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IM기반 가설공사 업무지원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BIM-based Engineering Management System for Temporary Work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1 no.1, 2020년, pp.61 - 69  

최창훈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 ,  한충희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 ,  이준복 (경희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 프로젝트d의 대형화, 복잡화, 다양화로 인해 건설공사에서 발생되는 정보의 양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설계 및 시공 검토가 현장 성공 여부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학계와 산업에서 활발하게 이뤄져 왔다. 설계, 계획 및 유지관리 등 건설 전 단계에서 BIM의 활용은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고, 현재 건설 산업에서 사용되는 표준 중의 하나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가시설물을 위한 전문화된 소프트웨어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기술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하여 BIM기반 가설공사 설계는 2D 설계를 완료한 후 3D로 형상화하여 보조수단으로 활용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기반 가시설물 설계 및 물량산출, 현장점검 업무의 인간적인 실수(Human error)를 최소화하고 업무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BIM기반 업무지원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amount of information generated in the construction project increases exponentially, design and construction review have a serious impact on the success of the site. For this reason, academic and business circles have been expanding the use of BIM at the whole life, and BIM is now accepted as...

주제어

표/그림 (2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표준시방코드(KCS)의 경우 각 소분류 항목에서는 해당 가설공사를 세부공종별로 일반사항, 재료, 시공측면으로 분류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설공사 업무수행 시 기초가 되는 제기준을 건설기준 코드를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이는 가시설물을 위한 전문화된 소프트웨어가 없을 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기술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형화되며 복잡해지는 건설 프로젝트에서 가설공사에 대한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가설공사 BIM기반 업무지원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가설공사 BIM기반 업무지원시스템은 가시설물 BIM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BIM 비전문가도 쉽고 빠르게 설계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지원하는 설계모듈과 물량산출 및 점검 업무를 자동화하여 오류를 줄이고 빠르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지원하는 물량산출모듈 및 현장점검모듈로 이루어져 있다.
  • 그리고 기존 BIM 적용 사례 및 연구의 대부분은 본 구조물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가설공사에 대한 BIM적용 연구는 설계, 물량산출, 검증 각각의 업무를 수행하는 연구만 이루어졌을 뿐 전체 업무를 통합하여 체계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BIM 라이브러리(Library)를 활용하여 BIM기반 가시설물 설계를 수행하며, 설계된 BIM 모델을 활용하여 물량산출 및 현장점검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BIM기반 업무지원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BIM 라이브러리기반 가설공사 설계와 물량산출 및 현장점검 업무의 자동화를 통하여 인간적인 실수(Human error)를 최소화하여 업무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업무시간 단축을 도모하여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는 BIM기반 업무지원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다.
  • 5]와 같이 점검에 따른 결과를 작성·검토하며 이를 바탕으로 점검결과 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이다. 점검결과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실무자는 관련된 모든 업무를 수작업으로 실시해야 하기 때문에 이를 자동화하여 정보의 오류를 최소화하고 업무의 효율성을 증진시키고자 한다.
  • 4]와 같다. 점검하는 대상의 제기준을 확인하고 점검표를 작성하여 점검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는 것이다. 실무자는 점검하는 대상의 제기준만을 확인하기 위해 여러 관련서류를 광범위하게 검색·확인해야하기 때문에 업무를 비효율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설공사란 무엇인가? 가설공사는 “건설공사에서 본 공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조사, 측량, 제반 규준틀의 준비공사, 현장사무소, 창고, 공사용 도로, 동력설비, 플랜트, 모터풀, 급수배수시설, 안전설비, 가건축물 등을 축조 및 철거하는 것으로서 목적물의 준공 후 철거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가설공사는 가설건물, 가설펜스, 가설도로 등의 공통가설과 비계, 거푸집 및 동바리, 작업발판 등의 직접가설로 나누어진다.
건축설계에서 2D 기반의 CAD 작업을 사용하여 생긴 장점은? 1980년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대다수의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2D 기반의 CAD (Computer Aided Design) 작업은 건축설계에서 작업시간의 단축, 인력의 효율적 배치, 방대한 설계 자료의 재활용, 경제적인 이익, 설계품질의 향상 등을 가져왔다(Kim et al., 2013).
일반적인 가시설물 물량산출 체계는 어떻게 되는가? 3]과 같다. 평면도, 단면도 등의 설계도서를 분석하여 물량을 산출해야하는 아이템들을 도출하고 이에 대한 물량을 산출하여 수량산출서를 작성한 이후 산출된 각 항목들에 대한 단가를 산출하여 일위대가를 작성하고 최종적으로 수량산출서와 일위대가를 활용하여 내역서를 작성한다. 상기 일련의 과정들에서 물량산출 항목 누락이나 산출된 물량 취합 오류 등의 인간적인 실수(Human error)로 인해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빈번히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Choi, J.S. (2011).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Quality Control Requirement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Architectural Design in Open BIM Environment." PhD dissertation, Kyung Hee Univ., Yongin. 

  2. Choi, S.J., Choi, D.H., and Shin, W.C. (2013). "Survey on work platforms of the Mobile Scaffolding."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and Science, KSMS, 15(2), pp. 76-84. 

  3. Hong, S.W. (2013).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IM Based Standard Library for LCCO2 Assessment and the Green Building Certification." MS thesis, Hanyang Univ., Seoul. 

  4. Jeong, S.C., and Lee, H.K. (2016). "A Study on the Survey and Improvement of Safety Certifications in Temporary Equipment and Material."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RAAIK, 18(2), pp. 171-180. 

  5. Kim, J.H., Fischer, M., Kunz, J., and Levitt, R. (2015). "Semiautomated Scaffolding Planning: Development of the Feature Lexicon for Computer Application." Journal of Computing in Civil Engineering, ASCE, 29(5), 04014079. 

  6. Kim, K.K., and Teizer, J. (2014). "Automatic design and planning of scaffolding systems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dvanced Engineering Informatics, Elsevier, 28(1), pp. 66-80. 

  7. Kim, K.K., Cho, Y.C., and Zhang, S. (2016). "Integrating work sequences and temporary structures into safety planning: Automated scaffolding-related safety hazard identification and prevention in BIM." Journal of Automation in Construction, Elsevier, 70, pp. 128-142. 

  8. Kim, K.R., and Yu, J.H. (2017). "Automated Priority Management for BIM-based Maintenance Work using Semantic Web."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AIK, 33(1), pp. 53-61. 

  9. Kim, M.J. (2012). "Development of Breakdown Structure of Temporary Work in Housing Project." MS thesis, Chungbuk Univ., Chungbuk. 

  10. Kim, T.H., Lee, D.H., Bea, S.I., Hong, Y.K., and Park, Z.S. (2013). "Proposal of field applied safety control process using BIM."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RAAIK, 15(5), pp. 43-250. 

  11. Koo, B.S., and Shin, B.J. (2017). "Applying Novelty Detection for Checking the Integrity of BIM Entity to IFC Class Association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8(6), pp. 78-88. 

  12. Lee, B.H., and Ku, M.Y. (2011). "Development of BIM Library for Temporary Earth Retaining Structure." KIBIM Magazine, pp. 61-65. 

  13. Park, J.M., and Kim, O.K. (2014). "Development on Breakdown Structure of Construction Site centered Construction Temporary Technology Index."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4(4), pp. 77-85. 

  14. Park, S.W. (2008). "Classification of Temporary Equipments for Building Construction in Safety Certification." MS thesis, Chungbuk Univ., Chungbuk. 

  15. Rogier, J., Kim, J.H., Fischer, M., Mourgues, C., and Olofsson, T. (2008). "Quantitative analysis of workflow, temporary structure usage, and productivity using 4D models." Journal of Automation in Construction, Elsevier, 17(6), pp. 780-791. 

  16. Yoon, S.W., Park, G.H., Choi, C.H., and Chin, S.Y. (2009). "A BIM Case Study in Construction Phase : D3 city Project." Architecture, AIK, 53(8), pp. 52-55. 

  17. Eastman, C., Teicholz, P., Sacks, R., and Liston, K. (2011). "BIM handbook: A guide 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for owners, managers, designers, engineers and contractors." John Wiley & Son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