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고랭지배추 생산량에 대한 엘니뇨 영향
Influence of El Niño on the Production of Highland Kimchi Cabbage in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v.22 no.4, 2020년, pp.279 - 286  

심교문 (국립농업과학원) ,  김용석 (국립농업과학원) ,  허지나 (국립농업과학원) ,  조세라 (국립농업과학원) ,  강기경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에서는 1991년 이후 중간 강도 이상의 엘니뇨가 발생한 해의 고랭지배추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엘니뇨가 발생한 해 (n=12)의 고랭지배추의 전국 평균 생산량 (3,444±384kg 10a-1)은 미 발생한 해 (n=14)의 생산량 (3,722±277kg 10a-1)보다 적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t=2.140, p=0.042). 또한, 엘니뇨가 종료한 해의 고랭지배추의 전국 평균 생산량은 엘니뇨가 시작한 해와 엘니뇨가 미 발생한 해보다 낮은 경향을 보였고, 이 또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df=2, f=3.874, p=0.035). 이것은 고랭지 배추 재배기간의 저온, 일조부족, 강수량 증가 현상이 1차적 원인으로 사료되나, 앞으로 엘니뇨 발생에 따른 악기상 등 각종 농업환경 변화와 고랭지배추의 생산성의 관계 등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mpact of El Niño on highland kimchi cabbage production for the period from 1991-2016 in South Korea. Years with less than 1.0 Oceanic Niño index (ONI) were classified into non El Niño years, while years with equal to or greater than 1.0 O...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1991년 이후 중간 강도 이상의 엘니뇨가 발생한 해의 고랭지배추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엘니뇨가 발생한 해 (n=12) 의 고랭지배추의 전국 평균 생산량 (3, 444±384kg 10a-1)은 미 발생한 해 (n=14)의 생산량 (3, 722±277kg 10a-1)보다 적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였다 (t=2.
  •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1년이후 중간 강도 이상의 엘니뇨가 고랭지배추의 생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전국 및 행정구역별로 분석하여 향후 엘니뇨 발생 전망에 따른 채소 수급의 선제적인 대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jerkmes, J., 1966: Survey of El Nino 1957-1958 in its relation to tropical pacific meteorology,. Bulletin of Inter-American Tropical Tuna Commission 12, 3-62. 

  2. Cha, E. J., J. G. Jhun, and H. S. Chung, 1999: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climate in south Korea for El Nino/La Nia years.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35(1), 98-11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Halpert, M. S., and C. F. Ropelewski, 1992: Surface temperature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Southern Oscillation. Journal of Climate 5, 577-593. 

  4. Kim, G., and J. Hwangbo, 2005: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during El Nino/La nia period. Proceeding of annual meeting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436-1439. (in Korean) 

  5. KMA, 2016: http://web.kma.go.kr/notify/press/kma_list.jsp. El Nino status and outlook ((Press release (No. 3972)). (in Korean) 

  6. KOSIS, 2017: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ET0028&conn_pathI3. (in Korean) 

  7. Kwon, W. T., S. E. Hwang, and M. Y. Park, 1997: The trend of climate variability in El Nino years of South Korea. Proceeding of automn conference of Korean Meteorology Society, 182-184. (in Korean) 

  8. Latif, M., A. Sterl, E. Maier-Reimer, and M. M. Junge, 1993a: Climate vVariability in a cCoupled GCM. Part I: The tTropical Pacific., Journal of Climate 6, 5-20. 

  9. Latif, M., A. Sterl, E. Maier-Reimer, and M. M. Junge, 1993b: Structure and predictability of the El Nino/Southern Oscillation phenomenon in a coupled ocean-atmosphere general circulation model. Journal of Climate 6, 21-50. 

  10. Lau, N. C., S. G. H. Philander, and M. J. Nath, 1992: Simulation of ENSO-like phenomena with a low-resolution coupled GCM of the global ocean and atmosphere. Journal of Climate 5, 284-307. 

  11. Lee, D. R., 1998: Relationship of El nino and La Nina with both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i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31(6), 807-8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Lee, J. W., 1996: A study of decision-making factors of production for radish and kimchi cabbage. Korean rural economic institute report (R345), p77pp. (in Korean) 

  13. Lee, S. H., and I. H. Heo, 2018: Impact of climate on yield of highland Chinese cabbage in Gangwon province,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3(3), 265-2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Neelin, J. D., 1990: A hybrid coupled general circulation model for El Nino studies.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47(5), 674-693. 

  15. NOAA, 2018: http://origin.cpc.ncep.noaa.gov/products/analysis_monitoring/ensostuff/ONI_v5.php 

  16. Ropelewski, C. F., and M. S. Halpert, 1987: Global and regional scale precipitation patterns associated with the El Nino/ Southern Oscillation. Monthly Weather Review 115, 1606-1626. 

  17. Shim, K. M., M. P. Jung, Y. S. Kim, I. T. Choi, H. J. Kim, and K. K. Kang, 2016: Some meteorological anomalies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rice yield for El Nino year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logy 18(3), 143-15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Shim, K. M., Y. S. Kim, M. P. Jung, J. W. Kim, and K. K. Kang, 2018: Influence of El Nino on the production of spring kimchi cabbage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logy 20(4), 330-33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