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장관리방안 정책수단의 영향력 분석
Analyzing the Influence of Policy Measures for Growth Management Pla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3, 2020년, pp.253 - 268  

전병창 (세종특별자치시 도시정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성장관리방안의 주요 정책수단이 성장관리지역 내에서 개발 입지에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세종시의 수립 사례를 대상으로 이항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2012년부터 2017년까지 세종시의 필지기반 자료를 사용하여 자연환경요인, 인문환경요인, 제도적 요인, 성장관리방안 정책수단요인을 독립변수로, 필지별 개발여부를 종속변수로 하는 이항로짓모형을 구축하였다. 분석 결과, 성장관리지역 내에서 인센티브와 물리적 규제는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간적 규제는 연접필지 개발을 억제하는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관리방안 시행 이전과 이후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성장관리방안 시행 이후에 시간적 규제의 영향력이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장관리방안의 용적률 인센티브는 효과가 미미한 바 지역적 특성이나 용도별 특성에 맞게 적용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둘째, 세종시 성장관리방안에서 적용하고 있는 시간적 규제는 간접적으로 개발시기를 조절하고 기허가지 내 기반시설 확보를 앞당기는 효과가 있으므로 규모·입지 규제 위주로 이루어진 현 성장관리방안을 보완하는 정책수단으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iveness of policy measures in a growth management plan by analyzing empirically the influence of regulations and incentives in a non-urban growth management plan of Sejong City using the binomial logistic model. The parcel unit data related development location of Sejon...

주제어

표/그림 (12)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장관리란 무엇인가? 성장관리라는 용어는 미국의 도시토지연구소(Urban Land Institute)의 ‘성장관리와 규제(management and control of growth)’에서 처음으로 등장하였다[1,2]. 성장관리의 정의는 ‘성장의 정도와 시간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성장관리는 정적인 용도지역 운영방안과는 달리, 지자체가 자신의 행정구역에서 장래 개발의 속도, 양, 형태, 위치, 질에 의도적인 영향을 주고자 하는 동태적인 활동을 의미한다[2,3]. 즉, 용도지역 등 전통적인 토지이용정책은 도시의 전반적인 개발과 보전을 규모·입지 중심으로만 유도하는 장치인 반면에, 성장관리는 개발의 시기와 개발재원까지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발과 보전, 개발의 다양한 형태에 따르는 도시기반시설의 변동을 예측하고 개발로 야기되는 공공서비스의 수요와 이러한 수요에 대한 재정을 조달하기 위한 개발이익 환수 등을 통해 개발과정에서 형평성이 유지되도록 노력하는 것이다[4].
도시성장관리가 도시계획의 주요이슈로 부각된 배경은 무엇인가? 1994년에 도시적 용도로의 전환에 주안점을 둔 준농림지 제도가 도입된 후, 용인으로 대표되는 수도권 난개발이 문제화되면서 2000년 전후를 시작으로 도시성장관리가 도시계획의 주요이슈로 부각되었다.
각 국가별 난개발에 대한 의미는 무엇인가? 난개발에 대한 의미는 나라와 학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일본에서는 난개발을 계획에 의하지 않은 모든 개발 혹은 공공서비스가 제공되지 않는 개발을 의미하며 영국에서는 계획수립을 했는지와는 관계없이 녹지를 훼손시키는 모든 개발을 난개발로 정의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저밀도의 개발, 토지 이용 간의 이격, 비지적인 개발, 간선도로변을 따른 상업시설 위주 개발, 승용차에 의존적인 개발, 도심지의 희생을 동반하는 도시의 교외지역 개발, 직장의 교외로의 분산, 변두리·농촌의 경작지를 비롯한 오픈스페이스의 축소, 지방정부의 책임소재 간과 및 불분명화 등의 특성 중에서 최소 한 개 이상의 요소를 포함할 경우 난개발로 정의한다[7,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DeGrove, John M, The New Frontier for land policy Planning and growth management in the states, Cambridge, MA: Lincoln Institute of Land Policy, 1992. 

  2. Y. J. Le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Growth Management Techniques for Seoul, Research Report, Seoul Development Institute, Korea, pp.14-15, 1996. 

  3. Chinitz Benjamin, "Growth management : Good for the town, bad for nation?",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56, No.1, pp.3-8, 1990. DOI: https://doi.org/10.1080/01944369008975739 

  4. Y. S. Jeon, A Study on the Development Density Control for Urban Growth Management, Ph. D.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Korea, pp30-31, 2004. http://www.riss.kr/link?idT9222585 

  5. Couch, C., Leontidou, L. and Petschel-Held, G, Urban Sprawl in Europe : Landscapes, Land-Use Change & Policy, Oxford: Blackwell, 2007. 

  6. H. S. Koo, Recommendation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Growth management Policies in Non-urbanized Areas, Research Repor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orea, pp.11-70, 2015. 

  7. Lopez, R. and H. P. Hynes, "Sprawl in the 1990s: measurement, distribution and trends", Urban Affairs Review, Vol.38, No.3, pp.325-355, 2003. DOI: https://doi.org/10.1177/1078087402238805 

  8. D. S. Yoon and M. S. Choi, "The Efficient Management of Non-urban Regions - focused on the manageri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26, No.1, pp.1-26, 2014. 

  9.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Planning and Policy [August issue], p.136, 2000, pp.57. 

  10. J. G. Park, E. S. Kim, S. J. Kim and H. K. Moon, Density Control and Urban Growth Management System, Research Repor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orea, 2001. 

  11. S. J. Kim, S. H. Park and J. H. Lee, An Approach on Policy Improvement for Impact Fee Area Considering the Smart Growth, Research Repor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 Korea, 2010. 

  12. D. K. Kim, S. J. Kim, S. S. Kim, B. J. Lee, H. S. Koo and T. W. Lee, Improvements of Development Permit System for Non-urban Area Addressing the Change of Urban Planning Regulation System, Research Repor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orea, 2014. 

  13. E. R. Kim, S. J. Kim, S. H. Park and K. H. Park,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Smart Growth Initiative in Non-urbanized Areas, Research Repor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Korea, 2013. 

  14. S. H. Park, G. J. Lee and S. Y. Jeon, "Introducing Urban Growth Management Plan and Growth Management Zone Aiming at Planned Development of Non-urbanized Area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48, No.2, pp.249-261, 2013. 

  15. Y. H. Lee and J. H. Lim, Improvement Strategies for the New Growth Management System in Non-Urbanized Areas, Research Report, Gyeonggi Research Institute, Korea, 2014. 

  16. Y. H. Lee, S. R. Lee and J. H. Lim, Growth Management Planning Strategies, Research Report, Gyeonggi Research Institute, Korea, pp.115-119, 2016. 

  17.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and and Urban Planning and Management System in response to the Change of Conditions, p.320, 2017, pp.19-20. 

  18. D. S. Choi, Density-incorporated cellular automata modelling for land use control policy evaluation : Focusing on the green belt policy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Ph. 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pp.40-50, 2003. http://www.riss.kr/link?idT9003187 

  19. J. M. Yun and J. W. Park, "Research about Urban Growth Model's Auto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11, No.1, pp.1-9, 2008. 

  20. C. H. Yeo, Consolidated Urban Growth Management for Metropolitan City and Hinterlands, Ph. D. Dissertation, Keimyung University, Korea, pp.91-96, 2009. 

  21. Jamal Jokar Arsanjani, Marco Helbich, Wolfgang Kainz and Ali Darvishi Boloorani, "Integration of logistic regression, Markov chain and cellular automata models to simulate urban expan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Vol.21, pp.265-275, 2013. DOI: https://doi.org/10.1016/j.jag.2011.12.014 

  22. W. S. Park, "Analysis of Residential Location Preference Factors by Characteristics of Households in the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Household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Vol.21, No.3, pp.515-528, 2015. 

  23. Xinli Ke, Lingyun Qi and Chen ZengA, "A partitioned and asynchronous cellular automata model for urban growth sim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Geographical Information Science, Vol. 30, No.4, pp.637-659, 2015. DOI: https://doi.org/10.1080/13658816.2015.1084510 

  24. H. Y. Lee, "Methods for Estimating Land Need and Its Empirical Analysis for Urban Growth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Vol.12, No.1, pp.11-30, 2009. 

  25. Maher Milad Aburas, Yuek Ming Ho, Mohammad Firuz Ramli, Zulfa Hanan Ash'aari, "Improving the capability of an integrated CA-Markov model to simulate spatio-temporal urban growth trends using an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and Frequency Ratio",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Vol.59, pp.65-78, 2017. DOI: https://doi.org/10.1016/j.jag.2017.03.0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