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복부비만 성인 남성의 상의류 치수체계 제안
Development of Suit-tops Size-system for Abdomen-obese Adult Males 원문보기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v.22 no.1, 2020년, pp.94 - 101  

임지영 (대전대학교 디자인.아트대학 패션디자인.비즈니스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helps plus-size consumers purchase ready-made clothes and improves fitness by analyzing the upper body shapes of abdomen-obese adult males; in addition, it creates a size system based on each size interval of obesity shapes. The criteria for the 572 male subjects surveyed were over 25 k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제7차 한국인 인체치수조사자료(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ATS], 2015)를 기초로 복부비만 성인 남성의 상반신 체형 특징을 분석하여 체형에 적합한 커버율이 높은 정장 상의류 치수체계를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 결과의 복부비만 체형 정보와 치수체계는 plus-size 의복의 호칭별 패턴설계 및 합리적 생산량 계획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생산효율성의 극대화와 함께 특정 구간에 속하는 소비자의 기성복 착용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남성의 복부비만는 어떠한 형상으로 나타나는가? 남성의 복부비만은 허리 및 배 부위의 변화가 뚜렷해지면서 (Hong, 2013; Yoo & Lee, 1991) 동체부가 가장 비만해지고 엉덩이가 처지는 형상으로 체형에 적합한 의복을 선택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비만 남성을 대상으로 한 기성복 구매 및 맞음새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Lim, 2009)를 보면 응답자의 80% 이상이 기성복 구매 시 자신의 신체치수에 맞는 의복을 구매하기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비만 남성들의 기성복 구매가 힘든 이유는? 비만 남성을 대상으로 한 기성복 구매 및 맞음새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Lim, 2009)를 보면 응답자의 80% 이상이 기성복 구매 시 자신의 신체치수에 맞는 의복을 구매하기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기성복 시장에서 재고 부담과 생산성 어려움 등의 이유로 체형의 다양성을 수용하지 못하고 표준체형 위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큰 치수의 의복도 이미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기성복에서 단순히 치수 체계만을 확대한 일률적 그레이딩 편차를 적용하여 체형의 부위별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Yoon & Suh, 2011).
비만 남성들은 의복을 구매하기가 어려운가? 남성의 복부비만은 허리 및 배 부위의 변화가 뚜렷해지면서 (Hong, 2013; Yoo & Lee, 1991) 동체부가 가장 비만해지고 엉덩이가 처지는 형상으로 체형에 적합한 의복을 선택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비만 남성을 대상으로 한 기성복 구매 및 맞음새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Lim, 2009)를 보면 응답자의 80% 이상이 기성복 구매 시 자신의 신체치수에 맞는 의복을 구매하기 어렵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기성복 시장에서 재고 부담과 생산성 어려움 등의 이유로 체형의 다양성을 수용하지 못하고 표준체형 위주로 생산하고 있으며, 큰 치수의 의복도 이미 기존에 형성되어 있는 기성복에서 단순히 치수 체계만을 확대한 일률적 그레이딩 편차를 적용하여 체형의 부위별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Yoon & Suh,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k, H. Y., & Song, H. K. (2018). Analysis of women's jacket sizing systems of RTW brands and development of sizing systems by age group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2(6), 1056-1068. doi:10.5850/JKSCT.2018.42.6.1056 

  2. Choi, E. H., & Do, W. H. (2012). A study on the school uniform pants sizing system depending on lower body type for highschool girl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4(5), 834-845. doi:10.5805/ KSCI.2012.14.5.834 

  3. Hong, E. H. (2013). Development of tight-fit torso patterns according to adult men's somatotype using surface flattening of 3D body scan data: Using a 3D virtual garment syst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4.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15). 제 7차 한국인 인체치수 조사사업보고서[The 7th human body Measure- ment report(Size Korea)]. Retrieved June 29, 2019, from http:// sizekorea.kats.go.kr 

  5.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2016). 2016 Korea health statistics: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1)]. Retrieved July 9, 2019, from http://knhanes.cdc.go.kr 

  6.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2009). Korean Industrial Standards of Clothes Men's tops, KS K 0050. Retrieved June 29, 2019, from http://standard.go.kr 

  7. Lee, B. N. (2012). A study on slacks pattern based on lower body type of obese me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8. Lee, S. J. (2013). Classification of male's body types and development of torso patter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9. Lim, J. Y. (2009). A development of size system for the abdomen- obese adult males according to the lower-body obesity-type analysi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1(6), 904-910. 

  10. Lim, J. Y. (2013). A suggestion of the size-designation for the underweight women's tops in their 20s-30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5(3), 423-429. doi:10.5805/SFTI.2013.15.3.423 

  11. Lim, J. Y. (2019). Analysis of lower-body obesity-type and development of suit-pants size system for the abdomen-obese adult males.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21(5), 677-686. doi:10.5805/SFTI.2019.21.5.677 

  1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CDC. (2017). 제7기 국민건강통 계 국민건강영양조사[The 7th National Health Statistics, Korean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KNHANE)]. Retrieved April 9, 2019, from http://knhanes.cdc.go.kr 

  13. Seong, O. J. (2016). Study on a clothes-sizing system for elderly obese women for the activation of the silver clothing industry.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24(2), 233-247. doi:10. 7741/rjcc.2016.24.2.233 

  14. Seong, O. J., & Kim, S. J. (2018). Building up the foundation for the elderly apparel industry through the study on the body shapes of elderly obese males. The Research Journal of Costume Culture, 26(5), 665-678. doi:10.29049/rjcc.2018.26.5.665 

  15. Seong, O. J., & Ha, H. J. (2012). A study of middle aged obese men's body shape - 35-55 years of age -. Design Forum, 35(0), 39-50. 

  16. Seong, O. J., & Park, K. A. (2012). A study on the cloth sizing system for middle aged obese men - 33-55 years of ag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6(2), 231-243. doi:10. 5850/JKSCT.2012.36.2.231 

  17. Yoo, S. J., & Lee, S. W. (1991). A study on body form variation of adult males in the twenties for clothing constru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15(4), 393-403. 

  18. Yoon, J. W., & Suh, M. A. (2011). Apparel sizing system for obese men in their 20s.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19(3), pp. 449-459. 

  19. Yu, Y. C. (2002). Abdominal obesity. Kyung Hee Medicine, 18(3.4), 164-1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