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국외 적용 사례
Foreign Application Case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원문보기

Magazine of RCR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지, v.15 no.1, 2020년, pp.53 - 55  

노승준 (금오공과대학교 건축학부)

초록이 없습니다.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고에서는 순환골재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기존 연구문헌에서 조사되었던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국외 적용 사례 중 일부를 소개하고자 한다.
  • 본 고는 기존 연구문헌에서 조사되었던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국외 적용 사례를 살펴보았다. 비록 일부의 사례였지만 여러 국가에서 순환골재를 콘크리트용 골재로 사용하고, 이를 건축 구조부재에 적용하고자 노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순환 경제는 무엇인가? 한정된 천연자원으로 인한 환경적·경제적 지속가능성 문제가 야기되면서 유럽연합 국가들이 순환 경제(Circular Economy)를 표방하는 「자원순환사회」로의 전환을 시도하고 있다1). 순환 경제는 생산-소비-관리-재생단계로 구성되는 자원의 전 과정 순환이용 체계의 구축을 통해 환경영향을 최소화하며, 경제 성장을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경제 모델이다2). 이러한 순환 경제의 실현을 위해서는 건설 구조물의 건설 및 철거단계에서 발생되는 폐기물(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의 순환이용 체계가 선제적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건설폐기물의 약 90%는 무엇인가? 건설폐기물의 약 90 %를 점유하고 있는 폐콘크리트, 폐아스팔트콘크리트, 건설폐토석 등에서 추출되는 순환골재는 건설산업에서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순환자원으로 주로 도로공사, 하수관거 채움, 매립시설 복토, 되메우기, 콘크리트 등에 사용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난 2003년에 제정된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과 이에 근거한 「건설폐기물 재활용 기본 계획」 및 「건설폐기물의 처리 등에 관한 업무처리지침」 등을 통해 골재 수급계획에 순환골재 삽입, 순환골재 의무사용 대상공사 확대, 순환골재 품질인증 활성화 등의 값진 성과를 얻었으며, 2010년부터 정부가 순환골재·순환골재 재활용제품 우수활용사례에 대한 포상을 통해 그 활용을 더욱 촉진하고 있다.
Hong Kong Wetland Park에는 어디에 순환골재가 사용되었나? 2006년 홍콩에 건설된 「Hong Kong Wetland Park <그림 3>」 는 10,000 m2 규모의 방문자 센터를 포함하며, 갤러리, 극장, 기념품 가게, 카페, 어린이 놀이 공간, 교실 및 자원 센터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방문자 센터 건립공사에서 순환골재가 대다수의 콘크리트에 적용되었고, C20, C30, C35 등급의 콘크리트로 제조되어 콘크리트 파일, 바닥 슬래브, 보, 벽 및 매스 콘크리트에 타설되었다. 순환골재는 각 부재의 특성에 따라 20 %에서 100 %까지 천연골재를 치환하였고, 단위 시멘트량은 300 kg/m3에서 395 kg/m3, 물-시멘트비(W/C)는 47 %에서 61 %, 슬럼프는 75 mm에서 100 mm가 적용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16), 자원순환사회 전환을 위한 중장기 전략 마련 연구(I). 

  2. 환경부 보도자료 (2018), 순환경제를 위한 10년 청사진, 자원순환기본계획수립. 

  3. Jose-Luis Galvez-Martos, David Styles, Harald Schoenberger, Barbara Zeschmar-Lahl (2018),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best management practice in Europe, Resources, Conservation & Recycling, 136, 166-178. 

  4. European Commission (2016), EU Construction & Demolition Waste Management Protocol. 

  5. 관계부처합동 (2018), 제1차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실현을 위한 자원순환기본계획(2018-2027). 

  6.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16), 제3차 건설폐기물 재활용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환경부. 

  7. 환경부, 국토교통부, 한국건설자원협회 (2017), 2017 순환골재.순환골재 재활용제품 우수활용사례집. 

  8. R.V. Silva, J. de Brito, R.K. Dhir (2019), Use of recycled aggregates arising from construction and demolition waste in new construction applications,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236, 117629. 

  9. BRE, The Environmental Building, https://projects.bre.co.uk/envbuild/index.html 

  10. Jorge de Brito, Rui V Silva (2019), Upscaling the Use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NBM&CW.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