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시 가로수 역사와 수목 고찰
A Study on the History and Species of Street Trees in Seoul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4, 2020년, pp.58 - 67  

송석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환경계획 및 조경학전공) ,  김민경 (서울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시 가로수의 역사적 가치를 지닌 수종 선정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고문헌에 기록된 가로수 역사와 수종을 고찰하였다. 또한 다양한 수종 대안을 위해 전통조경수목을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리나라 가로수 역사는 고구려 양원왕(陽原王) 2년(546), 고려 명종 27년(1197) 등에 가로수로 추정되는 기록이 남아있으나 사료적 명료성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조선 초 세종 23년(1441)에는 국가의 역로(驛路)에 표목(標木)으로 가로수를 심은 것이 확인되며, 표목으로 식재된 가로수는 느릅나무와 버드나무가 확인된다. 조선 초 가로수제도의 시행은 단종 1년(1453) 기록으로 알 수 있으며 큰길 좌우로 소나무, 잣나무, 배나무, 밤나무, 회화나무, 버드나무 등이 식재되었고, 세조 5년(1459)에는 길가에 뽕나무를 심었다. 영조 연간에 그려진 정선의 『압구정』이나 『진헌마정색도』에는 가로수가 열식되어 있으며 이는 왕들의 행차, 한양 출입의 주요 도로, 마장(馬場)의 장소성, 수해에 따른 도로 보호와 표식 등의 복합적인 요인이 고찰되었다. 정조 연간에는 왕의 능 행차에 연관되어 소나무, 전나무, 버드나무 등의 가로수를 열식한 사례가 두드러지며, 이는 왕이 지나는 연도(輦道)와 해당 능역을 성역화하려는 가로수 식재기법으로 보았다. 개항 이후 고종 32년(1895)에는 국가에서 도로 좌우에 가로수를 심을 것을 장려하였고, 근대적 가로수 식재개념이 도입되었다. 당시 한양의 가로수는 사시나무가 속성수로써 주요하게 식재되었다. 서울시 가로수로 활용 가능한 고문헌 출현 교목은 삼국시대 17분류군, 고려시대 31분류군, 조선시대 55분류군이 추출되었으며, 16분류군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모두에서 중복적으로 3회 출현한 수목으로 역사적 가치가 상대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외래수종이 유입되고 법제가 변화하면서 가로수제도의 현대적 수용이 이루어졌다. 1936년 경성부 권역의 확대에 따른 가로수 6개년 식수계획(1934-1940)이 시행될 당시 경성의 10대 가로수 수종은 '모니리페라'로 불린 현재 미루나무의 아종, 이태리포플러, 사시나무, 은백양 등의 포플러류가 1~4순위로 가장 많이 식재되었으며 수양버들, 아까시나무, 버즘나무, 양버즘나무, 은행나무, 네군도단풍이 5~10순위로 나타났다. 1930년대 중후반부터 버즘나무와 양버즘나무가 새로운 가로수로 소개되며 대규모 식재되기 시작하였고, 1942년부터는 피마잠의 장점이 있는 가죽나무를 가로수로 권장하기도 하였다. 해방 이후 1957년 가로수 수종은 양버즘나무, 은행나무, 이태리포플러, 가죽나무, 미루나무, 수양버들 순으로 나타나 일제강점기 수종들의 순위변화를 보였으며, 양버즘나무와 은행나무의 비중이 높은 점에서 당시의 식재 경향이 현재까지도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as part of basic research for selecting species of street trees with historical value in Seoul. It also made up a list of traditional landscape trees for a variety of alternatives. The following results are shown below. As to the history of street trees in Korea, reco...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42)

  1. Sanders RA(1981). Diversity in the street trees of Syracuse, New York. Urban Ecol., 5: 33-43. 

  2. Mcpherson EG, Nowak D, Heisler G, Grimmond S, Souch C, Grant R, Rowntree R(1997). Quantifying urban forest structure, function and value: Chicago Urban Forest Climate Project. Urban Ecosyst., 1: 49-61. 

  3. Chacalo A, Aldama A, Grabinsky J(1994). Street tree inventory in Mexico City. J. Arboricult., 20: 222-226. 

  4. Landeshauptstadt Dusseldorf(2016). Zukunftsbaumliste Dusseldorf 

  5. Santamour FS(1990). Trees for urban planting: Diversity, uniformity and common sense. 7th Conference METRIA. 7: 57-65. 

  6. Bassuk N(1990). Street tree diversity making better choices for the urban landscape. 7th Conference METRIA. The Morton Arboretum, Lisle, Illinois. 

  7. Richards NA(1993). Reasonable guidelines for street tree diversity, Journal of Arboriculture, 19: 344-350. 

  8. 서울시 통계시스템(http://data.seoul.go.kr). 

  9. 국회예산정책처(2018). 도시재생 뉴딜 분석. 

  10. The Seattle Department of Transportation(2014). Street Tree Manual. 

  11. City of Sydney(2011). Street Tree Master Plan(updated 2015). 

  12. Bureau of the HKSAR(2018). Street Tree Selection Guide. 

  13. 한국고전종합 DB(db.itkc.or.kr) 

  14. 김해경(2018). 일제강점기 경성 내 가로수에 대한 일고찰. 서울역사 98(-): 145-185. 

  15. 윤국병(1982). 高麗時代의 庭苑用語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1): 28-40. 

  16. 윤영활(1985). 고려시대 정원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4(1): 371-378. 

  17. 배상선, 심우경(1989). 조경식물의 상징성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8(1): 281-31. 

  18. 정동오(1990). 동양조경문화사. 전남대학교출판부. 

  19. 민경현(1991). 한국의 정원. 서울: 민음사. 

  20. 심우경(1998). 식물의 상징성을 활용한 도덕교육.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1(1): 34-46. 

  21. 이상희(1998). 꽃으로 보는 한국문화 1-3. 서울: 넥서스북. 

  22. 정민(2003). 의 작가 유박(1730-1787)과 화암수록 . 한국시가학회. 14(-): 101-133. 

  23. 이선(2006). 우리와 함께 살아온 나무와 꽃. 서울: 수류산방중심. 

  24. 노재현, 오현경, 한상엽(2009). 비해당사십팔영 의 출현식물이 조선시대 원예 관련서에 미친 영향.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2): 1-12. 

  25. 신상섭, 노재현(2009). 지봉유설 로 본 이수광의 조경식물 인식 및 가치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1-10. 

  26. 강희안 저, 이종묵 역(2012). 양화소록. 서울: 아카넷. 

  27. 임의제, 소현수(2012). 전통원림에 도입된 매화(Prunus mume)의 이용과 배식 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 30(3): 68-79. 

  28. 홍형순(2013). 전통정원에서 오동(梧桐)의 수종, 식재 위치와 경관적 활용.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1(2): 20-30. 

  29. 노재현, 한상엽, 최승희(2019). 괴정(槐亭)의 잔존 수종을 통해 본 괴목(槐木) 식재의 문화변용.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7(4): 81-97. 

  30. 김윤하(2004). 신라 왕경숲 조성에 있어서 주요 수종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2(5): 52-62. 

  31. 경주시(2015). 신라전통수종복원 타당성조사 용역. 

  32. 중앙문화재연구원(2011). 대전 도안지구 택지개발사업부지 내 대전 상대동 원골유적. 

  33. 수원화성박물관(2010). 사진으로 보는 화성. 백년의 여정. 

  34. 강영호, 이천용, 배영태(2010). 구한말 일제강점기 이후 서울의 풍치림조성 및 치산치수 역사. 한국산림공학회지. 8(1): 19-29. 

  35. 독립신문,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매일신보, 동아일보, 조선중앙일보, 조선신문. 

  36. 인천광역시교육청 화도진도서관 향토개항문화자료관. 

  37. T. Fisher Unwin(1911). THE STORY OF KOREA. 

  38. 日韓書房.日之出商行.海市商會(1911). 朝鮮風景人俗寫眞帖. 

  39. 京城日報社(1919). 德壽宮國葬畵帖. 

  40. 朝鮮總督府(1921). 寫眞帖 朝鮮. 

  41. 朝鮮博文社(1926). 純宗國葬錄. 

  42. Government-General of Chosen(1928). ANNUAL REPOR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