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Evaporative Stress Index (ESI)의 국내 가뭄 심도 분류 기준 제시
Percentile Approach of Drought Severity Classification in Evaporative Stress Index for South Korea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2 no.2, 2020년, pp.63 - 73  

이희진 (Department of Bioresources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남원호 (Department of Bioresources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Institute of Agricultural Environmental Science, National Agricultural Water Research Center,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윤동현 (Department of Bioresources and Rural Systems Engineering,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홍은미 (School of Natura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태곤 (Department of Bioproducts and Biosystems Engineering, University of Minnesota) ,  박종환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  김대의 (Rural Research Institute,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rought is considered as a devastating hazard that causes serious agricultural, ecological and socio-economic impacts worldwide. Fundamentally, the drought can be defined as temporarily different levels of inadequate precipitation, soil moisture, and water supply relative to the long-term average co...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bnormally dry (D0), Moderate drought (D1), Severe drought (D2), Extreme drought (D3), Exceptional drought (D4)을 포함한 복수의 가뭄 범주를 활용하여 가뭄에 대해 판단한다. 미국 전역에서 가뭄의 규모 및 공간적 범위에 대한 영향을 파악하고 표현하는 것을 목표료 하며, 가뭄 발생에 대하여 백분위수 (Percentile) 를 활용하여 가뭄 심도의 임계값을 표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USDM 기준으로 산정한 ESI 가뭄 단계의 적용성 판단을 위하여 Fig. 6과 같이 SGI와 월별 공간분포 양상을 비교하였다. ESI는 격자 단위의 지도로 표현되며, SGI 는 시군 단위로 정상-관심-주의-경계-심각의 단계로 표현된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ESI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뭄 판단 기준을 적용하였으며, 국내에 활용할 수 있는 가뭄 심도 분류 기준을 제시하였다. 실제 가뭄사상인 2017년 국내 지역을 대상으로 아노말리로 표현되는 기존 ESI, 가뭄 발생 지역, 표준지하수지수 (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SGI) 공간분포와 비교 하여 제시한 가뭄 단계에 대하여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기반 가뭄지수인 ESI의 국내 가뭄 판단에 대한 적용성을 위하여 기존의 아노말리를 통한 가뭄 경향성 파악이 아닌 격자별 가뭄 심도에 대한 국내 적용가능한 가뭄 단계를 명확하게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국 국립가뭄 경감센터 (NDMC)에서 활용하고 있는 USDM의 Percentile 방법을 적용하여 ESI의 가뭄 심도별 단계를 5단계로 구분하였고, USDM 기준 ESI를 2017년 실제 가뭄사상을 기준으로 기존 ESI, 가뭄발생면적, 표준지하수지수 (SGI)와 비교 및 분석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에서 검증된 ESI 데이터를 활용하여 미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뭄 판단 기준을 적용하였으며, 국내에 활용할 수 있는 가뭄 심도 분류 기준을 제시하였다. 실제 가뭄사상인 2017년 국내 지역을 대상으로 아노말리로 표현되는 기존 ESI, 가뭄 발생 지역, 표준지하수지수 (Standardized Groundwater level Index, SGI) 공간분포와 비교 하여 제시한 가뭄 단계에 대하여 적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존 ESI가 있음에도 USDM 기준 ESI을 산정한 이유는? USDM 기준 ESI는 아노말리로 표현하는 기존의 ESI와 동일하게 가뭄의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기존 ESI의 경우 가뭄 표현의 명확한 분류가 없기 때문에 가뭄의 심도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으로 인하여 객관성이 낮았다. 본 연구 에서 산정한 USDM 기준 ESI는 가뭄 심도의 구분을 통한 격자별 가뭄 분석 및 판단이 가능하여 소규모 지역의 가뭄 대응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표적인 가뭄지수에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가뭄을 해석하기 위하여 가뭄 심도, 빈도, 피해 면적과 기간의 영향을 고려한 가뭄지수를 이용하며, 대표적인 가뭄지수로는 표준강수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SPI), 파머가뭄심도지수 (Palmer Drought Severity Index, PDSI), 표준강수증발산지수 (Standardized Precipitation Evapotranspiration Index, SPEI), 강수평년비 (Percent of Normal Precipitation, PN), 토양수분지수 (Soil Moisture Index, SMI) 등이 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가뭄지수들이 개발되면서 가뭄 분류 기준의 등급도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의 피해 상황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의 피해는 지역으로 국한되지 않고 전 세계적으로 식량 및 경제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을 정도로 영향은 광범위하며 (Sternberg, 2011), 가뭄의 발생빈도가 잦아지고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피해 규모가 커지는 추세이다 (Wilhite et al., 2000; Sohn et al., 2014).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자연재해에 대한 적응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국립해양기상청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NOAA)이 발표하는 재해유형별 경제손실액 보고서 (Smith and Katz, 2013)에 의하면 가뭄에 의한 경제적 손실은 홍수에 비해 2배 이상이며, 1980년 이후 가뭄의 발생 빈도는 전체 재해빈도 중 14%에 해당하지만, 피해액은 전체 재해피해액의 25%를 차지하고 있다 (Na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