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형 마이크로폰 배열에 적용 가능한 음원 위치 추정법 비교
Comparison of the sound source localization methods appropriate for a compact microphone array 원문보기

한국음향학회지=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v.39 no.1, 2020년, pp.47 - 56  

정인지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  이정권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음원위치추정 기술은 사물인터넷 시대에서 다양한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마이크로폰 프로브의 크기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음향 인텐시티 벡터를 이용한 음원위치추정 방법은 마이크로폰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유한차분오차가 작기 때문에 배열을 소형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향 인텐시티 벡터 및 도달시간차 방법을 통해 원거리 음장에서 음원의 위치 추정 시 발생하는 오차를 비교한다. 정사면체 형태의 3차원 마이크로폰 배열을 통해 마이크로폰 사이의 간격 변화에 따라서 오차를 비교하였다. 실제 환경에서 음원위치추정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잔향음장 내에서 잔향시간을 변화시켜 추가 실험을 수행하였다. 도달시간차를 계산하기 위해 Generalized Cross Correlation-Phase transform(GCC-PHAT)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T60 = 0.4 s일 때 음향인텐시티법에 의한 위치추정 오차는 2.9°, 그리고 GCC-PHAT를 적용했을 때는 7.3° 이며, T60 = 1.0 s일 때 오차는 각각 9.9°, 13.0°이다. 이를 통해 일반 잔향장이 고려되는 실제 환경에서도 소형의 마이크로폰 배열을 통한 음향 인텐시티법은 음원의 위치를 추정하는데 유효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ound source localization technique has various application fields in the era of internet-of-things, for which the probe size becomes critical. The localization methods using the acoustic intensity vector has an advantage of downsizing the layout of the array owing to a small finite-difference 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정사면체 형태의 3차원 마이크로폰 배열을 통해 계산된 음향 인텐시티 벡터 및 음파의 도달시간차를 기반으로 원거리 음장에서 전파되는 음원의 위치추정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위치추정 결과에서 나타나는 오차[15-18]에 대해 설명한다. 마이크로폰 간격 변화에 따라서 위치추정 실험결과를 분석 및 비교하여, 음향 인텐시티 벡터를 적용하여 시스템을 소형화 할 수 있는 이점에 대해 논의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달시간차 계산을 통한 위치추정 방법이란 무엇인가? 도달시간차 계산을 통한 위치추정 방법은 음파가 마이크로폰에 도달하는 시간지연 차이를 통해 계산되는 상호상관함수로부터 음원의 위치를 계산하는 방식이며, 특히 Generalized Cross Correlation-Phase transform(GCC-PHAT)[3]는 잡음이나 잔향이 고려되는 환경에서도 강건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양자화 오차[9]를 줄이기 위해서 샘플링 주파수가 높아야하고 수음점 사이의 간격이 멀어야 하는 한계점이 있다.
음향 인텐시티 벡터를 이용한 음원위치추정 방법의 장점은? 음원위치추정 기술은 사물인터넷 시대에서 다양한 응용 분야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마이크로폰 프로브의 크기가 중요하게 고려되고 있다. 음향 인텐시티 벡터를 이용한 음원위치추정 방법은 마이크로폰 사이의 간격이 좁을수록 유한차분오차가 작기 때문에 배열을 소형화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음향 인텐시티 벡터 및 도달시간차 방법을 통해 원거리 음장에서 음원의 위치 추정 시 발생하는 오차를 비교한다.
빔포밍에 의한 위치추정 오차가 도달시간차 계산을 통한 방법과 비슷한 경향을 보인 이유는? [12] 또한 빔포밍에 의한 위치추정 오차는 도달시간차 계산을 통한 방법과 비슷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낮은 헬름홀츠 수에 대하여, 빔폭이 넓어져서 위치 추정의 정밀도가 크게 낮아지며, 센서 간격 및 샘플링 주파수에 따른 공간분해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E. G. Williams, Fourier Acoustics (Academic Press, San Diego, 1999). Chap. 3. 

  2. M. R. Bai, J. -G. Ih, and J. Benesty, Acoustic Array Systems: Theory, Implementation, and Application (John Wiley & Sons, Singapore, 2013). Chap. 5. 

  3. C. Knapp and G. Carter, "The generalized correlation method for estimation of time delay," IEEE Trans. Acoust. Speech, and Signal Process. 24, 320-327 (1976). 

  4. L. Chen, Y. Liu, F. Kong, and N. He, "Acoustic source localization based on generalized cross correlation time-delay estimation," Procedia Eng. 15, 4912-4919 (2011). 

  5. O. L. Frost, "An algorithm for linearly constrained adaptive array processing," Proc. IEEE. 60, 926-935 (1972). 

  6. J. Hald and J. J. Christensen, "A novel beamformer array design for noise source location from intermediate measurement distances," J. Acoust. Soc. Am. 112, 2448 (2002). 

  7. R. Schmidt, "Multiple emitter location and signal parameter estimation," IEEE Trans. Antennas and Propagation, 34, 276-280 (1986). 

  8. S. Miron, N. le Bihan, and J. I. Mars, "Quaternion-MUSIC for vector-sensor array processing," IEEE Trans. Signal Process. 54, 1218-1229 (2006). 

  9. B. V. D. Broeck, A. Bertrand, P. Karsmakers, B. Vanrumste, H. V. hamme, and M. Moonen, "Time-domain generalized cross correlation phase transform sound source localization for small microphone arrays," IEEE Education and Res. Conf. 76-80 (2012). 

  10. G. Pavic, "Measurement of sound intensity," J. Sound Vib. 51, 533-545 (1977). 

  11. J. K. Thompson and D. R. Tree, "Finite difference approximation errors in acoustic intensity measurements," J. Sound Vib. 75, 229-238 (1981). 

  12. F. J. Fahy, Sound Intensity (CRC Press, New York, 1995). Chaps. 4-6. 

  13. S. -K. Cho and J. -G. Ih, "Source localization by uisng compact intensity array," Proc. KSNVE. 281-282 (2012). 

  14. E. B. Whiting, J. S. Lawrence, K. L. Gee, T. B. Neilsen, and S. D. Sommerfeldt, "Bias error analysis for phase and amplitude gradient estimation of acoustic intensity and specific acoustic impedance," J. Acoust. Soc. Am. 142, 2208 (2017). 

  15. I. -J. Jung, J. -H. Woo, and J. -G. Ih, "Analysis of spectral fluctuation in the localization by using sound intensity" (in Korean), J. Acoust. Soc. Kr. Suppl.2(s) 34, 188 (2015). 

  16. I. -J. Jung and J. -G. Ih, "Compensation of inherent bias errors in using the three-dimensional acoustic intensimetry for sound source localization," J. Sound Vib. 461, 114918 (2019). 

  17. J. -H. Woo, I. -J. Jung, S. -K. Cho, and J. -G. Ih, "Precision enhancement in source localization using a double-module, three-dimensional acoustic intensity probe," Appl. Acoust. 151, 63-72 (2019). 

  18. I. -J. Jung and J. -G. Ih, "Double tetrahedral intensity probes for reducing the spatial bias error of source localization," Proc. ICA. 23, 4957-4960 (2019). 

  19. G. W. Elko, "Frequency domain estimation of the complex acoustic intensity and acoustic energy density," J. Acoust. Soc. Am. 77, 2194 (1985). 

  20. J. C. Pascal and J. F. Li, "A systematic method to obtain 3D finite-difference formulations for acoustic intensity and other energy quantities," J. Sound Vib. 310, 1093-1111 (2008). 

  21. E. A. Lehmann and A. M. Johansson, "Prediction of energy decay in room impulse responses," J. Acoust. Soc. Am. 124, 269-277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