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광산란법을 이용한 국내 석탄화력발전소 굴뚝에서 배출되는 PM10, PM2.5 측정 및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M10 and PM2.5 from chimneys of coal-fired power plants using a light scattering method 원문보기

Particle and aerosol research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v.16 no.4, 2020년, pp.131 - 140  

신동호 (한국기계연구원 환경기계연구실) ,  김영훈 (한국기계연구원 환경기계연구실) ,  홍기정 (한국기계연구원 환경기계연구실) ,  이건희 (한국기계연구원 환경기계연구실) ,  박인용 (한국기계연구원 환경기계연구실) ,  김학준 (한국기계연구원 환경기계연구실) ,  김용진 (한국기계연구원 환경기계연구실) ,  한방우 (한국기계연구원 환경기계연구실) ,  황정호 (연세대학교 기계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ir pollutants emitted from chimneys of coal-fired power plants are considered to be a major source of fine particulate matter in the atmosphere. In order to manage fine particle in the chimney of a coal-fired power plant, it is necessary to know the concentration of fine particle emitted in real t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5 농도를 비교한 결과이다. EPA 방식을 사용하여 PM2.5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넓은 크기의 굴뚝 샘플링 포트가 필요한데, 본 연구에서 측정한 각 석탄화력발전소 굴뚝의 샘플링 포트의 크기는 150A (165.2 mm)로 측정이 불가능하여, PM2.5는 ISO의 측정 결과와 비교하였다. Fig.
  • 에어 펌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굴뚝 내부의 건공기를 샘플링하고 PM sizer에서 입자를 크기 별로 분리해 필터 홀더로 먼지를 포집하였다. EPA방식에서 입경 분리는 싸이클론 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본 연구에서는 굴뚝 샘플링 구경의 크기로 인해 PM10 싸이클론만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ISO방식은 다단임팩터 방식을 사용하여 입경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PM10 과 PM2.
  • EPA방식에서 입경 분리는 싸이클론 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본 연구에서는 굴뚝 샘플링 구경의 크기로 인해 PM10 싸이클론만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ISO방식은 다단임팩터 방식을 사용하여 입경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PM10 과 PM2.5 먼지를 동시에 포집 할 수 있어, ISO를 통해 측정된 PM2.5를 사용하여 개발측정기에서 측정한 PM2.5농도와 비교하였다. 필터에 포집된 먼지는 저울을 이용하여 질량을 측정하고 에어 펌프에서 흡입한 건공기의 부피를 측정하여 질량농도로 환산하였다.
  • 질량 농도 분포에서 Mass median diameter (MMD), Geometry standard deviation (GSD), Count median diameter (CMD) 를구하고 각 발전소 별로 비교하였다. MMD는 질량농도분포 그래프를 Lognormal 크기 분포 및 질량 누적 분포 그래프로 나타낸 후 질량의 전체 합 중 50%가 되는 지점의 입자 크기를 구해 도출하였다. GSD는 아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 4는 D, E, F 발전소에서 개발 측정기를 사용하여 한달 동안 실시간으로 측정한 PM10 농도와 발전량을 비교한 결과이다. PM10은 1분 간격으로 연속 측정하였고, 각 데이터를 30분 간 평균으로 정리하여 시간에 따른 발전량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D 발전소의 해당 발전기에서 780 MWh에서 1100 MWh의 발전량을 생산했고, 굴뚝에서 배출되는 PM10의 농도는 1.
  • 5 농도를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내고 있다. 각 발전소 별로 평균 8회씩 측정하였고, 전체 49회를 측정하였다. Fig.
  • , Korea)와 high-efficiency particulate air (HEPA) 필터를 중간에 설치하여 깨끗한 건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공튜브에 공급하는 2차 희석공기는 고압을 요구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이 적은 Ring blower (KJB3-400, Kijeonsa, Korea)와 HEPA 필터를 사용하여 공급하도록 하였다. 별도의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에 기반한 제어반을 제작하여 유량 및 온도제어를 하였다.
  • 또한 각 발전소에서 중량법(EPA, ISO)과 OPC를 사용하여 측정한 PM10, PM2.5의 농도 비교를 상대 정확도로 나타냄으로써 객관적인 비교를 하였다. 상대정확도는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에 표기된 먼지 -굴뚝배출가스에서 연속자동측정 방법(ES01810.
  • 5 농도와 상대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발전소 별 발전량에 따른 PM10 농도를 비교함으로써 굴뚝에서 측정한 PM10 농도와 발전량 간의 관계를 정리하였다.
  • 다공튜브에 공급하는 2차 희석공기는 고압을 요구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이 적은 Ring blower (KJB3-400, Kijeonsa, Korea)와 HEPA 필터를 사용하여 공급하도록 하였다. 별도의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에 기반한 제어반을 제작하여 유량 및 온도제어를 하였다. 입자의 농도는 광산란 방식의 입자 개수기(OPC 1.
  • 다봉분포 형태의 그래프에서 각 모드 마다의 MMD와 GSD를 구하기 위해서는 다봉분포안에 존재하는 두 개의 모드를 구분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Matlab의 Curve fitting 옵션을 활용하여 각 그래프의 다봉분포를 두 개의 단일분포 그래프를 나타내는 식의 합으로 계산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Fig. 2의 각 그래프 마다 계산된 Fitting curve를 표 시하였다. 이때, Least-Squares method를 사용하였고 #와 같은 가우스 함수의 형태로 나타내었다(Higham and Higham, 2016).
  • 본 연구에서는 각 발전소 굴뚝에서 OPC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한 입자에 대한 입경에 따른 질량농도 분포를 분석하였다. 질량 농도 분포에서 Mass median diameter (MMD), Geometry standard deviation (GSD), Count median diameter (CMD) 를구하고 각 발전소 별로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광산란법 측정장비를 사용하여 고온 다습의 환경인 석탄화력발전소 굴뚝에서 미세먼지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희석장치를(Shin et al., 2019) 사용하여 6곳의 석탄화력발전소 굴뚝에서 배출되는 PM10, PM2.5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각 발전소 별로 입자 크기에 따른 질량농도 분포를 비교하였고, 중량 법을 이용한 측정방법으로 측정된 PM10, PM2.
  • 석탄화력발전소 굴뚝 미세먼지를 광산란 계측기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2단 희석 장치를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국내 6곳의 석탄화력발전소에서 실시간으로 PM10, PM2.5를 측정하였다. 입경 크기에 따른 질량농도분포를 비교한 결과, 측정 굴뚝 모두 Bi-modal 분포를 나타내었고, CMD를 계산한 결과 조금씩은 차이가 있지만 0.
  • 1차 희석공기는 이젝터로 공급하였고, 2차 희석공기는 다공튜브로 공급하였다. 압축공기는 압축기(NCP052-T50; Air Maker, Korea)로 발생시켜 이젝터에 공급을 하였고, 이 과정에서 Air dryer (SHD-10, SEHAN Dryer Co. Ltd., Korea)와 high-efficiency particulate air (HEPA) 필터를 중간에 설치하여 깨끗한 건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공튜브에 공급하는 2차 희석공기는 고압을 요구하지 않아, 상대적으로 소비전력이 적은 Ring blower (KJB3-400, Kijeonsa, Korea)와 HEPA 필터를 사용하여 공급하도록 하였다.
  • 측정 방식은 동일하다. 에어 펌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굴뚝 내부의 건공기를 샘플링하고 PM sizer에서 입자를 크기 별로 분리해 필터 홀더로 먼지를 포집하였다. EPA방식에서 입경 분리는 싸이클론 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본 연구에서는 굴뚝 샘플링 구경의 크기로 인해 PM10 싸이클론만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 , 1957).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고 정확한 미세먼지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젝터를 사용한 2단 희석 장치를 통해 굴뚝 내 먼지를 샘플링 하였다. 1차 희석공기는 이젝터로 공급하였고, 2차 희석공기는 다공튜브로 공급하였다.
  • 분포를 분석하였다. 질량 농도 분포에서 Mass median diameter (MMD), Geometry standard deviation (GSD), Count median diameter (CMD) 를구하고 각 발전소 별로 비교하였다. MMD는 질량농도분포 그래프를 Lognormal 크기 분포 및 질량 누적 분포 그래프로 나타낸 후 질량의 전체 합 중 50%가 되는 지점의 입자 크기를 구해 도출하였다.
  • 5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각 발전소 별로 입자 크기에 따른 질량농도 분포를 비교하였고, 중량 법을 이용한 측정방법으로 측정된 PM10, PM2.5 농도와 상대정확도를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발전소 별 발전량에 따른 PM10 농도를 비교함으로써 굴뚝에서 측정한 PM10 농도와 발전량 간의 관계를 정리하였다.
  • 5농도와 비교하였다. 필터에 포집된 먼지는 저울을 이용하여 질량을 측정하고 에어 펌프에서 흡입한 건공기의 부피를 측정하여 질량농도로 환산하였다.

대상 데이터

  • Table 1은 측정을 수행한 석탄화력발전소 굴뚝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6개의 발전소 모두 유연탄을 사용하고 있고 설비용량은 D, E 발전소가 1000MW 급으로 가장 크고 B 발전소가 870 MW급 A, C, F 발전소가 500 MW급이다. 굴뚝 내부 온도는 A, B, C, D, F는 80-100 ℃였고, E는 146 ℃로 다른 발전소 굴뚝에 비해 높았다.
  • 본 연구는 총 6 곳의 국내 각각 다른 지역에 위치한 석탄화력발전소 굴뚝에서 먼지를 측정하였다. Table 1은 측정을 수행한 석탄화력발전소 굴뚝의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이론/모형

  • 5의 농도 비교를 상대 정확도로 나타냄으로써 객관적인 비교를 하였다. 상대정확도는 대기오염공정시험기준에 표기된 먼지 -굴뚝배출가스에서 연속자동측정 방법(ES01810.1a, 2011)을 사용하였고, 아래 식을 통해 계산하였다.
  • 2의 각 그래프 마다 계산된 Fitting curve를 표 시하였다. 이때, Least-Squares method를 사용하였고 #와 같은 가우스 함수의 형태로 나타내었다(Higham and Higham, 2016).
  • 별도의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에 기반한 제어반을 제작하여 유량 및 온도제어를 하였다. 입자의 농도는 광산란 방식의 입자 개수기(OPC 1.109, Grimm, Germany)를 사용하여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Shin et al., 2020).
  • 중량법 측정은 EPA method 201A (이하 EPA)와 ISO-23210 (이하 ISO) 방법을 사용하였고, 두 방법 모두 입자를 분리하는 방식만 다를 뿐 등속 흡입 샘플링, 건공기 흡입 유량 및 먼지 포집을 통한 질량 측정 방식은 동일하다. 에어 펌프를 이용하여 측정하고자 하는 굴뚝 내부의 건공기를 샘플링하고 PM sizer에서 입자를 크기 별로 분리해 필터 홀더로 먼지를 포집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ek, S., Jang, J., and Kim, Y. (2019). A study on repowering of 500 MW standard coal-fired power plant for performance improvement and emission red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mbustion, 24(4), 37-44. 

  2. Basu, P. (1999). Combustion of coal in circulating fluidized-bed boilers: a review, Chemical Engineering Science, 54, 5547-5557. 

  3. Cordoba, P. (2015). Status of flue gas desulphurisation (FGD) systems from coal-fired power plants: Overview of the physic-chemical control processes of wet limestone FGDs, Fuel, 144, 274-286. 

  4. Fernandes, U., and Costa, M. (2012). Particle emissions from a domestic pellets-fired boiler, Fuel Processing Technology, 103, 51-56. 

  5. Goodarzi, F., and Sanei, H. (2009). Plerosphere and its role in reduction of emitted fine fly ash particles from pulverized coal-fired power plants, Fuel, 88(2), 382-386. 

  6. Groves, J., and Cain, J.R. (2000). A survey of exposure to diesel engine exhaust emissions in the workplace, The Annals of Occupational Hygiene, 44(6), 435-447. 

  7. Higham, D.J., and Higham, N.J. (2016). MATLAB guide (3rd ed.), Philadelphia, Society for Industrial and Applied Mathematics, p. 177. 

  8. ISO 23210 (2009). Stationary source emissions determination of PM10/PM2.5 mass concentration in flue gas measurement at low concentrations by use of impactors. 

  9. Kim, H.C., Kim, S., Son, S.W., Lee, P., Jin, C.S., Kim, E., Kim, B.U., Ngan, F., Bae, C., Song, C.K., and Stein, A. (2016). Synoptic perspectives on pollutant transport patterns observed by satellites over East Asia: Case studies with a conceptual model, Atmospheric Chemistry and Physics Discussions, 1-30. 

  10. Kim, H.B., Kim, D.S., Youn, J.S., Han, S., Jeon, Y.W., and Jeon, K.J. (2017). Comparison of measurement methods and size fraction of fine particles (PM10, PM2.5) from stationary emission source using Korean standard and ISO: coal power plant and refiner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3, 342-350. 

  11. Lee, H. (2020). 5 Power Generation Companies, "We will reduce fine dust with the best possible": Suspension of coal-fired power plants and promotion of upper limit restrictions… Reduction of 2,108 tons of fine dust emissions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_5 power generation companies, investment in eco-friendly facilities and promotion of indoor storage of outdoor storage facilities, Journal of Electrical World Monthly Magazine, 5, 38-40. 

  12. Lee, S., Ho, C.H., and Choi, Y.S. (2011). High-PM10 concentration episodes in Seoul, Korea: Background sources and related meteorological conditions, Atmospheric Environment, 45(39), 7240-7247. 

  13. Lewis, T.R., Green, F.H., Moorman, W.J., Burg, J.A., and Lynch, D.W. (1989). A chronic inhalation toxicity study of diesel engine emissions and coal dust, alone and combined,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Toxicology, 8(2), 345-75. 

  14. Nobuhiro, M., Yutaka, K., Tomoki, N., Kazuyuki, K., Lokesh, K.S., Takuya, I., Takeshi, K., and Yutaka M. (2010). Radiative transfer modeling of filter-based measurements of light absorption by particles: Importance of particle size dependent penetration depth, Journal of Aerosol Science, 41(4), 401-412. 

  15. Park, H.S., Lee, D.A., Yang, J.G., and Jang, S.G. (2018). Emission characteristics of PM10 and PM2.5 in thermal power plants using different fuel typ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4(4), 534-541. 

  16. Richard, D., William, R.S., David, M.A., and Leslie S. (1957). Isokientic sampling probes, Industrial and Engineering Chemistry, 49(2), 294-302. 

  17. Meij, R., and Winkel, B. (2004). The emissions and environmental impact of PM10 and trace elements from a modern coal-fired power plant equipped with ESP and wet FGD, Fuel Processing Technology, 85, 641-656. 

  18. Ministry of Environment (2011). Particulate matter-automated measuring method in flue gas, Air Pollution Process Test Standard, ES01810.1a. 

  19. Shin, D., Woo, C.G., Hong, K.J., Kim, H.J., Kim, Y.J., Lee, G.Y., Chun, S.N., Hwang, J., and Han, B. (2019). Development of a new dilution system for continuous measurement of particle concentration in the exhaust from a coal-fired power plant, Fuel, 257, 116045. 

  20. Shin, D., Woo, C.G., Hong, K.J., Kim, H.J., Kim, Y.J., Han, B., Hwang, J., Lee, G.Y., and Chun, S.N. (2020). Continuous measurement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 in coal-fired power plant stacks using a newly developed diluter and optical particle counter, Fuel, 269, 117445. 

  21. Stolle, R., Koeser, H., and Gutberlet, H. (2014). Oxidation and reduction of mercury by SCR DeNOx catalysts under flue gas conditions in coal fired power plants, Applied Catalysis B: Environmental, 144, 486-497. 

  22.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 (1996). Air quality for particulate matter, National Center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Offic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esearch Triangle Park, NC, Report No: EPA/600/p-95/001CF. 

  23. Wada, M., Tsukada, M., Namiki, N., Szymanski, W.W., Noda, N., Makino, H., Kanaoka, C., and Kamiya, H. (2016). A two-stage virtual impactor for in-stack sampling of PM2.5 and PM10 in flue gas of stationary sources, Aerosol and Air Quality Research, 16, 36-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