assist Orthosis; KEAO) 를 제작하여 뇌졸중 환자의 균형 및 보행능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고 , 이를 검증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선 제작하고 아급성기 뇌졸중 손상 환자에게 적용하여 실제로 균형 및 보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 임상적 사용 가능성과 만족도 및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무릎 신전 보조기기를 제작하고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여 정적균형능력 및 동적균형능력 , 보행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 또한 사용자 만족도와 유용성이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 본 연구는 무릎 신전 보조기기의 프레임을 경량으로 제작하고 관상면 (coronal plane) 을 기준으로 뒤쪽으로는 대퇴와 하퇴의 압력 포인트 , 앞쪽에는 슬개골을 보조할 수 있는 패드와 내‧ 외측 탄성밴드를 통해 삼점압의 원리를 적용하여 앉은 자세에서 일어나기 , 선 자세 유지 , 보행 시 입각기에서 다리의 신전을 담당하는 주동근인 대퇴사두근의 능동적인 수축을 유도하고 , 이를 통한 대칭적인 체중지지 , 균형 , 보행의 안정성 및 보행의 속도를 증가시키고자 하였다 . 뇌졸중 환자의 경우 많은 환자에게서 균형 및 보행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 . 연구에서도 이러한 삼점압의 원리를 기본 개념으로 채택하여 무릎 신전 보조기기를 제작하고자 한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김성철, 허영구. 편마비 환자의 트레드밀과 체중지지의 트레드밀 훈련이 균형능력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8;25(1):31-43. 

  2. 윤현식, 한규범, 오승인, 등. 오타고운동 기반 낙상예방교육활동이 아급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 낙상 효능감 및 일상생활동작능력에 미치는 영향: 무작위 대조군 임상 연구.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2020;27(1):1-8. 

  3. 이상헌, 정봉근, 박소연. QUEST 2.0의 한국어 번안 및 심리측정학적 특징.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13;14(7):3284-92. 

  4. 이진, 김도형, 인태성. 간섭전류전기자극이 만성요통 노인 환자의 통증, 균형 및 보행능력에 미치는 즉각적인 효과.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2018;25(2):15-23. 

  5. 조준행, 김로빈. 무릎 움직임의 제한이 보행 기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8;72:429-36. 

  6. 최동성, 손민균. 발목관절 보조기 착용이 뇌졸중 편마비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환경학회지 2014;21(5):837-44. 

  7. Bedoya-Belmonte JJ, Rodriguez-Gonzalez MDM, Gonzalez-Sanchez M, et al. Inter-rater and intra-rater reliability of the extended TUG test in elderly participants. BMC Geriatr 2020;20(1):56. 

  8.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2;73(11):1073-80. 

  9. Cohen J.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York: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8. 

  10. Crossley K, Cowan SM, Bennell KL, et al. Patellar taping: is clinical success supported by scientific evidence? Man Ther 2000;5(3):142-50. 

  11. de Haart M, Geurts AC, Huidekoper SC, et al Recovery of standing balance in postacute stroke patients: a rehabilitation cohort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4;85(6):886-95. 

  12. Devan MR, Pescatello LS, Faghri P,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Overuse Knee Injuries Among Female Athletes With Muscle Imbalances and Structural Abnormalities. J Athl Train 2004;39(3):263-7. 

  13. Ernst GP, Kawaguchi J, Saliba E. Effect of patellar taping on knee kinetics of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9;29(11):661-7. 

  14. Fang J. Computer modelling and experimental design of a gait orthosis for early rehabilitation of walking. University of Glasgow; 2013. 

  15. Filho JM, Valderramas S, Vojciechowski AS, et al. The Brazilian version of the Home Falls and Accidents Screening Tool (HOME FAST): translation, cross-cultural adaptation, validation and reliability. Rev Bras Geriatr Gerontol 2020;23(1):e190180. 

  16. Harris ML, Polkey MI, Bath PM, et al. Quadriceps muscle weakness following acute hemiplegic stroke. Clin Rehabil 2001;15(3):274-81. 

  17. Horstman AM, Gerrits KH, Beltman MJ, et al. Intrinsic properties of the knee extensor muscles after subacu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10;91(1):123-8. 

  18. Horton MG, Hall TL. Quadriceps femoris muscle angle: normal values and relationships with gender and selected skeletal measures. Phys Ther 1989;69(11):897-901. 

  19. Hoy MG, Zajac FE, Gordon ME. A musculoskeletal model of the human lower extremity: the effect of muscle, tendon, and moment arm on the moment-angle relationship of musculotendon actuators at the hip, knee, and ankle. J Biomech 1990;23(2):157-69. 

  20. Hyun CW, Han EY, Im SH, et al. Hemiparetic Knee Extensor Strength and Balance Function Are Predictors of Ambulatory Function in Subacute Stroke Patients. Ann Rehabil Med 2015;39(4):577-85. 

  21. Hwang YI, An DH, Yoo WG. Effects of the Dual AFO on gait parameters in stroke patients. NeuroRehabilitation 2012;31(4):387-93. 

  22. Jorgensen HS, Nakayama H, Raaschou HO, et al. Recovery of walking function in stroke patients: the Copenhagen Stroke Study. Arch Phys Med Rehabil 1995;76(1):27-32. 

  23. Kim SG, Lee JH. The effects of horse riding simulation exercise on muscle activation and limits of stability in the elderly. Arch Gerontol Geriat. 2015;60(1):62-5. 

  24. Lange B, Flynn S, Chang C, et al. Development of an interactive rehabilitation game using the Nintendo® WiiFit™ balance board for people with neurological injury. Proceedings of ICDVRAT Chile 2010;249-54. 

  25. Laufer Y, Dickstein R, Chefez Y, et al. The effect of treadmill training on the ambulation of stroke survivors in the early stages of rehabilitation: a randomized study. J Rehabil Res Dev 2001;38(1):69-78. 

  26. Li L, Tong KY, Hu X. The effect of poststroke impairments on brachialis muscle architecture as measured by ultrasound. Arch Phys Med Rehabil 2007;88(2):243-50. 

  27. Lieb FJ, Perry J. Quadriceps function. An anatomical and mechanical study using amputated limbs. J Bone Joint Surg Am 1968;50(8):1535-48. 

  28. Loudon JK. Biomechanics and pathomechanics of the patellofemoral joint. Int J Sports Phys Ther 2016;11(6):820. 

  29. Mojica JA, Nakamura R, Kobayashi T, et al. Effect of ankle-foot orthosis (AFO) on body sway and walking capacity of hemiparetic stroke patients. Tohoku J Exp Med 1988;156(4):395-401. 

  30. Mulroy SJ, Eberly VJ, Gronely JK, et al. Effect of AFO design on walking after stroke: impact of ankle plantar flexion contracture. Prosthet Orthot Int 2010;34(3):277-92. 

  31. Ohata K, Yasui T, Tsuboyama T, et al. Effects of an ankle-foot orthosis with oil damper on muscle activity in adults after stroke. Gait Posture 2011;33(1):102-7. 

  32. Page SJ, Gater DR, Bach-Y-Rita P. Reconsidering the motor recovery plateau in stroke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4;85(8):1377-81. 

  33. Perry J, Davids JR.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function. J Pediatr Orthop 1992;12(6):815. 

  34.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35. Portnoy S, Frechtel A, Raveh E, et al. Prevention of Genu Recurvatum in Poststroke Patients Using a Hinged Soft Knee Orthosis. PM R 2015;7(10):1042-51. 

  36. Powers CM. The influence of altered lower-extremity kinematics on patellofemoral joint dysfunction: a theoretical perspective.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3;33(11):639-46. 

  37. Requier B, Bensoussan L, Mancini J, et al. Knee-ankle-foot orthoses for treating posterior knee pain resulting from genu recurvatum: Efficiency, patients' tolerance and satisfaction. J Rehabil Med 2018;50(5):451-6. 

  38. Saeys W, Vereeck L, Truijen S, et al.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truncal exercises early after stroke to improve balance and mobility.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12;26(3):231-8. 

  39. Silver-Thorn B, Herrmann A, Current T, et al. Effect of ankle orientation on heel loading and knee stability for post-stroke individuals wearing ankle-foot orthoses. Prosthet Orthot Int 2011;35(2):150-62. 

  40. Winstein CJ, Miller JP, Blanton S, et al. Methods for a multisite randomized trial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traint-induced movement therapy in improving upper extremity function among adults recovering from a cerebrovascular stroke.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3;17(3):137-52. 

  41. Yamamoto M, Shimatani K, Hasegawa M, et al. Effect of an ankle-foot orthosis on gait kinematics and kinetics: case study of post-stroke gait using a musculoskeletal model and an orthosis model. ROBOMECH J 2019;6(1):9. 

  42. Yazdani S, Alizadeh F, Dizaji E, et al. Postural sway changes in genu recurvatum deformity during standing with manipulation of visual and proprioceptive systems. J Bodyw Mov Ther 2020;24(4):147-15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