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운동 전 적용된 지속초음파와 맥동초음파가 운동 유발성 근육 손상의 통증과 근피로대사산물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ulsed ultrasound and continued ultrasound intervention before an exercise on PPT, CK and LDH of EIMD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27 no.3, 2020년, pp.56 - 66  

김하늘 (서울 응암 리드힐병원) ,  전재근 (한려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신성필 (한려대학교 보건대학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ulsed-ultrasound intervention and continued-ultrasound on the PPT (pressure pain threshold), CK (creatine kinase) and LDH (lactate dehydrogenase) recovery of before EIMD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Design: Randomized Co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전 맥동 초음파와 지속 초음파의 효과적인 중재방법에 대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IMD 유발 전에 맥동초음파와 지속속초음파를 각각 적용한 후 압통역치 , CK 와 LDH 의 농도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EIMD 유발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알아내고자 실시하였다 .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IMD 유발 전에 맥동초음파와 지속속초음파를 각각 적용한 후 최대등척성 근력 , 압통역치 , 관절 가동범위 , 그리고 CK 와 LDH 의 농도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EIMD 유발을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 방법을 알아내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운동 전 지속초음파와 맥동초음파가 위팔두갈래근의 EIMD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대조군 , EIMD 유발 전 맥동초음파군 , EIMD 유발 전 지속초음파군으로 분류하였으며 , 위팔두갈래근에 EIMD 유발 전 맥동초음파와 지속초음파를 적용하여 압통역치와 혈중 근피로대사산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적용방법에 따른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각 군에 해당하는 방법을 적용하기 전 압통 역치와 혈중 근피로대사산물의 농도를 측정하였고 , 맥동초음파와 지속초음파를 적용한 후 24, 48 시간에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 측정실의 실내습도는 50 ∼ 60%, 실내온도는 24 ∼ 27 ℃ 로 유지하였다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고현윤, 김경수. 초음파 적용방법에 따른 조직 온도 변화 연구. 대활의학학회지 1993;14(1):76-80. 

  2. 고형우. 진동자극이 지연성 근육통의 근 기능 회복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동신대학교; 2011. 

  3. 권영은, 이수종, 윤채식, 등. 근근막 통증 증후군에서 Pressure Algometer를 이용한 골격근 압통 역치에 관한 연구. Korean J Pain 2001;14(1):32-6. 

  4. 김근조, 이규리, 정병옥, 등. 자연치유와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 그리고 냉치료가 지연성근육통이 유발된 위팔두갈래근의 통증과 근력 및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2009;10(12):3902-9. 

  5. 김덕조, 최원재, 손경현. 고압산소치료가 지연성근육통의 통증, 관절운동범위 및 근피로 회복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2019;26(2):51-60. 

  6. 김승균. 상완 이두근 지연성 근육통에 대한 봉독액을 이용한 초음파 치료의 효과[석사학위논문]. 을지대학교; 2011. 

  7. 김종호. 준비운동 형태가 DOMS와 근력 회복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2004. 

  8. 김지윤, 전재근, 오세민. 테라테인먼트적 진동 자극이 위팔두갈래근의 최대등척성근력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지 2018;12(4):295-304. 

  9. 문현주, 서현규, 공원태. 측두하악관절장애 환자에서 연속초음파와 맥동초음파 적용이 통증과 관절가동범위에 미치는 효과. 대한정형도수치료학회지 2007;13(2):1-11. 

  10. 박래준. 기구를 이용한 물리치료학. 서울: 영문출판사;2001. 

  11. 백수정, 이미애, 김진상, 등. 경피신경전기자극과 초음파가 전기생리학적 반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JKPT) 2000;12(1):49-56. 

  12. 송현호, 김주영, 이철현, 등. 운동유발성 근육 손상 후 진동운동 적용이 근육 손상 지표에 미치는 영향. 코칭능력개발지 2011;13(1):179-188. 

  13. 엄기매, 임인혁, 백종석, 등. 모달리티와 운동치료가 지연성 근육통에 미치는 효과. 대한건강과학학회 2014;11(1):1-10. 

  14. 연창호, 정석희, 지연성 근육통의 근복부와 근건이행부 자침효능 비교.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2;22(2):219-228. 

  15. 오민영. 초음파가 혈류량 및 피부온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2004. 

  16. 윤정권. 이주형. 신장성 운동 후 초음파 치료가 지연성 근육통증에 미치는 영향. 체육과학연구 2006;17(3):58-66. 

  17. 이수영. 유지-이완 주동근 수축기법과 경피신경전기자극의 지연성 근육통 치료 효과[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006. 

  18. 장현정, 남형천. 주관절 외상과염 주부에서 미세전류에 의한 신경근 자극 치료가 손목 신전근력에 미치는 영향. 정형스포츠물리치료학회지 2005;1(1):101-105. 

  19. 조남정, 송승혁, 지연성 근육통에 대한 미세전류자극치료가 통증과 CK에 미치는 영향. 대한통합의학지 2014;2(3):31-37. 

  20. 최효정, 김성수. 미세전류치료기 전극 종류에 따른 효능 비교.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13;23(3):107-116. 

  21. 한종만. 초음파와 근막 이완술이 긴장형 두통환자의 뇌혈류 속도에 미치는 영향[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 2002. 

  22. Bolton P, Young S, Dyson M. Macrophage responsiveness to light therapy with varying power and energy densities. Laser Ther 1991;3(3):105-111. 

  23. Brock Symons T, Clasey JL, Gater DR, et al. Effects of deep heat as a preventative mechanism o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J Strength Cond Res 2004;18(1):155-61. 

  24. Cheung K, Hume P, Maxwell L.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 treatment strategies and performance factors. Sports Med 2003;33(2):145-64. 

  25. Clarkson PM, Hubal MJ. 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in humans. Am J Phys Med Rehabil 2002;81(11):S52-69. 

  26. Cleary MA, Sweeney LA, Kendrick ZV, et al. Dehydration and symptoms of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in hyperthermic males. J Athl Train 2005;40(4):288-97. 

  27. Close GL, Ashton T, McArdle A, et al. The emerging role of free radicals i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and contraction-induced muscle injury. Comp Biochem Physiol A Mol Integr Physiol 2005;142(3):257-66. 

  28. Connolly DA, Sayers SP, McHugh MP. Treatment and prevention of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J Strength Cond Res 2003;17(1):197-208. 

  29. Draper DO, Castel JC, Castel D. Rate of temperature increase in human muscle during 1 MHz and 3 MHz continuous ultrasound.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5;22(4):142-50. 

  30. Freitas LS, Freitas TP, Silveira PC, et al. Effect of therapeutic pulsed ultrasound on parameters of oxidative stress in skeletal muscle after injury. Cell Biol Int 2007;31(5):482-8. 

  31. Griffin JW, Tooms RE, Mendius RA, et al. Efficacy of high voltage pulsed current for healing of pressure ulcers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Phys Ther 1991;71(6):433-42;discussion 442-4. 

  32. Hennessey WJ, Falco FJ, Braddom RL. Median and ulnar nerve conduction studies: normative data for young adults. Arch Phys Med Rehabil 1994;75(3):259-64. 

  33. Hubal MJ, Rubinstein SR, Clarkson PM. Mechanisms of variability in strength loss after muscle-lengthening actions. Med Sci Sports Exerc 2007;39(3):461-8. 

  34. Hubscher M, Vogt L, Bernhorster M, et al. Effects of acupuncture on symptoms and muscle function in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J Altern Complement Med 2008;14(8):1011-6. 

  35. Itoh H, Ohkuwa T, Yamazaki Y, et al. Vitamin E supplementation attenuates leakage of enzymes following 6 successive days of running training. Int J Sports Med 2000;21(5):369-74. 

  36. Jia XL, Chen WZ, Zhou K, et al. Effects of low-intensity pulsed ultrasound in repairing injured articular cartilage. Chin J Traumatol 2005;8(3):175-8. 

  37. Pittenger MF, Mackay AM, Beck SC, et al. Multilineage potential of adult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Science 1999;284(5411):143-7. 

  38. Pizza FX, Cavender D, Stockard A, et al. Anti-inflammatory doses of ibuprofen: effect on neutrophils and exercise-induced muscle injury. Int J Sports Med 1999;20(2):98-102. 

  39. Proske U, Allen TJ. Damage to skeletal muscle from eccentric exercise. Exerc Sport Sci Rev 2005;33(2):98-104. 

  40. Proske U, Morgan DL. Muscle damage from eccentric exercise: mechanism, mechanical signs, adaptation and clinical applications. J Physiol 2001;537(Pt 2):333-45. 

  41. Rowsell GJ, Coutts AJ, Reaburn P, et al. Effects of cold-water immersion on physical performance between successive matches in high-performance junior male soccer players. J Sports Sci 2009;27(6):565-73. 

  42. Sacheck JM, Blumberg JB. Role of vitamin E and oxidative stress in exercise. Nutrition 2001;17(10):809-14. 

  43. Smith LL. Acute inflammation: the underlying mechanism i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Med Sci Sports Exerc 1991;23(5):542-51. 

  44. Tiidus PM, Cort J, Woodruff SJ, et al. Ultrasound treatment and recovery from eccentric-exercise-induced muscle damage. J Sport Rehabili 2002;11(4):305-314. 

  45. Warren GL, Summan M, Gao X, et al. Mechanisms of skeletal muscle injury and repair revealed by gene expression studies in mouse models. J Physiol 2007;582(Pt 2):825-41. 

  46. Zainuddin Z, Hope P, Newton M, et al. Effects of partial immobilization after eccentric exercise on recovery from muscle damage. J Athl Train 2005;40(3):197-20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