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과 보철 재료 표면에서 MnO2-diatom microbubbler의 세균막 제거 효과 연구: In vitro study
The biofilm removal effect of MnO2-diatom microbubbler from the dental prosthetic surfaces: In vitro study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8 no.1, 2020년, pp.14 - 22  

이은혁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서용범 (일리노이대학 화학 및 생물분자공학과) ,  권호범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임영준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  공현준 (일리노이대학 화학 및 생물분자공학과) ,  김명주 (서울대학교 치의학대학원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철 재료 표면에서 MnO2-diatom microbubbler (DM)의 세균막 제거 효과를 기존에 치과 임상에 구강세정제로 사용되고 있는 성분들과 비교하여 이 재료가 구강세정제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이산화망간 나노 시트가 도핑된 DM을 만들었고,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형태에 대한 관찰 및 도핑된 MnO2의 성분 분석을 시행하였다. 3% 과산화수소수에서 DM의 반응을 시간에 따라 관찰하기 위해 실체 현미경을 이용하였다. 보철 재료 표면의 세균막 제거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비귀금속 합금, 지르코니아, 레진 시편을 제작하였고 치아우식의 원인균이며 호기성 세균인 Streptococcus mutans와 치주질환의 원인균이며 혐기성 세균인 Porphyromonas gingivalis 세균막을 각각 형성하였다. 형성된 세균막에 3% 과산화수소수와 DM을 처리하였을 때 세균막 제거 효과를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와 3% 과산화수소수의 경우와 crystal violet 염색 실험을 통해 비교 평가하였다. 결과: 속이 빈 원통 형태의 규조류에 이산화망간 성분이 발견되었고, 3% 과산화수소수에서 기체를 만들어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에 이용된 모든 재료에서 DM을 처리한 군이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나 3% 과산화수소수 단독으로 사용한 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세균막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다. 결론: MnO2-diatom microbubbler는 보철 재료 표면의 세균막을 기존의 구강세정제 성분에 비해 더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MnO2-diatom microbubbler (DM) on the surface of prosthetic materials as a mouthwash by comparing the biofilm removal effect with those previously used as a mouthwash in dental clinic. Materials and methods: DM was fabricated by dop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번 연구는 기존에 구강세정제로 사용되지 않았던 새로운 재료인 DM의 효과를 소개하고 그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실제 구강세정제로 사용되기까지 다양한 농도와 적용 시간에 따른 효과에 대한 추가 실험 및 세포 실험과 동물 실험을 통한 안정성 검증 등이 추후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강 위생 관리와 치태 관리는 무엇으로 분류할 수 있나? 구강 위생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는다면 구강 내에 존재하는 세균들이 치아나 보철물 표면에 침착되어 세균막을 형성하게 되어 치아우식이나 치주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1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적절한 구강 위생 관리와 치태 관리가 필요한데, 기계적 방법과 화학적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다.2,3
MnO2-diatom microbubbler은 어떠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나? 최근 재료학 분야에서 MnO2-diatom microbubbler (DM)라는 재료가 소개되었는데, 치태 제거 및 구강위생 위지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특징들을 갖고 있다.15 이 재료는 제한된 공간의 세균막을 제거하기 위해 만들어진 미세 입자로, 원통 형태의 규조류 실리카에 이산화망간(MnO2) 나노 시트를 도핑하여 만들었다.
MnO2-diatom microbubbler는 무엇을 도핑하여 만들었나? 최근 재료학 분야에서 MnO2-diatom microbubbler (DM)라는 재료가 소개되었는데, 치태 제거 및 구강위생 위지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특징들을 갖고 있다.15 이 재료는 제한된 공간의 세균막을 제거하기 위해 만들어진 미세 입자로, 원통 형태의 규조류 실리카에 이산화망간(MnO2) 나노 시트를 도핑하여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DM을 3% 과산화수소에 일정 농도로 잘 섞은 용액을 세균막이 생성된 부위에 도포 하였을 때, 과산화수소수에서 DM은 지속적으로 산소 가스 기포를 생성하며 이를 동력으로 하여 스스로 운동성을 가지고 움직이고, 세균막의 세포 외 고분자 물질(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을 관통하여 그 안에 미세 기포를 계속 생성하며 세균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고 보고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Thomas JG, Nakaishi LA. Managing the complexity of a dynamic biofilm. J Am Dent Assoc 2006;137:10S-15S. 

  2. Slots J. Subgingival microflora and periodontal disease. J Clin Periodontol 1979;6:351-82. 

  3. Axelsson P, Lindhe J. The effect of a preventive programme on dental plaque, gingivitis and caries in schoolchildren. Results after one and two years. J Clin Periodontol 1974;1:126-38. 

  4. McKendrick AJ, Barbenel MH, McHugh WD. The influence of time of examination, eating, smoking and frequency of brushing on the oral debris index. J Periodontal Res 1970;5:205-7. 

  5. Binney A, Addy M, Newcombe RG. The effect of a number of commercial mouthrinses compared with toothpaste on plaque regrowth. J Periodontol 1992;63:839-42. 

  6. Wu CD, Savitt ED. Evaluation of the safety and efficacy of over-the-counter oral hygiene products for the reduction and control of plaque and gingivitis. Periodontol 2000 2002;28:91-105. 

  7. Gunsolley JC. Clinical efficacy of antimicrobial mouthrinses. J Dent 2010;38:S6-10. 

  8. Barnett ML. The role of therapeutic antimicrobial mouthrinses in clinical practice: control of supragingival plaque and gingivitis. J Am Dent Assoc 2003;134:699-704. 

  9. Loe H, Schiott CR. The effect of mouthrinses and topical application of chlorhexidine on the development of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in man. J Periodontal Res 1970;5:79-83. 

  10. Addy M, Jenkins S, Newcombe R. The effect of some chlorhexidine-containing mouthrinses on salivary bacterial counts. J Clin Periodontol 1991;18:90-3. 

  11. Grossman E, Meckel AH, Isaacs RL, Ferretti GA, Sturzenberger OP, Bollmer BW, Moore DJ, Lijana RC, Manhart MD. A clinical comparison of antibacterial mouthrinses: effects of chlorhexidine, phenolics, and sanguinarine on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J Periodontol 1989;60:435-40. 

  12. Santos A. Evidence-based control of plaque and gingivitis. J Clin Periodontol 2003;30:13-6. 

  13. Scheie AA. Modes of action of currently known chemical antiplaque agents other than chlorhexidine. J Dent Res 1989;68:1609-16. 

  14. Haskel E, Esquenasi J, Yussim L. Effects of subgingival chlorhexidine irrigation in chronic moderate periodontitis. J Periodontol 1986;57:305-10. 

  15. Seo Y, Leong J, Park JD, Hong YT, Chu SH, Park C, Kim DH, Deng YH, Dushnov V, Soh J, Rogers S, Yang YY, Kong HJ. Diatom microbubbler for active biofilm removal in confined spaces. ACS Appl Mater Interfaces 2018;10:35685-92. 

  16. Sanchez MC, Llama-Palacios A, Blanc V, Leon R, Herrera D, Sanz M. Structure, viability and bacterial kinetics of an in vitro biofilm model using six bacteria from the subgingival microbiota. J Periodontal Res 2011;46:252-60. 

  17. Richmond S, Chestnutt I, Shennan J, Brown R. The relationship of medical and dental factors to perceived general and dental health.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2007;35:89-97. 

  18. Locker D, Matear D, Lawrence H. General health status and changes in chewing ability in older canadians over seven years. J Public Health Dent 2002;62:70-7. 

  19. Valderhaug J, Birkeland JM. Periodontal conditions in patients 5 years following insertion of fixed prostheses. Pocket depth and loss of attachment. J Oral Rehabil 1976;3:237-43. 

  20. Yoon JH, Park YB, Oh NS. Analysis of longevity and success rate of fixed, removable, and implant prostheses treated in Korea. J Korean Acad Prosthodont 2018;56:95-104. 

  21. Mandel ID. Chemotherapeutic agents for controlling plaque and gingivitis. J Clin Periodontol 1988;15:488-98. 

  22. Chaves ES, Kornman KS, Manwell MA, Jones AA, Newbold DA, Wood RC. Mechanism of irrigation effects on gingivitis. J Periodontol 1994;65:1016-21. 

  23. Segreto VA, Collins EM, Beiswanger BB, de La Rosa M, Isaacs RL, Lang NP, Mallatt ME, Meckel AH. A comparison of mouthrinses containing two concentrations of chlorhexidine. J Periodontal Res 1986;21:23-32. 

  24. Grossman E, Reiter G, Sturzenberger OP, De La Rosa M, Dickinson TD, Flrretti GA, Ludlam GE, Meckel AH. Sixmonth study of the effects of a chlorhexidine mouthrinse on gingivitis in adults. J Periodontal Res 1986;21:33-43. 

  25. Badwey JA, Karnovsky ML. Active oxygen species and the functions of phagocytic leukocytes. Annu Rev Biochem 1980;49:695-726. 

  26. Clifford DP, Repine JE. Hydrogen peroxide mediated killing of bacteria. Mol Cell Biochem 1982;49:143-9. 

  27. Brown MR, Gilbert P. Sensitivity of biofilms to antimicrobial agents. J Appl Bacteriol 1993;74:87S-97S. 

  28. Dostie S, Alkadi LT, Owen G, Bi J, Shen Y, Haapasalo M, Larjava HS. Chemotherapeutic decontamination of dental implants colonized by mature multispecies oral biofilm. J Clin Periodontol 2017;44:403-9. 

  29. Ikai H, Nakamura K, Shirato M, Kanno T, Iwasawa A, Sasaki K, Niwano Y, Kohno M. Photolysis of hydrogen peroxide, an effective disinfection system via hydroxyl radical formation. Antimicrob Agents Chemother 2010;54:5086-91. 

  30. Wennstrom JL, Heijl L, Dahlen G, Grondahl K. Periodic subgingival antimicrobial irrigation of periodontal pockets (I). Clinical observations. J Clin Periodontol 1987;14:541-50. 

  31. Featherstone JD. The science and practice of caries prevention. J Am Dent Assoc 2000;131:887-99. 

  32. Mombelli A. Microbiology and antimicrobial therapy of periimplantitis. Periodontol 2000 2002;28:177-89. 

  33. Potempa J, Sroka A, Imamura T, Travis J. Gingipains, the major cysteine proteinases and virulence factors of Porphyromonas gingivalis: structure, function and assembly of multidomain protein complexes. Curr Protein Pept Sci 2003;4:397-407. 

  34. Ahrari F, Eslami N, Rajabi O, Ghazvini K, Barati S. The antimicrobial sensitivity of Streptococcus mutans and Streptococcus sangius to colloidal solutions of different nanoparticles applied as mouthwashes. Dent Res J (Isfahan) 2015;12:44-9. 

  35. Zahradnik RT, Magnusson I, Walker C, McDonell E, Hillman CH, Hillman JD. Preliminary assessment of safety and effectiveness in humans of ProBiora3, a probiotic mouthwash. J Appl Microbiol 2009;107:682-9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