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군집분석을 이용한 산촌경관 유형 구분 및 특성 분석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Mountain Village Landscape Using Cluster Analysis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6 no.1, 2020년, pp.101 - 112  

고아랑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임정우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  김성학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복지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public awareness regarding mountain villages' landscapes is increasing. Thus, this study aimed to provide standards for conservation, management and creation of mountain village landscape by characterizing and classifying those exist. 286 mountain villages' data were collected and 19 vari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산촌경관의 경우 지리적 여건으로 형성된 입지적 특성과 주민과의 관계 속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산촌경관의 유형을 분류하면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는 것을 선행해야 한다. 따라서 농산촌 지역 유형을 구분하면서 사용한 지역적 특성 변수들과 연구방법을 중점적으로 파악하였으며, 대다수의 선행연구는 산촌을 농촌과 차별화하지 않았으므로 농촌 지역 유형 분류를 시도한 연구를 함께 살펴보았다.
  • 이러한 흐름이 지속화된다면 산촌이 갖는 고유한 경관특성을 고려하지 못한 채 정책 사업이 계속 추진될 것이며 산촌과 농촌을 동질화시키는 결과로 귀결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촌경관과 관련된 정책 사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산촌경관 유형을 분류하고 유형별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산촌경관에 있어서 중요한 입지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GIS 공간데이터와 마을의 인문적 요소를 담을 수 있도록 문헌 고찰을 통해 변수 정 과정을 거쳤다. 또한, 이에 대해 검토할 수 있도록 현장조사로 타당성을 보완하여 모색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다양한 경관요소를 내포하고 있는 산촌경관 유형을 분류하고 특성을 살펴보았다. 향후 산촌경관에 관한 보전⋅형성⋅관리 계획 및 정책의 수립과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지리적 여건에 의해 농촌과 차별적으로 지각되는 총체적 대상으로 농업 및 임업 활동 등에 의해 형성된 역사적, 문화적, 물리적 요소와 주변 요소를 포괄하는 특징으로 산촌경관의 개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산촌경관은 ‘지리적 여건으로 형성된 입지적 특성과 주민이 산림과의 관계 속에서 적응하여 발생하는 인간의 활동, 경지 형태, 임업 형태, 취락 구조, 생활양식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형성된 총체적인 모습’이라 할 수 있다.
  • (2013) 은 산촌의 사회경제 조사를 위해 읍면 단위의 토지, 기후, 인구에 관한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9개의 변수를 설정하고 요인분석을 하여 변수에 적재치에 따라 산촌진흥지역을 3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산촌유형을 구분한 기존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경관유형을 분류하고자 미시적인 공간적 접근을 하고 다양한 변수 설정을 통해 총체적인 마을의 모습을 분석하고자 하였습니다.
  • , 2006). 이에 본 연구는 변수선정에서 산촌경관을 다각도로 접근하고자 하였으며, 물리적인 경관자원 이외에 문화경관 요소를 고려하였다.
  • 향후 산촌경관에 관한 보전⋅형성⋅관리 계획 및 정책의 수립과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현장조사는 군집분석을 통한 산촌경관 유형이 타당한지 실질적 검증을 하고, 산촌경관 유형별 보전⋅형성⋅관리에 대한 기본방향을 설정하고자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유한 마을경관을 관광 자원화로 구현할 필요가 있는 이유는? 관광산촌형은 역사⋅문화경관자원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및 콘텐츠를 개발하여, 고유한 마을경관을 관광 자원화로 구현해나갈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산림 환경의 아름다운 경관은 방문객의 만족도에 항상 영향을 주며 대부분 경우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Brown et al., 1984) 지역 이미지를 고취시키므로 경관을 이용한 지역 브랜드 활성화가 필요하다.
우리나라 산촌의 법적 정의는? 우리나라 산촌의 법적 정의는 임야율이 70% 이상, 경지율과 인구밀도가 전국 읍⋅면 평균 이하인 지역이다. 이러한 법적 정의에 따라 분포된 산촌의 규모는 국토면적의 43.
최근 산촌경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이유는? 5%를 차지하고 있으며, 산림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활동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최근 자연환경 조건이 우수한 지역으로의 귀농⋅귀촌 선호와 산림휴양 수요의 증가로 도시민들의 휴양과 체험 관광 등 여가활동 공간으로 산촌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촌경관에 대한 관심도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경관이 여가, 관광, 정주환경과 더불어 건강에도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로(Real E.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Bae, J. S. et al., 2018, Future Prospects of Mountain Village,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ervice, 1-129. 

  2. Chae, M. O. et al., 2015, A Study on a Macroscopic Evaluation Method of Forest Recreation Functio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4(2), 267-276. 

  3. Choi, J. Y., 2011, Study on the Coastal Landscape Categorization and Management Framework Analysis. Korea Maritime Institute. 

  4. Doshita, M., Rural Landscape and Tourism Devlopment in Japan: A Case Study of Kita Village, Miyama Town, Kyoto, Senti Ethnological Studies, 76, 177-191. 

  5. Eulogio Real, et al., 2000, Classification of landscapes using quantitative and categorical data, and prediction of their scenic beauty in north-western Spain,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0, 355-373. 

  6. Hwang, K. W., 1989, A Treatise on the Definitions of Ambiguous Landscap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7(1), 55-68. 

  7. Im, S. B. et al., 2007, Classification Index for Landscape Type: focused on Natural and Rural Landscape mapp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13(1), 41-50. 

  8. Im, S. B., 2009, Theories in Landscape Analy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307. 

  9. Jo, J. H. et al., 2015, A Study on Classifications and Characteristics of Declined Rural Area in Chungcheong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5(1), 203-215. 

  10. Joo, S. H. and Kim, G. I., 2015, Easily explained Landscape Act, bomoondang. 

  11. Kang, M. H. and Kim, S. G., 2010,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es for Forest Landscape Classificatio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9(6), 777-784. 

  12. Kim, J, H. and Kim Y. J., A Reasearch on Recognition and Needs of Mountain Village Residents about the Introduction of Mountain Eco-Touris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106(3), 353-361. 

  13. Kim, J. Y. et al., 2014, Characteristic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Rural Areas: Based on the Eup and Myon Areas of Chungcheongnam-do, Journal of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6(1), 27-44. 

  14. Korea Forest Service, 2016, Study about Current Conditions and Revitalizing Methods regarding Mountain Villages of Relocators from Urban Areas. 

  15. Kim, S. B. et al., 201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8-13. 

  16. Kim, S. G. et al., 2012, Institutional Improvement Plan through Empirical Study of Rural Landscape, Presidential Commission on Architecture Policy, 1-225. 

  17. Kim, Y. T. et al., 2014, Development of Evaluation Indicators System by Rural Village Typ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ural Planning, 20(1), 37-49. 

  18. L. Brabyn, 1996, Landscape Classification Using Gis and National Digital Databases, Landscape Research, 21(3), 277-300. 

  19. L. Brabyn and D.M. Mark, 2011, Using Viewsheds, GIS, and a Landscape Classification to Tag Landscape Photographs, Applied Geography, 31, 1115-1122. 

  20. Lee, H. B. et al., 2004,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Urban Landscape in Seoul, Ko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9(3), 247-259. 

  21. Lee, J. S. et al., 2002,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of Regional Patterns by Cluster Analysis Utilizing Factor Score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37(4), 191-199. 

  22. McHarg, Ian L., 1995, Design with nature, Wiley. 

  23. Min, K. T. et al., 2013, A Preliminary Study for the Socioeconomic Survey of Mountain Villag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155. 

  24. Min, K. T., 2017, Urban Residents' Perception on Mountainous Villages, Korea Forest Economics Society, 24(1), 15-24. 

  25. Park, K. D., 2012, A study on the Importance and Correlation the Landscape Elements of Landscape Types,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7(7), 129-139. 

  26. Park, H. C. and Kim, S. G., 2008, A Study on the Rural Landscape and Locality according to the Community Planning,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10(4): 65-72. 

  27. Park, J. W. et al., 2015, Classification of Forest Welfare Service using the Cluster Analysis: A Case Study in Gangwon Province, Journal of Korean Photo Geography, 25(1), 115-124. 

  28. Roh, S. H. et al., 2007, A Study on the Location Characteristics in Rural Area of Valley Categor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Rural Architecture, 9(26), 103-111. 

  29. Seong, J. I. and Song, M. R., 2003,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Areas in Korea, Journal of Rural Development, 26(2), 1-22. 

  30. Shim, J. Y. and Kim, Y. I., 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servation distance, scale of buildings and the landscape preference by the landscape types in a suburban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Landscape Architecture, 25(1), 112-123. 

  31. Shin, J. S. and Choi, M. J., 2014, A Research on Improvement upon Deducing and the Classification of the Target Elements for Rural Landscape Planning, Residential Environment, 12(4), 141-150. 

  32. Shinohara, O., 1999, Basic and Actual Landscape Plan, Daewoo Press, 1-326. 

  33. Shon, C. H. and Youn, Y. C., 1997, Classification of Mountain-Village Areas by the Site Characteristic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6(1), 46-55. 

  34. Son, H. G. et al., 2017, Classification of Mountain Village Areas and Policy Tasks Focused on Terrain and Population Changes,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1-152. 

  35. Son, Y. H., Yoon, M. Y., 2011, Types of Green Landscapes in a Suburban City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6. Song, D. B. and Oh, N. H., 2001,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istic Analysis of Rural Communities in Chungnam Province,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13(3): 107-120. 

  37. Song, J. J., 2015, SPSS/AMOS Statistics Methodology, 21cbook. 

  38. Suh, J. H., Yoon, J. N., 1999, An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Landscape Resources through and Application of GIS and Cluster Analysis: In the case of Cheju islan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3), 88-97. 

  39. Ulrich, R. S., 1984, View Through a Window May Influence Recovery from Surgery. Science, 224, 420-421. 

  40. Wu, Yingxin. et al., 2006, Using Gis in Landscape Visual Quality Assessment, Applied Gis, 2(3), 18.1-20. 

  41. Y. Iwata. et al., 2011, Public Perception of the Cultural Value of Satoyama Landscape Types in Japan, Landscape and Ecological Engineering, 7(2), 173-184. 

  42. Yoo, R. H. et al., 2019, 2018, A Survey on National Leisure Activity of Forest,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43. Zhou De-min. et al., 2004, A Spatial Cluster Method Supported by GIS for Urban-Suburban-Rural Classification, Chinese Geographical Science, 14(4), 337-3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