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공지반녹화지역인 서울로 7017 개원후 1년간의 이입식물 특성
Immigration Plant Characteristics of Seoullo 7017, as Artificial Foundation Greening Area, after completion 1 year 원문보기

環境復元綠化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v.23 no.1, 2020년, pp.15 - 36  

차두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최동석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송종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최지원 (동국대학교 대학원 바이오환경과학과) ,  오충현 (동국대학교 바이오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management plan of Seoullo 7017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immigration plants in addition to those introduced plants. The taxa number of plants appeared as 276 taxa including 82 families, 161 genera, 246 spec...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서울로 7017에 도입된 식물과 이입식물 특성을 조사ㆍ분석하여 서울로 7017의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급수는‘자동점적 관수시스템’을 도입하여 식물의 수분요구에 맞게 급수와 퇴수 시기를 자동 제어 가능하도록 설치했다. 수목 하부에는 상록 덩굴식물을 심어 화분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급격한 온도변화와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Seoul city, 201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로 7017의 역할은? 서울로 7017은 만리동, 청파동, 중림동, 남대문시장 등 침체되어 있던 주변 지역과 시장을 활성화하는 도시재생과 가용지가 부족한 서울에 녹지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개원 이후 서울로 7017에 대한 생물상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생물상 조사를 실시하여 관리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구축의 필요성이 있다.
인공지반녹화는 무엇을 말하는가? 인공지반녹화(Artificial Foundation Greening)는 인공적인 구조물 위에 인위적인 지형, 지질의 토양층을 새롭게 형성하고 식물을 이용한 식재를 하거나 수공간을 만들어서 녹지공간을 조성하는 것을 말한다(Seoul city, 2017). 산업화와 도시화 이후 무분별한 자연자원 개발이 행해졌고, 이로 인한 녹지공간은 점점 감소하여 야생 동물 서식처 훼손, 도시 열섬, 미세먼지 노출 등도시 문제가 야기되었다.
서울로 7017는 어떤것을 모델로 삼았는가? 그러나 2012년 정밀안전진단에서 통행을 폐쇄해야 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서울시는 이 고가도로를 철거하지 않고, 뉴욕의 ‘High Line Park’, 일본 요코하마의 ‘개항의 길’ 등을 모델로 삼아 2015년 12월 13일 착공하여 2017년 5월 20일 준공하였다(Seoul city, 20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oi HS. Hong SY. Kim KG. Yang BY and Oh WY. 2003. A Study of Management Method of Planted Plants and Invasive Plants through Monitoring on Rooftop Garden "Choroktteul" in Seoul City Hal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ol.31 : 112-124. (In Korean) 

  2. Choi HS and Ahn TM. 2004. Rooftop Planting Methods and Invading Species.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7(3) : 35-47. (In Korean) 

  3. Han YC and Lee EH. 2011. An Occurrence Aspect of Invasive Plants According to Planted Plants in Extensive Rooftop Greening. J. Korean Env. Res. Tech. 14(3) : 71-84 (In Korean) 

  4. Jang J. Oh CH. Yun SH and Oh HY. 2010. The Research of Immigration Plants Characteristics in the Rooftop Garden of Seoul City Hall. Pro. Kor. Soc. Env. Eco. Con 20(1) : 245-249. (In Korean) 

  5. Jung HS. 2008. Plant growth and weed occurrence in an extensive green rooftop system. Ph.D. dissertation, Sungkyunkwan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6. Jung SY. 2014. A study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Invasive Alien Plant (IAP) in South Korea. Ph.D. dissertation, Andong National University, 41-42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7. Kang HK. Han BH. Lee KJ and Kim JS. 2009. Management Method and Character of Invasive Species in the Rooftop Gardon. Pro. Kor. Soc. Env. Con. 19(1) : 152-159 (In Korean) 

  8. Kim. JS. Kim JH and Kim JH. 2018. Korean Flower. Dolbegae. (In Korean) 

  9. Korea National Arboretum. 2016.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pp. 8-20. (In Korean) 

  10. Lee C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Vols I & B). Hyangmunsa. (In Korean) 

  11. Lee WT. 1996a.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In korean) 

  12. Lee WT. 1996b.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Seoul. (In korean) 

  13. Lee YJ. 2019. The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Urban Green Space in Apartment Complex, Seoul. Ph.D. dissertation, Dongguk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4. Lim MS. Kim Y and Oh CH. 2010. The research of Immigration plants characteristics in the rooftop garden - In the Case of the Dongguk University rooftop garden -. Pro. Kor. Soc. Env. Eco. Con. 20(1) : 250-254 (In korean) 

  15.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II. Gebruder Borntraeger. pp.666 

  16.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n) 

  17. Ryu SJ. 2010. Studies on the Floral Changies in the Extensive Rooftop Greening Sites. Ph.D. dissert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8. Seoul City. 2017. Seoullo 7017 white paper. Vol. 02 : pp. 464-595. (In korean) 

  19. Woo SM.Han HJ and Eom AH. 2013. Monitoring Plants and Animals in the Rooftop Garden of Areum Broadcasting Network in Seongnam City. School Science Journal. 7(3) : 153-160. (In korean) 

  20. The Korean Society of plant Taxonomists. 2007. Korean Plant Name Index (KPNI). Korea National Arboretu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