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생정보에 기초한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 유형별 실태조사
The Survey on Actual Condition Depending on Type of Degraded area and Suggestion for Restoration Species Based on Vegetation Information in the Mt. Jirisan Section of Baekdudaegan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4 no.6, 2020년, pp.558 - 572  

이혜정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생태복원팀) ,  김주영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산림복원지원팀) ,  남경배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생물자원수집팀) ,  안지홍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생태복원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백두대간 지리산권역 내 훼손지의 유형을 분류하고, 각 훼손 유형별 실태조사를 통해 훼손 정도를 파악하여 훼손지의 복원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지리산권역의 훼손실태를 분석한 결과 전체 훼손지의 패치 수는 57개로 확인되었고, 평균고도가 낮고 경사가 완만한 지역일수록 훼손지의 패치 수 및 훼손 면적이 더 넓게 나타났다. 훼손 유형은 초지(폐경지)와 경작지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농업적 토지이용이 주요 훼손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 중 14개소의 훼손지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수행한 결과, 훼손 유형은 초지, 경작지, 복원지, 벌채지 및 나지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별 교란정도(일년초 및 이년초의 비율, 도시화지수, 교란율)를 분석한 결과, 초지 및 경작지에서는 대부분 초본류로만 구성된 1층 구조의 단순한 식생구조와 교란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소나무 유묘가 다수 식재된 복원지의 경우 2층 구조의 식생구조가 나타났고, 복원사업으로 인한 교란과 인근의 등산로로 인해 귀화식물의 유입이 다른 훼손지에 비해 특히 높게 나타났다. 나지의 경우 고도가 높아 귀화식물의 유입은 낮았지만, 일년초와 이년초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 조사된 모든 유형의 훼손지는 천이 초기단계로 판단되었다. 훼손 유형별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I 축상의 복원지, 경작지, 초지, 벌채지 및 나지 순으로 나타나 훼손 유형별로 구분되어 배열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훼손 유형별 조사지와 참조생태계의 군락을 서열화한 결과,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처럼 생태적 복원 절차에 따라 식생정보에 기초한 훼손 유형별 실태를 진단하고, 진단 결과와 함께 참조생태계와의 종조성의 차이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복원 목표 및 복원 방향 설정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types of degraded areas of Mt. Jirisan section in Baekdudaegan and survey the actual condition of each damage type to use it as basic data for the direction of the restoration of damaged areas according to damage type based on the vegetation information ...

주제어

참고문헌 (31)

  1. An, J.H., C.H. Lim, S.H. Jung, A.R. Kim, D.M. Woo and C.S. Lee(2016) Diagnostic evaluation on the riparian vegetation in the Changwon and nam streams for preparing a restoration pl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2(5): 475-49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An, J.H., C.H. Lim, Y.K. Lim, K.B. Nam and C.S. Lee(2014) A review of restoration project evaluation and post management for ecological restoration of the river. Journal of Restoration Ecology 4(1): 15-3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An, J.H., C.H. Lim, Y.K. Lim, K.B. Nam, J.H. Pi, J.S. Moon, J.Y. Bang and C.S. Lee(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model for restoring a vegetation belt to buffer pollutant dischar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2(2): 205-21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Aronson, J., C. Floret, E. Le Floc'h, C. Ovalle and R. Pontanier(1993) Restoration and rehabilitation of degraded ecosystems in arid and semiarid regions. I. A view from the south. Restoration Ecology 1(1): 8-17. 

  5. Berger, J.J.(1993) Ecological restoration and nonindigenous plant species: A review. Restoration Ecology 1(2): 74-82. 

  6. Choi, Y.H., T.J. Choi, H.M. Kang and W. Cho(2015) The status of baekdudaegan mountains deterioration and management. Proc. Korean Soc. Environ. Ecol. Con. 25(2): 108-109. (in Korean) 

  7. Hill, M.O. and H.G. Gauch(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d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tatio 42(1-3): 47-58. 

  8. Kim, J.S. and T.Y. Kim(2018)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688pp. (in Korean) 

  9. Kong, W.S.(2008) Biogeography of Korean plants. Geobook, Seoul, 335pp. (in Korean) 

  10.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2002) The Korean Plant Names Index. Available at http://www.nature.go.kr/kpni 

  11.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2010) Geographical range of Baekdudaegan mountain system and development of restoration model for it's deteriorated ecosystem. Seoul, 224pp. (in Korean) 

  12.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6) The Second Master Plan for the Protection of Baekdudaegan (2016-2025). pp. 1-95. (Planning document in Korean) 

  13. Korea Forest Service(2015) Synthesis report on the second round natural resources change survey and management practice study if the Baekdudaegan mountains. Daejeon, 491pp. (in Korean) 

  14. Kwon, T.H., J.W. Lee and D.K. Kim(2004) Trail deterioration and managerial strategy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A case of the trail between Namdaeogyusan and Sosagogae. Kor. J. Env. Eco. 18(2): 175-1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Lee, C.S., Y.C. Cho, H.C. Shin, J.S. Moon, B.C. Lee, Y.S. Bae, H.G. Byun and H. Yi(2005) Ecological response of streams in Korea under different management regimes. Water Engineering Research 6(3): 131-147. 

  16. Lee, C.S., Y.C. Cho, H.C. Shin, S.M. Lee and H.J. Cho(2007) Effects of partial restoration practiced by a method suitable for riverine environment in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30(2): 155-162. 

  17. Lee, C.S., Y.M. Jeong and H.S. Kang(2011) Concept, direction and task of ecological restoration. J. of Restoration Ecology 2(1): 59-7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Lee, D.K., W.K. Song, S.W. Jeon, H.C. Sung and D.Y. Son(2007) Deforestation patterns analysis of the Baekdudaegan mountain rang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0(4): 41-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I. Hyangmunsa, Seoul, 1928pp. (in Korean) 

  20. Lee, Y.M., S.H. Park, S.Y. Jung, S.H. Oh and J.C. Yang(2011)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 Pl. Taxon 41(1): 87-10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1. Ministry of Environment(2004) The study on survey of degraded area in Baekdudaegan mountains. Ministry of Environment, Daejeon, 271pp. (in Korean) 

  22. Ministry of Environment(2009) Invasive alien animals and plants sourcebook. Ministry of Environment, Daejeon, 138pp. (in Korean) 

  23.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Jet Pulse Laboratory (2017) ASTER Global Digital Elevation Map Announcement. Available at https://asterweb.jpl.nasa.gov/gdem.asp 

  24. National Research Council(1991) The restoration of aquatic ecosystems: Science, technology, and public policy. National Academy Press, Washington, DC, 576pp. 

  25. Oh, H.K, J.H. Sagong and J.H. You(2011) Analysis on Environmental indices and naturalized plants distributed in Gyeryong-si, Korea. Kor. J. Env. Eco. 25(4): 479-48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SERI(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ternational Science & Policy Working Group)(2004). The SER International Primer on Ecological Restoration.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ternational Science & Policy Working Group. 

  27. Shackelford, N., R.J. Hobbs, J.M. Burgar, T.E. Erickson, J.B. Fontaine, E. Laliberte, C.E. Ramalho, M.P. Perring and R.J. Standish(2013) Primed for change: Developing ecological restoration for the 21st century. Restoration Ecology 21(3): 297-304. 

  28. Shin, M.H., J.H. Kim, J.O. Kwon, J.H. Lim, H.T. Choi and C.W. Park(2016) Comparison of survey methods and results for natural environment in Baekdudaegan mountain system. J. Korean Env. Res. Tech. 19(2): 1-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9. Song, H.K., G.S. Jeon, N.C. Kim, G.S. Park, H.J. Kwon and J.H. Lee(2007) Selection of replantation species in roadside cutting-slope area of the Baekdu range.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10(3): 52-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0. Yim, Y.J. and E.S. Jeon(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Botany 23: 69-83. (in Korean). 

  31. You, J.H?, J.H. Ra, H.J. Cho and J.N. Ku(2009) Practical plan and vascular plants around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forest in Baekdudaegan. Journal of Korean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5): 42-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