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직이착륙(VTOL) 무인항공기 감항기준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irworthiness Standards for VTOL UAS 원문보기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v.14 no.1, 2020년, pp.44 - 53  

길기남 ((주)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원) ,  유민영 ((주)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원) ,  박종성 ((주)대한항공 항공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무인항공기 산업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 인터넷 등의 4차 산업혁명 기술과 융합하여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발전하고 있다. 미국과 같은 항공 선진국들은 비행안전성이 보장된 무인항공기 개발에 많은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경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2011년 국가 R&D 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최초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인 스마트무인기 개발에 성공하였고, 이를 통해 첨단 IT 기술이 접목된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개발 기술을 보유하게 되었다. 이러한 국가차원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의 개발과 시장 운용은 제한적이다. 국내 기술로 개발한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의 형식증명 절차는 국내 항공안전법에 명시되어 있으나 형식증명을 위한 감항기준은 아직 제정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체 중량 150 kg을 초과하는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의 국내 외 개발 동향과 국가별 인증제도 및 절차에 대해 조사하고, 유럽항공안전청에서 2019년 7월 2일 제정공포한 수직이착륙 항공기용 특별감항요건(special conditions)을 벤치마킹하여 국내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형식증명을 위한 감항기준을 정립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conjunction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ndustry is being developed to a new paradigm by combining advanced technologies such as AI, Big Data and the IoT. Aeronautical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S. are focusing their efforts on the development of the ...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미국, 유럽, 한국 등 국가별민간분야 중심으로 무인항공기 감항기준 현황과 최근 유럽항공안전청(EASA)에서 제정한 수직이착륙 항공기용 특별감항요건인 SC-VTOL-01을 상세 분석하였다. 또한, SC-VTOL-01의 기준 문서인 CS-23Amendment 5 대비 기준 삭제 및 추가, 변경된 항목에 대해 분석하여 향후 대한민국의 민간용 수직이착륙무인항공기 개발과 감항기준 정립 시 참고할 수 있도록 하였다.
  • 먼저, 항공기 개발 능력을 보유한 국가에서 개발을 통한 계통 별 기술기준을 적용하여 검증하고 이를 감항기준으로 채택하는 방안과 타국가에서 이미 검증되어 적용하고 있는 기종 및 유형별 감항기준을 그대로 채택하여 자국의 감항기준으로 적용하는 방안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2개 방안을 고려하여 한국 실정에 부합된 자체중량 150 kg을 초과하는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감항기준 개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항기준 개발의 2가지 접근 방법은? 일반적으로 감항기준 개발은 아래와 같이 2가지 접근방법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항공기 개발 능력을 보유한 국가에서 개발을 통한 계통 별 기술기준을 적용하여 검증하고 이를 감항기준으로 채택하는 방안과 타국가에서 이미 검증되어 적용하고 있는 기종 및 유형별 감항기준을 그대로 채택하여 자국의 감항기준으로 적용하는 방안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기 2개 방안을 고려하여 한국 실정에 부합된 자체중량 150 kg을 초과하는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 감항기준 개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항공안전법에서 무인기를 분류하는 2가지는 무엇인가? 항공안전법에서는 무인기를 비행특성과 관계없이 항공기 중량 150 kg을 기준으로 무인동력비행장치와 무인항공기로 분류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항공기 중량이150 kg을 초과하는 수직이착륙 무인항공기를 대상으로 하며, 무인항공기는 항공안전법에 따라 Table 1과같이 무인항공기로 분류되고 특별감항증명 대상이다.
수직이착륙 항공기 개발의 계기는? 무인항공기 개발 및 운용이 본격화되기 이전인 제 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은 고정익 유인항공기가 운용 환경상의 문제로 이착륙이 불가할 경우에도 제공권을 장악할 수 있도록 야지에서도 쉽게 이착륙 할 수 있는 수직이착륙 항공기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군수산업체에 고정익 항공기를 기반으로 날개(wing)를 회전(tilt) 시키는 수직이착륙 항공기 개발을 발주하였다. 수직이착륙 항공기는 기술적 문제로 실용화되지는 못하다가 이후 지속적인 군수산업의 발달로 1950년대 말에 실용화 배치 단계에 이르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L. Pinsard, "VTOL Special Condition," Rotorcraft Structures Workshop 2019, Feb 2019. 

  2. World UAS Annual Production Value Forecast, 2017 Ed., Teal group corporation, Fairfax, 2017 

  3. S. O. Koo,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Smart UAV," Proc.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conference, Feb 2013. 

  4. O. S. An, "Tilt rotor aircraft and high speed VTOL aircraft development competition,"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 Treads in Aerospace, KARI, vol. 5, pp. 76-78, July 2017. 

  5. European Aviation Safety Agency , SC-VTOL-01: Special Condition for VTOL Aircraft, Cologne, July 2019. 

  6. NATO Standardization Office, AEP-89: Draft of UAV systems Airworthiness requirements for Light VTOL Aircraft, Ed.A, Ver.1, Brussels, 201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