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 전략으로서 일시적 공간 활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emporary Space Use for Urban Regeneration Strategy 원문보기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40 no.2, 2020년, pp.247 - 255  

이도경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김종구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도시재생은 대부분 영구적이고 고정적인 계획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종합계획 특성상 주민들의 의견을 즉각적으로 수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시적 활용의 전략을 기반으로 유휴공간의 활용요소를 도출하여 주민 인식조사 및 선호도 조사와 전문가 중요도 분석을 비교하여 일시적 활용 기법을 적용한 유휴공간 활용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거주민은 대상지 특성상 노후화된 물리적 환경을 먼저 개선하는 것을 선호하는 반면, 전문가는 빠르게 도시의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일시적 활용의 특성을 담고 있는 활용방안을 중요도에 반영하여 그 순위의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일시적 활용 전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두 집단의 우선순위 차이를 세분화하여 한시적으로 테스트(Test)를 진행함으로써 최적의 활용방안을 도출하여 종합계획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향후 일시적 활용 전략을 시행하고자 할 때 대상지 특성과 이용 패턴 분석을 통해 면밀한 사전조사와 이를 반영한 공간 활용 계획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urban regeneration is carried out mostly in a permanent and fixed way of planning, and due to the nature of the master plan, it is limited to immediately accepting the opinions of residents. In this study, the factors of idle space were derived based on a temporary use strategy, and the d...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도시 내 유휴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먼저 일시적 활용에 관한 개념을 고찰한 뒤, 유휴공간의 일시적 활용요소를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제 대상지 주민들의 인식조사를 통해 일시적 활용에 관한 대상지 내 유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시적 활용이 도시의 방치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일 뿐만 아니라, 도시재생이 가지고 있는 한계적 측면을 보완할 수 있는 전략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유휴공간을 일시적 활용의 기법을 적용하여 개선하고자 할 때 주민과 전문가의 인식 차이를 비교하여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할 활용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전문가의 중요도 분석의 과정이 진행되면 일시적 활용 전략을 적용함에 있어 주민과 공공의 신뢰를 빠르게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사동 일원의 도시재생 뉴딜 사업지를 대상으로 일시적 유휴공간 활용요소의 선호도 우선순위와 전문가 중요도 비교를 바탕으로 유휴공간의 효율적 활용에 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주민 인식조사 결과 금사동 일원은 거점시설 설치 및 재개발 등의 중-대규모 사업보다는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주민 쉼터, 쌈지공원 등의 소규모사업이 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 둘째, 선행연구에서 나온 활용요소들을 바탕으로 일시적 활용 전략과 유휴공간 활용방안에 관한 주민들의 인식에 관한 설문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유휴공간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개선되어야 할 활용방안들을 알아보고, 주민들의 일시적 활용에 관한 인식과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셋째, 도시계획 전문가를 대상으로 활용요소들의 중요도를 도출하여 주민들의 우선순위와 비교분석한다.
  • 본 연구는 도시 내 유휴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먼저 일시적 활용에 관한 개념을 고찰한 뒤, 유휴공간의 일시적 활용요소를 도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실제 대상지 주민들의 인식조사를 통해 일시적 활용에 관한 대상지 내 유휴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시적 활용이 도시의 방치된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일 뿐만 아니라, 도시재생이 가지고 있는 한계적 측면을 보완할 수 있는 전략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연구들은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제도적, 물리적, 문화적 및 디자인, 조경적 측면에서 도시환경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반해 본 연구는 일시적 활용이 도시재생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여 저비용으로 효과적인 공간 용의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주민들의 인식조사 및 전문가 중요도 평가를 비교하여 일시적 활용을 적용한 유휴공간 개선의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선행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가설 설정

  •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의 가설을 수립하였는데, 대상지 특성상 노후건물과 고령인구의 비율이 높은 것을 감안하였다. 1) 연령대에 따라 각 유휴공간 활용요소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거주기간에 따라 각 유휴공간 활용요소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 1) 연령대에 따라 각 유휴공간 활용요소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2) 거주기간에 따라 각 유휴공간 활용요소에 대한 선호도의 차이가 있을 것이다. 다음의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활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An, H. J. and Park, H. Y. (2013). "Flexible urban regeneration: Creative use of empty houses and vacant plots - Focused on temporary uses and tactical urbanism."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JKPA, Vol. 48, No. 6, pp. 347-366 (in Korean). 

  2. Cho, H, J. (2013). A study for temporary use of urban space focused on collaborative design: The case of Bogwang-dong, Yongsan-gu,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3. Choi, H. I. (2019). A study on the temporary spatial utilization strategy of the U.S.F.K return area in shrinking city: Focused on 'camp la guadia' in uijeongbu.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4. Choi, H. M. (2012). A study of creating temporary landscape for urban vacant space: For Hongdae multi complex station site, Master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5. Kang, J. Y. (2017). The study on the effect of temporary utilization of vacant houses and Propulsion structure (system): Focusing on the case of Balsan Village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Master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in Korean). 

  6. Lee, J. S. (2014). Characteristics and methods of temporary space design in the public domain, Master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in Korean). 

  7. Lee, S, K. (2018). Private sector utilization research for continuous revitalization of public space, Master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in Korean). 

  8. Lim, S. H. and Lee, K. H. (2019). "Urban regeneration techniqu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based on Tactical Urbanism - A study on the community of cheonan namsan district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s."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DIK, Vol. 38, No. 2, pp. 225-235 (in Korean). 

  9. Lydon, M. and Gracia, A. (2015). Tactical urbanism: Short-term action for long-term change, Island Press, Washington,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