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드론과 HD 카메라를 이용한 수심측량시 잘피에 의한 오차제거 알고리즘
Correction Algorithm of Errors by Seagrasses in Coastal Bathymetry Surveying Using Drone and HD Camera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32 no.6, 2020년, pp.553 - 560  

김경엽 (한동대학교 공간설계공학과 대학원) ,  최군환 (한동대학교 부유식해상풍력발전연구소) ,  안경모 (한동대학교 공간환경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드론 항공사진을 L∗a∗b 색공간으로 변환하고 항공사진에서 잘피가 나타난 영역을 분할 및 보정하여 드론 항공사진을 이용한 수심측량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드론을 이용한 수심측량은 음향측심기와 같은 보편적으로 통용되던 방식에 비해 저비용으로 빠른 시간에 수심자료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수심측량 대상 해역에 잘피가 서식할 경우 해저면의 반사 특성이 일정하지 않아 드론을 이용한 수심측량시 오차가 발생한다.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잘피를 비롯한 해조류는 수온이 낮아지기 시작하는 11월부터 자라기 시작하여 1~4월에 최대 밀도를 형성한다. 따라서 해당 시기의 드론 항공사진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수심측량의 정확도가 낮아지며, 이는 드론을 이용한 수심측량방식을 상용화하는데 극복해야 할 단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북 월포해수욕장에서 드론으로 촬영한 고해상도 카메라 이미지를 분석하여 오차 발생해역을 구분하고 보정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하였다. 또한, 보정한 드론 항공 사진으로 천해 수심 추정을 수행하여 알고리즘을 검증하였다. 잘피로 인한 오차 보정 알고리즘 적용 전 수심 5 m 이내의 200 m × 300 m 해역에서 발생하는 오차 표준편차의 1.5배를 넘는 오차 이상값 비율은 전체 이미지의 8.6%를 차지하였다. 오차 보정 알고리즘을 적용한 결과 오차 이상값의 92%가 제거되었으며, 평균제곱근오차(RMSE)는 33%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presents an algorithm for identifying and eliminating errors by seagrasses in coastal bathymetry surveying using drone and HD camera. Survey errors due to seagrasses were identified, segmentated and eliminated using a L∗a∗b color space model. Bathymetry survey using a drone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드론 촬영 이미지에서 수심측량의 정확도를 낮추는 잘피와 같은 해조류를 드론 항공사진에서 구분하고 보정함으로써 수심추정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일반적으로 해양환경에서 식생과 해저질을 파악하는데 다분광 영상을 사용한다(Taddia et al.
  • 10의 검은 사선으로 표현된 영역은 수심이 5m와 6m 이상의 바다 영역을 나타내며,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수심이 5m 이상일 경우 가시광선의 대부분이 흡수됨으로 인해 오차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에서 HD 이미지를 이용한 수심 추정 시 수심 5m 이하인 경우 잘피에 의한 수심추정의 정확성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수심 5m 이하의 바다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수심 5m 이내의 해역에서 발생하는 오차 이상치 비율은 전체 이미지의 8.
  • , 2020). 본 연구에서는 고비용 위성 자료의 다분광 영상과 드론용 다분광 센서 영상을 사용하지 않고 필요한 시점과 장소에서 수심측량이 가능한 드론에 의한 HD 카메라 영상 기반의 알고리즘을 구축하였다.
  • 특히 해저에 해초 서식지가 존재할 경우 심각한 오차가 발생한다. 본 연구의 목표는 오차발생해역을 구분 및 보정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보정 전후의 결과 비교를 위해 수심추정식을 작성하기 때문에, 추정과정에서 물리적 특성이 나타나지 않는 인공신경망 추정방식을 사용하지 않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hn, K., Park, J. and Oh, C.Y. (2016). Estimation of shallow water depth using drone and HD camera. Proc. of the Conference of Korea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ing, Busan, Korea (in Korean). 

  2. Ahn, K., Oh, C.Y., Park, Y.S. and Park, S.W. (2019). Passive Remote Sensing Using Drone and HD Camera for Mapping Surf Zone Bathymetry.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sian and Pacific Coastas, 487-497. Springer, Singapore. 

  3. Bhookya, N.N., Malmathanraj, R. and Palanisamy, P. (2020). Yield Estimation of Chilli Crop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s. In 6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dvanced Comput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ICACCS), 200-204. IEEE. 

  4. Hu, L., Bai, X., Yang, A., Zhang, K., Zhang, C. and Liu, B. (2020). Crop extraction based on ultra-simple neural network modeling in the normalized RGB and CIE L * a * b color spaces. In MIPPR 2019: Pattern Recognition and Computer Vision, 11430, 114301V, International Society for Optics and Photonics. 

  5. Lyzenga, D.R., Malinas, N.P. and Tanis, F.J. (2006). Multispectral bathymetry using a simple physically based algorithm.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44(8), 2251-2259. 

  6. Murali, S. and Govindan, V.K. (2013). Shadow detection and removal from a single image using L * a * b color space. Cybernetics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13(1), 95-103. 

  7. Oh, C.Y., Ahn, K., Park, J. and Park, S.W. (2017). Coastal shallowwater bathymetry survey through a drone and optical remote sens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29(3), 162-168 (in Korean). 

  8. Otsu, N. (1979). A threshold selection method from gray-level histograms. IEEE Transactions on Systems, Man, and Cybernetics, 9(1), 62-66. 

  9. Taddia, Y., Russo, P., Lovo, S. and Pellegrinelli, A. (2020). Multispectral UAV monitoring of submerged seaweed in shallow water. Applied Geomatics, 12(1), 19-34. 

  10. Yi, J.-H., Ryu, K.-H., Shin, C., Baek, W.-D. and Jeong, W.M. (2016). Bathymetry estimation using aerial imagery for shallow water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6(5), 351-358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