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산먼지 측정 정확도 개선을 위한 시뮬레이션 초음파 다중 산란 알고리즘 검증
Evaluation of Ultrasonic Multiple Scattering Method to Improve the Accuracy of Fine Dust Measurement 원문보기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v.24 no.6, 2020년, pp.119 - 128  

우욱용 (숭실대학교) ,  최하진 (숭실대학교, 건축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구조물 유지관리에서의 정확한 미세먼지 농도 계측을 위한 새로운 알고리즘을 제안하고 검증한다. 기존 광산란법 미세먼지 측정기의 측정 오차를 보완하기 위해 초음파 다중 산란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산란자의 배치와 산란 반경을 구현하기 위해 표준입자 및 실제 미세먼지의 SEM 촬영을 진행하였다, 초음파 다중 산란 이론식을 통해 초음파 신호의 주파수별 감쇠율과 산란 반경으로 미세먼지의 개수밀도를 나타내는 알고리즘을 도출하였고, 이론식과 수치해석을 통해 총 12가지의 미세먼지 형상에 대한 산란 반경을 도출하였다. 유한차분법을 기반으로 다중 산란 이론을 적용한 2-D 시간 이력 해석을 통하여 알고리즘을 검증하였으며, 신호 해석을 위한 신호 처리 기법을 나타내었다. 결과, 산란 반경에 해당하는 알고리즘의 오차는 개수밀도 단위 최소 19(1%), 최대 3455(52%)로 계산되었다. 산란반경 외에 실제 미세먼지 형상에 대한 부피를 반영하여야 하는 추후 연구가 필요함을 토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ultrasonic multiple scattering simulation using cross-section of fine dust particles were proposed. These days, along with awareness of air pollution, social interest in fine dust is increasing. In the construction field, awareness of fine dust is increasing, and research on preparing various cou...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설 현장 및 구조물 유지관리에서의 보다 정확한 미세먼지 측정 및 관리를 위해 초음파 다중산란 이론을 적용한 미세먼지 측정 시뮬레이션을 모델링하였다. 산란자의 배치와 산란 반경의 구현을 위해 표준입자의 SEM이미지를 모델링했다.
  • 본 연구에서는 산란자의 배치와 산란 반경을 구현하기 위해 표준입자 및 미세먼지 SEM 촬영을 진행했다. 사용된 전자현미경은 ZEISS GEMINI 300이며, 산란자의 표면 정보 획득이 가능한 2차 전자(Secondary electron)촬영을 수행하였다.
  • 이를 초음파 다중산란이론이 적용된 시뮬레이션 공간에 모델링했다. 이에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반으로 초음파 다중산란 이론을 적용한 미세먼지 측정 시뮬레이션의 정확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광산란법을 기반으로 하는 간이 미세먼지 측정기는 미세먼지의 개수농도를 질량농도로 변환할 때, 입자의 부피를 완전한 구로 가정한다. 미세먼지 입자는 모양과 밀도가 균일한 구체로 가정하며, 입자의 부피 는 식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 미세먼지는 구성하고 있는 성분의 종류와 그 성분의 비율에 따라 전체 밀도가 달라지지만, 간이 미세먼지 측정기에서 측정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개수농도에서 질량농도로 변환할 때 입자들의 밀도는 1.6으로 가정한다(Park et al 2014). 개수농도를 질량농도로 변환하기 위해 가정된 입자들의 밀도는 2010년 수도권 대기오염집중측정소에서 측정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다.
  • 산란 반경 및 다중 산란 시뮬레이션에 사용한 변수 설정은 Table 4과 같다. 시뮬레이션 공간에 배치된 표준입자의 부피비는 1%로 가정했으며, 표준입자는 random 함수를 통해 시뮬레이션 공간에 배치됐다. 시뮬레이션 모델링에 대한 정보와 해석 과정을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mcer.(2013), IARC: Outdoor air pollution a leading environment cause of cancer deaths. 

  2. World Health Organization.(2014), Burden of disease from Household Air Pollution for 2012. 

  3. Kim, J. H., Kang, S. W.(2018),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PM10 Pollu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Resource Economics Association, 18, 779-791. 

  4. Park, H. J., Woo, K. S., Chung, E. K., Kang, T. S., Kim, G. B., Yu, S. D., Son, B. S.(2015), A Time-Series Study of Ambient Air Pollution in Reaction to Daily Mortality Count in Yeosu,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24(1), 66-77. 

  5. Jeon, C. W., Cho, D. H., Zhu, L.(2018), Exploring the Spatial Heterogeneity of Particulate Matter (PM10)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idge Regression (GWRR), Journal of the Korea Cartographic Association, 18(3), 91-104. 

  6. Lee, N. R., Um, H. U., Cho, H. S.(2018), Development of Detection and Monitoring by Light Scattering in Real Time,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32(3), 134-139. 

  7. Lee, B. J., Park, S. S.(2019), Evaluation of PM10 and PM2.5 Concentrations from Online Light Scattering Dust Monitors Using Gravimetric and Beta-ray Absorption Method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35(3), 357-369. 

  8. Kim, S. J., Kang, H. S., Son. Y. S., Yoon, S. Y., Kim, J. C., Kim, G. S., Kim, I. W.(2010), Compensation of Light Scattering Method for Real-Time Monitoring of Particulate Matters in Subway St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26(5), 553-542. 

  9. Kim, J. H., Oh, J., Choi, J. S., Ahn, J. Y., Yoon, G. H., Park, J. S.(2014), A Study on the Correction Factor of Optic Scattering PM2.5 by Gravimetric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Urban Environment, 14(1), 41-47. 

  10. Lee, C. H., Oh, S. N.(2020), Effect of Atmospheric Humidity on Fine Dust Measurement Using the Light Scatter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20(1), 391-399. 

  11. Ministry of Environment Climate and Atmospheric Policy Division.(2016), Fine dust, what is it??, Ministry of Environment, 11-1480000-001435-01. 

  12. Antonio, A. D., Popoola, O. A. M., Ouyang, B., Saffell, J., Jones, R. L.(2018), Developing a Relative Humidity Correction for Low-Cost Sensors Measuring Ambient Particulate Matter, Sensors, 18(9), 2790. 

  13. Park, J. S., Moon, K. J., Park, S. M., Song, I. H., Kim, H. J., Hong, Y. D., Han, J. S.(2014), Possivility of the PM10 and PM2.5 Concentration Monitoring System using SMPS-APS Combination, Jounal of Korean Society for Environmental Analysis, 17(3), 161-172. 

  14. Kim, S. D., Kim, C. H., Hwang, U. H.(2008), A Study on the Particles Density Estimation in Seoul Metropolit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Health, 34(2), 131-136. 

  15. Chung, A., Chang, D. P. Y., Kleeman, M. J., Perry, K. D., Cahill, T. A., Dutcher, D., McDougall, E. M., Stroud, K.(2001), Comparison of Real-Time Instruments Used To Monitor Airborne Particulate Matter, Journal of the Air & Waste Management Association, 51(1), 109-120. 

  16. NIER(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2011), Annual Report of Seoul Intensive Monitoring Site 

  17. Shin, S. E., Kim, Y. P., Kang, C. H. (2010). Comparison of the PM10 Concentration in Different Measurement Methods at Gosan Site in Jeju Island.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19(4), 421-429. 

  18. Hu, M., Peng, J., Sun, K., Yue, D., Guo, S., Wiedensohler, A., & Wu, Z. (2012). Estimation of size-resolved ambient particle density based on the measurement of aerosol number, mass, and chemical size distributions in the winter in Beijing. Environmental science & technology, 46(18), 9941-9947. 

  19. DeCarlo, P. F., Slowik, J. G., Worsnop, D. R., Davidovits, P., & Jimenez, J. L. (2004). Particle morphology and density characterization by combined mobility and aerodynamic diameter measurements. Part 1: Theory. Aerosol Science and Technology, 38(12), 1185-1205. 

  20. Choi, S. I., An, J., & Jo, Y. M. (2018). Review of analysis principle of fine dust. Korean Industrial Chemistry News, 21(2), 16-23. 

  21. Lee, E. T. (2019). Analysis of Radiative Transfer Equation for Measurement of Particulate Matter Emitted from Coal-Fired Power Pla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41(8), 411-418. 

  22. Choi, H. J., Woo, U. Y., & Hong, J. Y. (2019). Development of Fine Dust Measurement Method based on Ultrasonic Scattering.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3(7), 40-48. 

  23. Kim, C. H. (2009). A Study on the Size-Based Density Estimation of Particulate Mattters(PM10)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24. Baek, C. M. (2019), Development of Scattering Dust Reduction Technology in the Life Cycle of Road Pavement,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3(2), 274. 

  25.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5), Research and study on air quality management in large cities-Identification of fine dust generation process and establishment of reduction measures, final report. 

  26. Lee, J. Y., Kim, I. H. (2017). Characteristics of a Filter Module Adsorption for Fine Dust Removal on Roa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9(1), 19-25. 

  27. Kim, H. I., Park, J. J., Kwark, J. W. (2019). Development of Construction Materials and Application Technologies for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Using Photocatalytic Material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ivil Engineers, 67(8), 87-89. 

  28. Hyun, J. H., Kim, H. J. (2019), Development of Fine Dust Reduction Technology on Roadsides Using Functional Construction Materials,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3(2), 273. 

  29. Kim, K. T. (2019). Method for Measuring and Suppressing to Fine Dust at Construction Sites in Urban Space Using Autonomous Moving Bodi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9(2), 701-704.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