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테라포밍에 대한 과학적 모델링 수업에서 소그룹 상호작용 중 발현되는 초등학생의 창의성
Elementary Students' Creativity Appear in Small Group Interactions During Model-Based Classrooms on Terraforming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40 no.6, 2020년, pp.611 - 620  

박신희 (서울대학교) ,  최승언 (서울대학교) ,  김찬종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학생들의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창의성을 사회적 구성주의 관점에서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가 구성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으로 보고, 이것이 성인의 지도보다는 학습자끼리 서로 상호작용할 때 더 활성화 될 수 있음에 주목하였다(Vygotsky, 1978). 이에 따라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창의성과 그것에 영향을 미치는 소그룹 상호작용의 특징에 대하여 질적 분석을 통한 본질적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는 실제 수업에 활용할 9차시의 모듈을 개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한국의 4학년 초등학생 24명(남 12명, 여 12명)이다. 연구자는 수업자 및 관찰자로서 연구에 참여했으며, 수업 동영상 자료와 녹음 자료, 학생 면담 녹음 자료, 활동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창의성의 수준은 'Mini-C' 창의성(Beghetto & Kaufman, 2007)을 기준으로 하였으며, 학생들의 창의성 분석을 위하여 Davis, Rimm & Siegle(2010)가 제시한 19가지 창의적 능력을 참고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 모델링 과정에서 주로 나타난 학생들의 창의성은 정교화, 평가, 시각화, 성급한 결론의 유보, 독창성, 분석, 집중 등이었다. 또한 모델링 과정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소그룹 상호작용은 '제안', '동의', '질문', '반박', '전환'의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었다. 각각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들은 모델링 과정에서 자신만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특히 어린 학생들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개인 모델을 무조건적으로 반영하기 보다는 다양한 창의적 능력의 사용과 합의를 통해 더 나은 그룹 모델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은 앞으로 과학적 모델링 연구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에 더욱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creativity factors of students in the process of small group modeling and relate them to the types of interactions among students. In order to capture students' detailed interaction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essential case study' through qualitative analys...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라고 설명하였다. S23 또한 비슷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그냥 물 만드는 기계 만들면 안돼?”, “그냥 과학기 술이 발달해서 물이 자동으로 생성되는 거예요.”와 같이 말하며 과학 기술로 어려운 문제를 손쉽게 해결하고자 하였다. S41의 경우, 그룹원 이 “인공태양을 어떻게 만들어?”라고 묻자, “그땐 미래겠지.
  • 전체적인 연구 데이터의 해석은 귀납적이며 상향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자는 데이터의 일반화 이전에 학생들의 세부적 행동 및 담화를 분석하고, 상황적 맥락을 상세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적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모델링 활동에서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담화 및 행위에 대해 연구자의 해석보다는 학생들의 주관적 신념과 지식의 구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소그룹 상호작용과 학생들의 창의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먼저 ‘테라포밍’이 라는 개방형의 비구조화된 주제를 다룬 교수 학습과정안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모델링 수업 중 학생들의 담화 및 태도, 그리고 개인 활동지 등의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창의성의 수준과 구분을 참고하여, 수업 중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다양한 mini-C 수준의 창의성의 발견에 주목했다. 이에 먼저 1-9차시의 모델링 기반 수업의 자료(수업 동영상, 녹음)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수업 태도와 그룹별 성향 및 친밀도, 전체적인 수업 참여도 등을 파악하였다.
  • 본 연구는 이러한 특성을 가진 창의성과 학생들의 과학적 모델링 간의 관련에 주목한다. 그 까닭으로 Gilbert & Justi(2016)는 “모델링 에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는 것은 학생들이 그들만의 질문을 하거나 실험을 제안, 설명이나 예측을 만들거나 평가할 수 있도록 느끼게 함으로써 학생들이 보다 창의적이 되도록 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Nersessian(2008)은 과학자의 연구 과정을 추적하여 “모델링이 어떤 주제에 대해 비유, 이미지적 표상, 사고실험을 사용하기에 창의적인 활동”임을 밝혔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적 모델링 과정 중 소그룹 상호작용에서 드러난 학생들의 창의성을 서술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창의적 능력 이상 호작용 유형에 따라 다르게 발휘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이어서 민석이는 이전에는 생각하지 못한 것(독창성)을 이야기하며 이를 이미지화 시키는 시각화를 사용한다. 이를 들은 도현이는 민석이의 말에 ‘동의’(12)하며 민석이가 말한 이미지를 다른 방식으로 시각화시키며 민석이가 이야기한 것으로부터 증기의 개념을 유추하여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이때 보라가 잘 이해하지 못했다(14)고 말하자, 도현이는 자신의 생각을 정교화하여 다시 설명하고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자는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창의성을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학습자가 구성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으로 여기며, 성인의 지도보다는 학습자들 간에 서로 상호작용할 때 더 활성화될 수 있다고 본다(Vygotsky, 1978). 이에 본 연구는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소그룹 상호작용과 창의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전체적인 연구 데이터의 해석은 귀납적이며 상향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자는 데이터의 일반화 이전에 학생들의 세부적 행동 및 담화를 분석하고, 상황적 맥락을 상세하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사회적 구성주의를 바탕으로, 모델링 활동에서 이루어지는 학생들의 담화 및 행위에 대해 연구자의 해석보다는 학생들의 주관적 신념과 지식의 구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각각의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들은 모델링 과정에서 자신만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수정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특히 어린 학생들임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개인 모델을 무조건적으로 반영하기보다는 다양한 창의적 능력의 사용과 합의를 통해 더 나은 그룹 모델을 형성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점은 앞으로 과학적 모델링 연구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에 더욱 주목해야 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Amabile, T. M. (1988). A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n organizations.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10(1), 123-167. 

  2. Beech, M. (2009). Terraforming: The Creating of Habitable Worlds. NY: Springer New York. 

  3. Beghetto, R. A., & Kaufman, J. C. (2007). Toward a broader conception of creativity: A case for "mini-c" creativity. Psychology of Aesthetics, Creativity, and the Arts, 1(2), 73-79. 

  4. Campbell, T., Oh, P. S., & Neilson, D. (2012). Discursive Modes and Their Pedagogical Functions in Model-Based Inquiry (MBI) Classroom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4(15), 2393-2419. 

  5. Clement, J. (1989). Learning via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In Handbook of creativity (pp. 341-381). Springer. 

  6. Csikszentmihalyi, M. (1996). The creative personality. Psychology today, 29(4), 36-40. 

  7. Csikszentmihalyi, M. (1996).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New York: Harper Collins. 

  8. Daniels­McGhee & Davis, G. A. (1994). The imagery­creativity connection.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28(3), 151-176. 

  9. Davis, G. A., Rimm, S, B., & Siegle, D. (2010).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6th edition). Pearson. 

  10. Einstein, A., & Infeld, L. (1966). The Evolution of Physics. New York: Simon and Schuster. 

  11. Gilbert, J. K., & Afonso, A. S. (2015). Lifelong Learning: Approaches to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Chemistry by Everybody. Chemistry Education: Best Practices, Opportunities and Trends, 123-148. 

  12. Gilbert, J. K., Boulter, C., & Rutherford, M. (1998). Models in explanations, Part 1: Horses for cour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0(1), 83-97. 

  13. Gilbert, J. K., & Justi, R. (2016). Modelling-based teaching in science education. Switzerland: Springer. 

  14. Guilford, J. (1971). Some misconceptions regarding measurement of creative talents.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5. Halloun, I. A. (2006). Fundamental Tenets of Modeling Theory. Modeling Theory in Science Education, 1-32. 

  16. Horst, S. (1993). Learning physics by making models. Physics Education, 28(2), 102-106. 

  17. Jonassen, D., Strobel, J., & Gottdenker, J. (2005). Model building for conceptual change. Interactive Learning Environments, 13(1-2), 15-37. 

  18. Justi, R. (2006). La ensenanza de ciencias basada en la elaboracion de modelos. Ensenanza de las ciencias: Revista de investigacion y experiencias didacticas, 24(2), 173-184. 

  19. Kang, E., Choe, S., Kim, C., Kim, H., Lee, S., Park, H., Yoo, J. (2012). Exploring the Patterns of Group model Development about Blood Flow in the Heart and Reasoning Process by Small Group Interac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2(5), 805-822. 

  20. Khan, S. (2007). Model­based inquiries in chemistry. Science Education, 91(6), 877-905. 

  21. Koponen, I. T. (2007). Models and modelling in physics education: A critical re-analysis of philosophical underpinnings and suggestions for revisions. Science & Education, 16(7-8), 751-773. 

  22. Martinez, J. M. O., & del Mar Aragon-Mendez, M. (2009). Contribucion del aprendizaje con analogias al pensamiento modelizador de los alumnos en ciencias: marco teorico. Ensenanza de las ciencias: Revista de investigacion y experiencias didacticas, 27(2), 195-208. 

  23. McComas, W. F. (1998). The principal elements of the nature of science: Dispelling the myths. In The nature of science in science education (pp. 53-70). Springer. Dordrecht. 

  24.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national science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5. Morgan, M. S. & Morrison, M. (1999). Models as mediators: Perspectives on natural and social science (Vol. 52), (pp. 10-37).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 Mozzer, N. B., Justi, R., & Costa, P. P. (2011). Students' analogical reasoning when participating in modelling-based teaching activities. Paper presented at the Ebook proceedings of the ESERA 2011 conference-science learning and citizenship. Universite de Lyon, Lyon. 

  27. Nersessian, N. J. (2008). Mental modeling in conceptual change. International handbook of research on conceptual change, 391-416. 

  28. Nersessian, N. J. (2010). Creating scientific concepts: MIT press. 

  29. Osborn, A. F. (1953). Applied imagination. Oxford, England: Scribner'S. 

  30. Park, K., Ryu, J., Park, I., Bang, S., Yuk, K., Yoon, Y., Lee, M., Lee, S., Lee, J., Jeon, M., Jeon, Y., Cho, S., Jin, S. (2014). Gifted Education at a Glance. Seoul: Hakjisa Co. 

  31. Rea-Ramirez, M. A., Clement, J., & Nunez-Oviedo, M. C. (2008). An instructional model derived from model construction and criticism theory. In Model based learning and instruction in science (pp. 23-43). Springer. 

  32. Reitman, W. R. (1965). Cognition and thought: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 Oxford, England: Wiley. 

  33. Rogers, C. R. (1954). Toward a theory of creativity. ETC: A Review of General Semantics, 11(4), 249-260. 

  34. Sawyer, K. (2011). Extending Sociocultural Theory to Group Creativity. Vocations and Learning, 5(1), 59-75. 

  35. Torrance, E. P. (1962). Guiding creative talent. Englewood Cliffs, NJ, US: Prentice-Hall, Inc. 

  36. Torrance, E. P. (1972). Can we teach children to think creatively?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6(2), 114-143. 

  37. Torrance, E. P. (1979). An instructional model for enhancing incubation.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 13(1), 23-35. 

  38. Torrance, E. P. (1980). Creativity and style of learning and thinking characteristics of adaptors and innovators. Creative Child & Adult Quarterly. 5(2), 80-85. 

  39. Torrance, E. P. (1988). The nature of creativity as manifest in its testing.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43-75. 

  40. Voss, J. F., & Post, T. A. (1988). On the solving of ill-structured problems. In M. T. H. Chi, R. Glaser, & M. J. Farr (Eds.), The nature of expertise (pp. 261-285).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41. Vygotsky, L. (1978). Interaction between learning and development. Readings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 23(3), 34-41. 

  42. Windschitl, M., Thompson, J., & Braaten, M. (2008). Beyond the scientific method: Model­based inquiry as a new paradigm of preference for school science investigations. Science Education, 92(5), 941-967. 

  43. Yu, H., Ham, D., Cha, H., Kim, M., Kim, H., Yoo, J., Park, H., Kim, C., Choe, S. (2012). Model Creation and Model Developing Process of Science Gifted Students in Scientific Model Constructing Class for Phase Change of the Moon. The Korean Society for the Gifted and Talented, 22(2), 291-3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