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높은 항복전압(>1,000 V)을 가지는 Circular β-Ga2O3 MOSFETs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Circular β-Ga2O3 MOSFETs with High Breakdown Voltage (>1,000 V)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3 no.1, 2020년, pp.78 - 82  

조규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 ,  문재경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 ,  장우진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 ,  정현욱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MOSFETs fabricated on Si-doped, MBE-grown β-Ga2O3 are demonstrated. A Si-doped Ga2O3 epitaxial layer was grown on a Fe-doped, semi-insulating 1.5 cm × 1 cm Ga2O3 substrate using molecular beam epitaxy (MBE). The fabricated devices are circular type MOSFETs with a gate l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Si가 도핑되어 MBE로 성장된 β-Ga2O3 웨이퍼상에 circular type의 MOSFETs을 제작하였으며 소자의 전기적 특성을 분석 및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β-산화갈륨(β-Ga2O3)의 특성은? 산화갈륨은(Ga2O3) transparent conductive oxides(TCOs) 물질 중 하나로 몇 가지 다른 상(polymorphs)을 가지는데 그중 열적으로 가장 안정적인 β-산화갈륨(β-Ga2O3)은 4.8~4.9 eV에 달하는 매우 넓은 밴드갭(ultra-wide band gap)을 가지며 항복전계(breakdown field, 6~8 MV cm-1)가 높아 고전압, 고전력이 요구되는 스위칭 소자 제작에 유리한 특성을 갖는다 [1-6]. 표 1은 전력반도체 제작에 주로 사용되는 Si, 4H-SiC,GaN, Diamond의 물성을 β-Ga2O3와 비교하여 나타낸 것으로 Johnson’s FOM과 Baliga’s FOM이 타 물질 대비 높음을 알 수 있다 [2].
소자 간의 격리(device isolation)를 위해 산화갈륨에 건식식각을 진행하는 이유는? 먼저 소자 간의 격리(device isolation)을 위해 MESA 식각을 진행하였다. 산화갈륨은 화학적으로 안정적인 물질이기 때문에 습식 식각 대신 건식 식각을 통해 패터닝을 해야 한다. Cl 계열의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Cl2 혹은 BCl3을 이용하여 식각하는 것이 가능하다 [14-16].
소자를 핑거형태가 아니라 circular type FETs의 형태로 설계했을때의 장점은? 소자는 원형의 드레인을 게이트와 소스가 고리 형태로 감싸안는 circular type FETs의 형태를 가지도록 설계했는데 통상적으로 대면적 소자 제작에 사용되는 핑거형태(finger type)에 비해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확장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음에도 이는 구조 특성상 전계가 소스 패드 안쪽에만 국한되도록 하여 누설전류가 적고 소자 간의 격리(device isolation) 없이도 동작이 되게끔 하는 장점이 있어 테스트용 소자를 제작하는 데 있어 널리 쓰이는 방법이다 [11,12]. 설계한 소자의 게이트 길이(gate length)는 3 µm, 소스 드레인 간격은 20 µm, 게이트 폭(gate width)은 523 µm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 Shimamura, E. G. Villora, K. Domen, K. Yui, K. Aoki, and N. Ichinose, Jpn. J. Appl. Phys., 44, L7 (2005). [DOI: https://doi.org/10.1143/jjap.44.l7] 

  2. M. Higashiwaki, K. Sasaki, A. Kuramata, T. Masui, and S. Yamakoshi, Appl. Phys. Lett., 100, 013504 (2012). [DOI: https://doi.org/10.1063/1.3674287] 

  3. M. Higashiwaki, A. Kuramata, H. Murakami, and Y. Kumagai, J. Phys. D: Appl. Phys., 50, 333002 (2017). [DOI: https://doi.org/10.1088/1361-6463/aa7aff] 

  4. J. K. Mun, K. Cho, W. Chang, H. Lee, S. Bae, J. Kim, and H. Sung,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32, 201 (2019). [DOI: https://doi.org/10.4313/JKEM.2019.32.3.201] 

  5. J. K. Mun, K. J. Cho, J. W. Do, H. S. Lee, S. B. Bae, and W. J. Chang, Proc.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Annual Summer Conference 2018 (CDM THE BIG, Goseong-Gun, Korea, 2018) p. 35. 

  6. J. K. Mun, K. J. Cho, W. J. Chang, and H. Jung, Proc.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Annual Summer Conference 2019 (CDM THE BIG, Heongsung-Gun, Korea, 2019) p. 31. 

  7. B. J. Baliga, IEEE Electron Device Lett., 10, 455 (1989). [DOI: https://doi.org/10.1109/55.43098] 

  8. M. Baldini, Z. Galazka, and G. Wagner, Mater. Sci. Semicond. Process., 78, 132 (2018). [DOI: https://doi.org/10.1016/j.mssp.2017.10.040] 

  9. A. Y. Polyakov, N. B. Smirnov, I. V. Schemerov, A. V. Chernykh, E. B. Yakimov, A. I. Kochkova, A. N. Tereshchenko, and S. J. Pearton, ECS. J. Solid State Sci. Technol., 8, Q3091 (2019). [DOI: https://doi.org/10.1149/2.0171907jss] 

  10. A. Y. Polyakov, N. B. Smirnov, I. V. Shchemerov, S. J. Pearton, F. Ren, A. V. Chernykh, and A. I. Kochkova, Appl. Phys. Lett., 113, 142102 (2018). [DOI: https://doi.org/10.1063/1.5051986] 

  11. H. Yu, M. Schaekers, T. Schram, N. Collaert, K. D. Meyer, N. Horiguchi, A. Thean, and K. Barla, IEEE Electron Device Lett., 35, 957 (2014). [DOI: https://doi.org/10.1109/led.2014.2340821] 

  12. K. J. Cho, H. Jung, W. J. Chang, and J. K. Mun, Proc.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Annual Summer Conference 2019 (KIEEME, Heongsung-Gun, Korea, 2019) p. 37. 

  13. S. Jakschik, U. Schroeder, T. Hecht, M. Gutsche, H. Seidl, and J. W. Bartha, Thin Solid Films, 425, 216 (2013). [DOI:https://doi.org/10.1016/s0040-6090(02)01262-2] 

  14. J. E. Hogan, S. W. Kaun, E. Ahmadi, Y. Oshima, and J. S. Speck, Semicond. Sci. Technol., 31, 065006 (2016). [DOI:https://doi.org/10.1088/0268-1242/31/6/065006] 

  15. L. Zhang, A. Verma, H. G. Xing, and D. Jena, Jpn. J. Appl. Phys., 56, 030304 (2017). [DOI: https://doi.org/10.7567/jjap.56.030304] 

  16. J. Yang, S. Ahn, F. Ren, S. Pearton, R. Khanna, K. Bevlin, D. Geerpuram, and A. Kuramata, J. Vac. Sci. Technol., B, 35, 031205 (2017). [DOI: https://doi.org/10.1116/1.4982714] 

  17. H. Jung, K. J. Cho, W. J. Chang, and J. K. Mun, Proc.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Annual Summer Conference 2019 (KIEEME, Heongsung-Gun, Korea, 2019) p. 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