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D 스캔 데이터를 활용한 남자 고등학생의 발 형태 및 치수체계 분석
Analysis of Foot Shape and Size System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Using 3D Scan Data 원문보기

한국의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v.44 no.1, 2020년, pp.53 - 67  

신유진 (영남대학교 대학원 의류패션학과) ,  박순지 (영남대학교 의류패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oot shape and size specification of male high school students. 3D modeling programs such as 'Artec Studio', 'CATIA', and 'Auto CAD' measured the 3D scan data of 361 male high school students provided by KATS. Through principal factor analysis, 10 facto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3D 인체 스캔 데이터를 활용하여 361명의 남자 고등학생의 발 형태 특성을 파악하고 발 치수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또한 발직선길이, 볼둘레로 다른 항목의 치수를 추정할 수 있는 회귀식을 산출 하였다. 이를 통해 남자 고등학생의 발 형태에 대한 이해와 치수 적합성 향상과 올바른 신발 착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스캔 데이터를 활용하여 남자 고등학생의 발 형태 및 발 치수 분포 분석과 남자 고등학생의 발 치수를 추정할 수 있는 추정 회귀 식을 도출하여 신발 제작 시 참고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은 인체애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발은 지면과 유일하게 접촉하는 신체로, 인체의축 역할을 하는 동시에 인체의 하중을 지탱하고 균형 유지와 보행에 필요한 추진력 생성 및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담당한다(Jeon & Kwon, 2007; Kim & Nam, 2001; G.-C.
우리나라의 현행 신발 치수 규격은 어떻게 나눌 수 있는가? 우리나라의 현행 신발 치수 규격은 일반 보행용 신발 치수 규격인 KS M 6681(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2017)과 구두용 치수 규격 KS G 3116(KATS, 2015)으로 나뉘어져 있다. 일반 보행용 신발(일반 신발)은 12세를 기준으로 남자용 ⋅여자용(성인용)과 어린이용으로 나뉘며 발길이, 발둘레와 발너비로 치수를 표기하고 있다.
KS M 6681의 규정 내용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현행 신발 치수 규격은 일반 보행용 신발 치수 규격인 KS M 6681(Korea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2017)과 구두용 치수 규격 KS G 3116(KATS, 2015)으로 나뉘어져 있다. 일반 보행용 신발(일반 신발)은 12세를 기준으로 남자용 ⋅여자용(성인용)과 어린이용으로 나뉘며 발길이, 발둘레와 발너비로 치수를 표기하고 있다. 남성용의 경우, 발길이가 5mm씩 증가하여 200mm부터 300mm 까지 설정되어있으며, 발둘레는 3mm, 발너비는 2mm 간격으로, 동일한 발길이 치수 내에서는 발둘레 6mm, 발너비 2mm 간격으로 증가하여 가장 작은 호수 A부터 가장 큰 호수 G로 규정되어 있다(KATS, 2017). 구두는 구두골 규격인 KS G 3405(KATS, 2016)를 따라 18세를 기준으로 성인용과 청소년용으로 나뉘며, 발 길이와 볼둘레, 골둘레로 치수를 표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