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백산국립공원 삼가지구 관속식물의 고도별 분포패턴
Distribution Pattern of Vascular Plant Species along an Elevational Gradient in the Samga Area of Sobaek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09 no.1, 2020년, pp.1 - 22  

박환준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복원연구5팀) ,  안지홍 (국립백두대간수목원 생태복원팀) ,  서인순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이새롬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  이병윤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 ,  김중현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소백산국립공원 삼가지구 관속식물의 고도별 수직분포 및 분포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삼가탐방지원센터(400 m)에서 정상(1,439 m)까지 해발 100 m 단위로 등분하여 11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현지조사를 실시한 결과 92과 235속 332종 3아종 37변종 3품종 총 375분류군이 출현하였다. 구간별 식물 종다양성 패턴을 분석한 결과,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종다양성이 감소하다가 특정구간에서 증가하는 역단봉형 패턴이 나타났다. 고도에 따른 종 분포패턴과 치환성 양이온 Ca2+, Mg2+ 와 토양 pH, 유효인산, 온량지수, 조사면적 등의 환경요인이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경사, 토양 수분, 치환성 양이온 Na2+이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DCA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구간별 식분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I, II축 상에서 2개의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구간별 식분의 배치는 400~500 m 구간부터 1400~1500 m 구간까지 순차적으로 배열되었다. 이러한 식분의 배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은 토양 수분, pH, K2+, Na2+, 유효인산, 경사도 등 토양 및 지형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생물다양성 보전, 지속가능한 이용에 있어서 본 연구 결과는 중요한 기초자료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며, 식물종들의 생태·환경적 특징과, 분포범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함께 관련 연구들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valuate the vertical distribution and distributional pattern of vascular plants in the Samga district of Sobaeksan National Park, vascular plants were surveyed along a hiking trail from the Samga Tour Support Center to the top of a mountain. The elevation range was divided into 11 sect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4a).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백산국립공원을 대상으로 고도구배에 따른 종다양성의 패턴을 파악하고 토양, 지형 등 소규모 개별 산림생태계에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요인들을 분석함과 동시에 구간별 종조성의 유사관계 및 분포변화를 분석하고 그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을 파악하고자한다.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고도구배에 따른 식물종의 분포의 결과를 지속적으로 축적한다면 식물종의 생육환경에 따른 산림식생 관리에 유용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비교적 소규모 공간 생태계에서 고도별 종 풍부도 패턴, 고도별 종조성의 유사성, 고도별 환경요인 패턴, 종풍부도에 영향을 끼치는 환경요인을 규명하였다. 향후 다양한 수준에서의 공간 생태계에서의 고도별 종풍 부도와 환경요인 패턴, 더불어 기후자료를 포함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고도별 종풍부도의 패턴과 그 패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다각적으로 밝혀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본 연구는 소백산국립공원의 삼가탐방지원센터(386m)에서 비로봉(1,435m)에 이르는 지역을 대상으로 해발 100 m 단위로 등분하여 11개 구간(section)에 출현하는 관속식물을 종다양성의 패턴과 그 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들을 파악하였고, 구간별 종조성의 유사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들을 규명하였다. 분석결과, 종다양성 패턴은 고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 종다양성이 감소하다가 특정구간에서 증가하는 역단봉형 패턴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림생태계에서 식물이 고도에 따라 수직적 분포의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식물은 산림생태계의 기본적인 생산자로서 다른 생물들의 분포패턴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종다양성의 패턴과 패턴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필수적이 다(Grytnes and Vetaas, 2002). 식물은 온도에 대한 각기의 내성범위, 즉 고유한 생리적 호적범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도에 따른 수직적 분포의 차이가 보인다(Yim, 1977a, b; An et al., 2017).
소백산국립공원의 분류군은? 소백산국립공원은 식물구계학적으로 중부아구에 속하며(Lee and Yim, 1978), 식생학적으로 냉온대 낙엽활엽수림대에 속한다. 소백산 삼가지구는 소백산에 중심부에 위치하며,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 Fisch.
산림생태계의 기본적인 생산자는 누구인가? 식물은 산림생태계의 기본적인 생산자로서 다른 생물들의 분포패턴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종다양성의 패턴과 패턴에 영향을 주는 환경요인을 규명하는 것은 필수적이 다(Grytnes and Vetaas, 2002). 식물은 온도에 대한 각기의 내성범위, 즉 고유한 생리적 호적범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고도에 따른 수직적 분포의 차이가 보인다(Yim, 1977a, b; 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n, J.H., Park, H.J., Nam, G.H., Lee. B.Y., Park, C.H. and Kim, J.H. 2017. Vertical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 species along an elevational gradient in the Gyebangsan Area of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50(4): 381-402. (in Korean) 

  2. Bledsoe, B.P. and Shear, T.H. 2000. Vegetation along hydrologic and edaphic gradients in a North Carolina coastal plain creek botto, and implications for restoration. Wetlands 20(1): 126-147. 

  3. Cox, G.W. 1976.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3rd ed.) William. C. Brown Company, lowa. pp. 232. 

  4. Davidar, P., Rajagopal, B., Mohandass, D., Puyravaud, J.P., Condit, R., Wright, S.J. and Leigh Jr, E.G. 2007. The effect of climatic gradients, topographic variation and species traits on the beta divercsity of rain forest trees. G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16(4): 510-518. 

  5. Grytnes, J.A. and Vetaas, O.R. 2002. Species richness and altitude: a comparison between null models and interpolated plant species richness along the Himalayan altitudinal gradient, The American Naturalist 159(3): 294-304. 

  6. Guariguata, M.R. and Ostertag, R. 2001. Neotropical secodary forest succession: changes in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Forest Ecology and Management 148(1-3): 185-206. 

  7. Hill, M.O. and Gauch, H.G. 1980.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Vegtatio 42(1-3): 47-58. 

  8. Hwwkins, B.A., Field, R., Cornell, H.V., Currie, D.J., Guegan, J.F., Kaufman, D.M., Kerr, J.T., Mittelbach, G.G., Oberdorff, T., O'Brien E. M., Porter E. E. and Turner, R.G. 2003. Energy, water and broad-scale geographic patterns of species richness. Ecology 84(12): 3105-3117. 

  9. Jones, M.M., Tuomisto, H., Borcard, D., Legendre, P., Clark, D.B. and Olivas, P.C. 2008. Explaining variation in tropical plant community composition: influence of environmental and spatial data quality. Oecologia 155(3): 593-604. 

  10. Kim, J.S. and Kim, T.Y. 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in Korean) 

  11. Kira, T. 1948. On the altitudinal arrangement of climatic zones in Japan. Kanti-Nogaku 2: 147-173. 

  12. Korea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Seoul. pp. 688. (in Korean) 

  13.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1.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data.kma.go.kr 

  14. Lee, W.T. and Yim, Y.J.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ournal of Plant Taxonomy 8(Appendix): 1-33. (in Korean) 

  15.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pp. 990. (in Korean) 

  16.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pp. 1928. (in Korean) 

  17. Lee, W.T. 1996a.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pp. 689. (in Korean) 

  18. Lee, W.T. 1996b.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pp. 624. (in Korean) 

  19. Lee, Y.N. 1996. Flora of Korea. Gyohaksa, Seoul. pp. 1247. (in Korean) 

  20. Lee, Y. 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Gyohaksa, Seoul. pp. 1859. (in Korean) 

  21. Lee, B.Y., Nam, G.H., Lee, J.Y., Park, C.H., Lim, C.E., Lee, M.H., Lee, S.J., Noh, T.K., Lim, J.A., Han, J.E. and Kim, J.H. 2011a.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in Korean) 

  22. Lee, C.B. and Kim, H.O. 2017. Elevational Pattern and Determinants of Plant Diversity on the Mt. Baekhwa, South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Kife Science 51(4): 11-19. (in Korean) 

  23. Lee, C.B., Chun, J.H. and Ahn, H.H. 2014a. Elevational patterns of plant richness and their drivers on an Asian mountain. Nordic Journal of Botany 32(3): 347-357. (in Korean) 

  24. Lee, C.B., Chun, J.H. and Kim, H.H. 2014b. Elevational pattern and determinants of ${\alpha}$ and ${\beta}$ plant diversity on the ridge of the baekdudaegan mountains, South Korea.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8(3): 93-104. (in Korean) 

  25. Lee, C.B., Chun, J.H., Song, H.K. and Cho, H.J. 2013. Altitudinal patterns of plant species richness on the Baekdudaegan Mountains, South Korea: mid-domain effect, area, climate and Rapoport's rule. Ecology Research 28(1): 67-79. (in Korean) 

  26. Lee, C.B. and Chun, J.H. 2016. Environmental drivers of patterns of plant diversity along a wide environmental gradient in Korean temperate forest. Forest 7(1): 19. (in Korean) 

  27. Lee, Y.M., Park, S.H., Jung, S.Y., Oh, S.H. and Yang, J.C. 2011b.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naturalized plants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Plant Taxonomy 41(1): 87-101. (in Korean) 

  28. McCain, C.M. 2009. Global analysis of bird elevation diversity. Global Ecology and Biogeography 18(3): 346-360. 

  29. Melo, A.S., Rangel, TFLVB. and Diniz-Filho, JAF. 2009. Environmental drivers of beta-diversity patterns in New-World bird and mammals. Ecography 32(2): 226-236. 

  30.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3. Endemic Species of Korea. NIBR, Incheon. (in Korean) 

  31.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A Guide to the 4th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Incheon. 173-226. (in Korean) 

  32. Oh, Y.C. 2006.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1. Monocotyledoneae, Cyperacea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oul. pp. 446. (in Korean) 

  33. Rowe, R.J. 2009. Environmental and geometric drivers of small mammal diversity along elevational gradients in Utah. Ecography 32(3): 411-422. 

  34. Rahbek, C. 1995. The elevational gradient of species richness: a uniform pattern?. Ecography 18(2): 200-205. 

  35. Rahbek, C. 2005. The role of spatial scale and the perceptiom of large-scale species-richness patterns. Ecology letters 8(2): 224-239. 

  36. Yim, Y.J. 1977a.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II.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7(3): 177-189. 

  37. Yim, Y.J. 1977b.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Japanese Journal of Ecology 27(4): 269-278. 

  38. You, J.H., Cho, H.W., Jung, S.G. and Lee, C.H. 2004.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growth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Abeliophyllum distichum habitats.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8(2): 210-220. (in Korean) 

  39. Whittaker, R.H. 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ogy Monographs 26(1): 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