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관리를 위한 자연기반해법과 유사개념들의 유형분류 및 체계
Typological System of Nature-based Solutions and Its Similar Concepts on Water Management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7 no.1, 2020년, pp.15 - 25  

우효섭 (광주과학기술원지구환경공학부) ,  한승완 ((주)삼안 수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사회환경적 문제의 해결방안으로서 새롭게 등장한 자연기반해법 (NbS) 개념을 물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생태계에 기반을 둔 기존 유사개념들과 비교, 평가한 것이다. NbS는 (자연)생태계 기능이 사회환경문제 해결에 활용하기 위한 기존의 다양한 접근방법들을 포괄적으로 대표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있으며, 특히 교육적, 설득적인 면에서 유익한 개념이다. 그러나 물관리 측면에서 접근방법론은 특히 Eco-DRR을 포함하는 광의의 그린인프라와 실제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협의의 그린인프라는 현재 우수관리에 초점을 맞추고 있기 때문에 NbS 개념은 여전히 유용하다. 물관련 제 방법론은 개념적, 공간적 포괄성 관점에서 NbS-(EE)-BGI-(CRT)-GI-LID 순으로 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LID 용어는 토지개발사업과 같이 특정한 경우를 제외하고 혼돈스럽지 않도록 그린인프라 용어로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ve compared and conceptually evaluated the newly emerging concept of nature-based solutions (NbS's), in the aspect of water management, and existing similar solutions of different naming, all of which are based on ecosystem functions. In this study, it is found that NbS's seem significant and mea...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Fig. 1에 제시된 유형화에 기초하여 기존 생태계기반 대책이나 해법들의 상호위계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해법들은 최상위 개념으로서 NbS를 포함하여 Table 1에 제시된 항목들 중 생태기술 (Ecological engineering, EE), 생태계기반 재해위험저감 (Disaster risk reduction, DRR), 그린인프라 (Green infra, GI) 등이다.
  • 본 연구에서는 NbS의 정의와 의의부터 시작하여, 생태계-접근 방식의 포괄적 상위개념으로서 NbS를 논하고, 다음 NbS와 유사한 기존 방법론들과 비교평가하고, 마지막으로 요약과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일반적 NbS개념의 소개와 검토부터 시작하지만 유사한 기존 개념과 구체적인 비교분석과 검토는 어디까지나 물관리에 초점을 맞추어 진행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co-DRR과 EBA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이 용어는 그와 비슷한 시기에 쓰이기 시작한 이른바 기후변화적응 (Climate change adaptation, CCA)을 위한 생태계기반 접근 (Ecosystem-based approach, EBA) 개념과 매우 유사한 면이 있다 (UNEP 2015). 두 방법 모두 생태계 서비스를 적극 이용한다는 점은 같으며, 다만 이용목적이 전자는 기후변화적응을 위한 것이며, 후자는 자연재해 저감대책이다. 그러나 기후변화에 의한 문제는 상당부분 자연재해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점에서는 두 개념은 사실상 같다고 할 수 있다. 또한 Table 1과 같이 이 두 개념 모두 자연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NbS라 할 수 있다.
IUCN에서 정의한 NbS란? NbS는 한 마디로 기후변화, 식량안보, 자연재해 등 인류가 당면한 사회적 도전에 대처하기 위해 생태계 기능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다. IUCN은 조금 더 구체적으로 NbS는 ‘인간복지와 종다양성 모두의 이익을 위해 사회적 도전과제에 효과적, 적응적, 동시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자연 및 개변 생태계를 보호하고,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복원하는 행위’라 하였다 (IUCN 2016). NbS의 좋은 사례로서 해안에서 폭풍해일의 위험을 감소하기 위해 전통적인 기술적 대책으로 해안방벽을 건설하기 보다는 기존의 맹그로브 해안수림대를 보전, 복원하는 대안을 고려하는 것을 들 수 있다.
IUCN 자료를 기준으로 검토할 때, NbS의 궁극적 목표는? NbS를 이해하고 활용하고 전파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의 목표, 정의, 원칙 등에 대해 정확한 설정이 필요하다. IUCN 자료를 기준으로 검토하면, NbS의 궁극적 목표는 기후변화, 물안보, 보건, 재해위험, 사회경제개발 등 당면한 사회적 도전에 대처하도록 설계하는 것이다 (IUCN 2016). 다음, IUCN이 제시한 NbS의 정의는 위에서 이미 소개하였으며, EU의 정의는 ‘다양한 사회적 도전에 자원효율적이고 적응적인 방법으로 대처하면서 동시에 경제, 사회, 환경 편익을 얻기 위하여, 자연에 의해 영감을 받고 지속적으로 지원을 받는, 나아가 자연을 이용하는 살아있는 대책’ 이라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CNRD/PEDRR. 2013. Master's module: disasters, environment risk reduction (Eco-DRR). Instructor's Manual, Version 2013. 

  2. Dickson, D. 2013. LID vs. Green infrastructure. Center for Landuse Education and Research, UCONN. 

  3. EC (European Commission). 2009. Green infrastructure: supporting connectivity, maintaining, and sustainability. 

  4. EC (European Commission). 2011. Biodiversity strategy. https://ec.europa.eu/environment/nature/biodiversity/strategy/index_en.htm#mid. Accessed 19 December 2019. 

  5. EC (European Commission). 2013. Building a green infrastructure for Europe. Catalog. 

  6. EC (European Commission). 2015. European Commission & Directorate-General for Research and Innovation. 

  7. Eggermont, H. et al. 2015. Nature-based solutions: New influence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and research in Europe. GAIA-Ecological Perspectives for Science and Society 24(4): 243-248. 

  8. Estrella , M. and Saalismaa, N. 2013. Ecosystem-based DRR: An overview. In, The Role of Ecosystems in Disaster Risk Reduction. 

  9.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09. No time to lose: Make full use of nature-based solutions in the post-2012 climate change regime. Position paper on the Fifteenth session of the Conference of the Parties to the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COP 15). 

  10. 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2016. Nature-based solutions to address global societal challenges. Cohen-Shacham, E., Walters, G., Janzen, C. and Maginnis, S. edited. 

  11. MacKinnon, K., Claudi, S. and Valerie, H. 2008. Biodiversity, climate change, and adaptation: nature-based solutions from the World Bank portfolio (English). The World Bank Group. 

  12. Mitsch, W.J. 2012. What is ecological engineering? Ecological Engineering 45: 5-12. 

  13. Mitsch, W.J. and Jorgensen, S.E. 2004. Ecological engineering and ecosystem restoration. John Wiley and Sons, Inc. 

  14. MOE (Ministry of Environment)/KICT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1999. An interim report on the development of close-to-nature river improvement techniques adapted to Korean streams, Vol. 2. (in Korean) 

  15. MO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2016. Ecosystem-based natural disaster risk reduction in Japan. A handbook for practitioner. The Government of Japan. 

  16. MOE/KEI. 2014.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landowners and occupiers to effectively manage non-point pollutions. Research Paper, 2014-11. (in Korean) 

  17. MOE/KICT. 2001. River restoration manual. (in Korean) 

  18. MOE/Korea Univ. 2009. A study of measures of establishment of Korea-fitted green infra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focusing on urban water cycle system. (in Korean) 

  19. MOLIT (Ministry of Land and Transport)/Busan Univ. 2012-2018.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technologies for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urban water cycle infra. Sponsored by KAIA. 2012-2018. (in Korean) 

  20. NERC. 2017. Green approaches in river engineering-supporting implement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H.R. Wallingford. 

  21. Odum, H.T. 1962. Ecological tools and their use: man and the ecosystem. In, Waggoner, P.E. and Ovington, J.D. (eds.), Proceedings of the Lockwood Conference on the Suburban Forest and Ecology, The Connecticut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Bulletin 652. Storrs, CT, pp. 57-75. 

  22. Pauleit, P., Zolch, T., Hansen, R. and Randrup, T.B. 2017. Nature-based solutions and climate change-four shades of green. Ch. 3, Kabisch, N. et al. (eds.), Nature-based solutions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urban areas, theory and practice of urban sustainability transitions. Springer Link. 

  23. Prince George's County, Maryland. 1999. Low impact development design strategies-an integrated design approach. 

  24. UNEP 2015. Promoting ecosystems for disaster risk reduction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opportunities for integration. Discussion paper written by N. Doswald and M. Estrella. 

  25. USEP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2019. https://www.epa.gov/green-infrastructure/what-greeninfrastructure. Accessed 9 December 2019. 

  26. WCD (World Commission on Dams). 2000. Dams and development: a new framework for decision-making. The Report of World Commission on Dam (WCD), Earthscan. 

  27. WCED (World Commissions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1987. Our common future. Oxford University Press. 

  28. Woo, H. 2017. Green infra for disaster risk reduction, cases of application of ecological engineering in foreign countries-a series of articles, #11. Newsletter, Applied Ecological Engineering Society. (in Korean) 

  29. World Bank. 2008. Biodiversity, climate change and adaptation: nature-based solutions from the World Bank Portfolio.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