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상위권 대학 이공계열 학생들의 학업부진 원인과 대처 방안 탐색: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Exploring the Causes of and Potential Solutions for Low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Majoring in Sciences and Engineering at Prestigious Korean Universities: Case Study of A University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3 no.1, 2020년, pp.10 - 25  

박알뜨리 (서울대학교 교육학과) ,  이지연 (서울심리지원동남센터) ,  이희원 (서울대학교 교수학습개발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causes of academic weakness and to find the ways to cope with it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the top university in Korea.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students who experienced academic warning and poor academ...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사경고를 받는 학생들의 심리는 받기 전에 비해 어떻게 변하는가? ,2011). 스스로에 대해 수치심, 실패감, 부적절감을 경험하고, 자신의 미래와 학업 능력에 대해 자신감을 잃었으며, 일부는 상당히 오랜 시간 우울감에 빠져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고립되기도 하였다(Sage, 2010). 학사경고로 인해 유발된 지나친 죄책감과 좌절, 그리고 자아개념의 손상은 학생이 학업 동기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지 않고(장애경 양지웅, 2013; Peterson Barrett, 1987; Weiner, 1985), 대학 생활에서 위축되거나 학습을 포기하여 반복된 학사경고를 받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강순화 외, 2000; 김나미 외, 2014; Hanger et.
우리나라의 대학생들의 학업문제 관련 자살의 현실은 어떠한가?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2013년 어느 상위권 대학 보건진료소의 학생정기건강검진 보고서에 따르면, 재학생 4,304명 가운데 12.8%가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고, 이 가운데 1%는 실제로 자살을 시도했다고 한다. 이들은 다양한 심리적인 이유로 자살을 선택했지만, 26.
대학 신입생들의 학업부진 환경적 원인은 무엇인가? 또, 고등학교 때까지는 놀고 싶고, 하고 싶었던 일들을 공부를 이유로 미뤄두었다가 대학에 입학하자, 공부 이외 다른 취미활동이나 동아리활동, 연애 등의 대인관계를 본격적으로 시작하게 되기도 한다. 이러한 전환 과정에서 대학생들은 대학에서 무엇을 해야 하며 사회가 그들에게 무엇을 기대하는지 알지 못한 채 어려움을 겪는데, 이러한 상황이 누적되면 자신의 능력을 충분히 발휘하지도 못하고 학업부진을 경험할 수 있다(Brady Allingham, 2007) 심각한 학업부진에 빠진 학생들은 학사경고를 받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실제로 대학 신입생 중 약 70%가 첫 학기에 대학입학을 후회하거나 대학을 떠날 생각을 했으며, 그 가운데 학업문제가 큰 비중을 차지한다(오영재,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강순화.이은경.양난미(2000). 학업우수 및 학업부진 학생의 학업실태 분석을 통한 대학에서의 학업지원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2(2), 221-242. 

  2. 구미순(2006). 경쟁 또는 비경쟁 협동학습 수업전략이 학습동기 및 운동 수행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3. 권해수.송수진(2016). 남.녀 대학생의 학사경고 극복 경험에 대한 개념도 연구. 청소년시설환경, 14(3), 63-72. 

  4. 김계현 외(1995). 서울대학생의 학업성취 과정. 학생연구, 30(1), 18-37. 

  5. 김나미.김효원.박완성(2014). 학사경고 대학생을 위한 회복탄력성 프로그램과 동료 멘토링의 효과. 열린교육연구, 22, 391-412. 

  6. 김두리(2014.3.30.). 서울대인을 위한 정신건강 종합보고서. http://www.snu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707. 

  7. 김명찬(2013). 학업실패를 경험한 서울대학교 학생의 적응과정 분석.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8. 김옥분.조영복(2019) 이공계 학사경고 대학생과 일반 대학생의 동기 및 학습전략 차이 분석. 실천공학 교수법, 11(1), 25-31. 

  9. 김영빈(2008). 학업우수 고등학생의 학업서열 변화와 자아개념, 정서, 실패내성의 관계.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10. 박승철(2012) 공학전공 대학생의 입학전형과 중도탈락의 상관 관계 분석. 공학교육연구, 15(5), 98-107 

  11. 박종향.이효정.이선영(2017). 대학에서의 학업실패 예방과 지원방안 마련을 위한 학사경고자의 경험과 어려움 탐색. 열린교육연구, 25(1), 191-211. 

  12. 권석만 외(2010). 서울대학교 학사경고자의 실태조사 및 학업부진 원인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 연구보고서. 

  13. 서울대학교 대학생활문화원(2016). 학사경고자 지원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태 조사. 

  14. 서한서(2015.4.3.). [뉴스 속으로] 명문대 학생들 잇단 자살 왜...' 엘리트 스트레스'가 우울증 키운다. 뉴욕 중앙일보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3281781. 

  15. 오영재(2006). 대학 신입생들의 대학생활경험에 대한 분석 연구. 교육문제연구, 25, 141-164. 

  16. 이지희.신효정(2017). 대학 입학 성적우수 학생들의 학사경고 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웰니스학회지, 12(1), 183-201. 

  17. 이혜성.손영숙.김미경(1989). 대학생의 문제 진단 및 해결행동 체크리스트 제작 연구. 학생생활연구, 25, 42-103. 

  18. 임이랑.오인수(2016). 대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학습역량, 환경/지지 요인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17(4). 285-309. 

  19. 장애경.양지웅(2013). 대학생의 학사경고 경험과 극복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4(2), 995-1013. 

  20. 전보라.김정섭(2015). 대학생용 학업 지연행동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교육학연구, 21(3), 53-83. 

  21. 전호정(2017). 상위권 대학 학생들의 반복적 학사경고 경험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대학원. 

  22. 주영아.김영혜.원수경(2012). 학사경고 여대생의 학업성취 실패 및 지속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4), 47-69. 

  23. 황상하(1995).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4. 홍성연(2016). 대학 신입생 적응 지원을 위한 교육요구 분석. 교육종합연구, 14(1), 271-295. 

  25. Altman, R.(1983). Social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and adolescents: A research model. Roeper Review, 6(2), 65-68. 

  26. Brady, P., & Allingham, P.(2007). Help or hindrance? The role of secondary schools in a successful transition to university. Journal of The First-Year Experience & Students in Transition, 19(2), 47-67. 

  27. Creswell, J. W.(2003). Research design: Qualitative, quantitative, and mixed methods approache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28. Delisle, J. R.(1990). The gifted adolescent at risk: Strategies and resources for suicide prevention among gifted youth.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3(3), 212-228. 

  29. Hanger, M. A. et al.(2011). The bounce back retention program: One-year follow-up study.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Research, Theory & Practice, 13(2), 205-227. 

  30. Lautz, J., Hawkins, D., & Perez, A. B.(2005). The High School Visit: Providing College Counseling and Building Crucial K-16 Links among Students, Counselors and Admission Officers. Journal of College Admission, 188, 6-15. 

  31. Morse, J. M.(2003). Principles of mixed methods and multimethod research design. In A. Tashakkori & C. Teddlie (Eds.), Handbook of mixed methods in social & behavioral research (pp. 189-208). Thousand Oaks, CA.: SAGE. 

  32. Sage, T. L.(2010) Academic Probation_How students navigate and make sense of their experiences. Unpublished master's dissertation, University of Wisconsin 

  33. Peterson, C., & Barrett, L. C.(1987). Explanatory style and academic performance among university freshm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3(3), 603. 

  34. Weiner, B.(1985). An attributional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emotion. Psychological review, 92(4), 5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