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적활성화된 과황산에 의한 염화페놀의 산화분해특성 연구
A Study on Oxidative Degradation of Chlorophenols by Heat Activated Persulfate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9 no.1, 2020년, pp.69 - 77  

손지민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권희원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  황인성 (부산대학교 토목환경공학과) ,  김정진 (안동대학교 지구환경과학과) ,  김영훈 (안동대학교 환경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xidative degradation of phenol, three monochlorophenols (2-chlorophenol, 2-CP; 3-chlorophenol, 3-CP; 4-chlorophenol, 4-CP), four dichlorophenols (2,3-dichlorophenol, 2,3-DCP; 2,4-dichlorophenol, 2,4-DCP; 2,5-dichlorophenol, 2,5-DCP; 2,6-dichlorophenol, 2,6-DCP), and two trichlorophenols (2,4,5-tr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난분해성인 염화페놀에 대하여 열적활성화된 과황산을 이용하여 산화분해특성을 평가 하였으며, 아울러 염화페놀의 화학적 구조에 따른 반응 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페놀과 9종의 염화페놀류를 대상 으로 활성화 조건에 따른 산화분해특성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염화페놀의 역할은? 염화페놀은 미국 환경보호청 및 유럽연합에서 지정한 주요한 오염물질에 속해 있으며 염화페놀은 염소 이온의 치환수와 부착위치에 따라서 19개의 동족체(3종의 일염화페놀, 6종의 이염화페놀, 6종의 삼염화페놀, 3종의 사염화페놀, 1종의 오염화페놀)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이성질체마다 독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다(ATSDR, 1999; Ryu, 2012). 염화페놀은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 방부제의 역할도 가능하다. 염화페놀의 체내 흡수경로는 노출경로에 따라 다양하다.
페놀이란 무엇이며, 어떤 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난분해성 인공화합물 가운데 페놀은 다수의 유출사고를 통하여 많이 알려진 오염물질이다(ATSDR, 1999; Czaplicka, 2004). 페놀은 벤젠고리에 수산화기가 치환된 방향족 탄화수소이며, 염화페놀은 페놀에 염소이온이 치환된 구조를 가진다. 염화페놀은 미국 환경보호청 및 유럽연합에서 지정한 주요한 오염물질에 속해 있으며 염화페놀은 염소 이온의 치환수와 부착위치에 따라서 19개의 동족체(3종의 일염화페놀, 6종의 이염화페놀, 6종의 삼염화페놀, 3종의 사염화페놀, 1종의 오염화페놀)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이성질체마다 독성 및 물리화학적 특성에 차이가 있다(ATSDR, 1999; Ryu, 2012).
과황산의 열적활성화반응의 문제점은? 과황산의 열적활성화반응은 이론적으로 과황산 분자로부터 2개의 라디칼을 생성하여 높은 활성화 효율을 가지며, 온도가 높을수록 빠른 활성화 반응에 의한 향상된 분해속도를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토양 및 지하수환경에 적용하는 경우, 높은 온도를 유지할수록 비용적 부담이 증대되며, 아울러 가해지는 열에 의한 2차 오염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산화반응의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활성화 온도를 높이는 것 이외에 과황산 주입량을 증가시켜 반응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hmad, M., Teel, A. L., Watts, R. J., 2013, Michanism of persulfate activation by phenols, Environ. Sci. Tec., 47, 5864-5871. 

  2. ATSDR (Agency for Toxic Substances and Disease Registry), 1999, Public health statement chlorophenols. 

  3. Chen, J., Qian, Y., Liu, H., Huang, T., 2015, Oxidation degradation of diclofenac by thermally activated persulfate: implication for ISCO, Environ. Sci. Pollut. Res., 23(4), 3824-3833. 

  4. Czaplicka, M., 2004, Sources and transformations of chlorophenols in the natural environment. Scie. Total. Environ., 322, 21-39. 

  5. Diaz Kirmserm, E. M., Martire D. O., Gonzalez, M. C., Rosso, J. A., 2010, Degradation of the herbicides clomazone, paraquat, and glyphosate by thermally activated peroxydisulfate, J. Agric. Food Chem., 58(24), 12858-12862. 

  6. Guo, Y., Wang, S., Li, Y., Xiao, H., Guan, J., Su, R., Yuan, H., Gao, G., Liang, B., 2016, Degradation of 2,4,6-trichlorophenol in photo-sulfate system: mineralization and pathways,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mart Materials and Nanotechnology in Engineering(SMNE 2016), China. 

  7. Hou, X., Zhan, G., Huang, X., Wang, N., Ai, Z., Zhang, L., 2020, Persulfate activation induced by ascorbic acid for efficient organic pollutants oxidation, Chem. Eng. J., 382, 122355. 

  8. Huang, Y. F., Huang, Y. H., 2009, Identification of produced powerful radicals involved in the mineralization of bisphenol A using a novel $UV-Na_{2}S_{2}O_{8}/H_{2}O_{2}-Fe(II,III)$ two-stage oxidation process, J. Hazard. Mater., 162(2-3), 1211-1216. 

  9. Huling, S. G., Pivetz, B. E., 2006, In-situ chemical oxidation, EPA, Engineering Issue, 600/R-06/072. 

  10. ITRC (Interstate Technology & Requlatory Council), 2005, Technical and regulatory guideline, Technical and regulatory guidance for in situ chemical oxidation of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2nd ed., http://www.itrcweb.org. 

  11. Kim, Y. H., 1998, Degradation of phenol using immobilized microorganism, Master's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Korea. 

  12. Lee, E. S., Franklin, W. S., Woo, N. C., 2003, A Review of in siru chemical oxidation scheme using potassium permanganate for groundwater remediation, J. Geo. Soc. Korea, 39(3), 413-421(9). 

  13. Luo, C., Jiang, J., Ma, J., Pang, S., Liu, Y., Song, Y., Guan, C., Li, J., Jin, Y., Wu, D., 2016, Oxidation of the odorous compound 2,4,6-trichloroanisole by UV activated persulfate: Kinetic, products, and pathways, Water Res., 96, 12-21. 

  14. Ma, J., Li, H., Chi, L., Chen, H., Chen, C., 2017, Changes in activation energy and kinetics of heat-activated persulfate oxidation of phenol in response to changes in pH and temperature, Chemosphere, 189, 86-93. 

  15. Manna, S., Gopakumar, D. A., Roy, D., Saha, P., Thomas, S., 2018, Nanobiomaterials for removal of fluoride and chlorophenols from water. New Polymer Nanocomposites for Environment Remediation, vol, 20, 1st ed., Elsevier Inc., USA, 487-798. 

  16. Michalowicz, J., Majsterek, I., 2009, Chlorophenols, chlorocatechols and chloroguaiacols induce DNA base oxidation in human lymphocytes (in viyro). Toxicology., 268(3), 171-175. 

  17. Mora, V. C., Rosso, J. A., Martire, D. O., Gonzalez, M. C., 2011, Phenol depletion by thermally activated peroxydisulfate at $70^{\circ}C$ , Chemosphere, 84(9), 1270-1275. 

  18. Oh, S. K., Kang, S. G., Chiu, P. C., 2010, Degradation of 2,4-dinitrotoluene by persulfate activated with zero-valent iron, Sci. Total Environ., 408, 3464-3468. 

  19. Ryu, S. J., 2012, Clonig, overexpression and purification of chlorophenol monooxygenase and their structural and functional analysis, Master's dissertation, Konkuk University, Seoul, Korea. 

  20. Tsitonaki, A., Petri, B., Crimi, M., Mosbk, H., Siegrist, R. L., Bjerg, P. L., 2010, In situ chemical oxidation of contaminated soil and groundwater using persulfate, A Review, Environ. Sci. Tecnol., 40(1), 55-91. 

  21. Wang, X., Hu, J., Chen, Q., Zhang, P., Wu, L., Li, J., Liu, B., Xiao, K., Liang, S., Huang, L., Hou, H., Yang, j., 2019, Synergic degradation of 2,4,6-trichlorophenol in microbial fuel cells with intimately coupled photocatalytic-electrogenic anode, Water Res., 156, 125-135. 

  22. Wang, Z., Chen, G., Patton, S., Ren, C., Liu, J., Liu, H., 2019, Degradation of nitrilotris-methylenephosphonic acid (NTMP) atiscalant via persulfate photosis: implications on desalination concentrate treatment, Water Res., 159, 30-37. 

  23. Xu, L., Yuan, R., Guo, Y., Xiao, D., Cao, Y., Wang, Z., Liu, J., 2013, Sulfate radical-induced degradation of 2,4,6-trichlorophenol: A de nano formation of chlorinated compounds, Chem. Eng. Jour., 217, 169-173. 

  24. Zhao, J. Y., Zhang, Y. B., Quan, X., Zhao, Y. Z., 2010, Sodium peroxydisulfate activation by heat and Fe (II) for the degradation of 4-CP, Huan Jing Ke Xue, 31(5), 1233-12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