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재생을 통한 서울지역 전통시장 활성화 영향 요인이 활성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기대감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the Influential Factors on the Invigor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 Places in Seoul through Urban Regeneration upon the Awareness on Invigoration: the Mediating Effect of Expect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4, 2020년, pp.248 - 258  

최재현 (한양대학교 도시설계.경관생태조경학과) ,  이명훈 (한양대학교 도시개발경영.부동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서울지역 전통시장을 중심으로 성공적인 도시재생을 위해 전통시장의 시설개선과 같은 물리적 정비 요소 중 어떤 요소들이 성공적인 도시재생을 위한 기대감과 활성화 인식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 도심부에 위치하며, 최근 여러 형태의 활성화 요인으로 일반 소비자는 물론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의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여 도심부 상권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는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총 515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 분석SPSS 23.0과 AMOS 22.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로는 도시재생활성화 요인(심리적, 물리적, 다양성, 기능적, 안정성) 요인을 도출하였으며, 도시재생에 대한 기대감에 활성화 요인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공적인 도시재생을 위한 전통시장의 개념을 포괄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제안하고 더불어 도시재생을 위한 전통시장의 활성화 요인를 재조명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즉, 실질적으로 전통시장을 이용하는 시민들을 대상으로 하여 추후 도시재생이 이루어지기 위한 계획과 실천 부분에 있어서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종합적 진단 방안을 제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n empirical analysis was performed with regards to traditional markets in Seoul, South Korea to find which physical maintenance elements, such as facility improvement for successful urban restoration, have greater effects on the expectation and activation awareness of successful urba...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전통 시장을 중심으로 성공적인 도시재생을 위해 전통시장의 어떤 요소들이 성공적인 도시재생을 위한 기대감과 활성화 인식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전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에 대한 제언과 함께 지역경제와 도시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H1. 도시재생을 통한 전통시장의 활성화 요인은 기대 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도시재생을 통한 전통시장의 활성화 기대감은 활성화 인식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도시재생을 통한 전통시장의 활성화 요인과 활성화 인식의 관계에서 기대감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재생과 관련된 도시공원의 다양성 요소는 무엇인가? Jane Jacobs(1961)는 도시재생과 관련된 도시공원의 다양성 요소를 설명하고 있다[16]. 첫째, 물리적 다양성으로 도시 주변지역의 용도와 기능이 다양화되어야 특정 시간대에 집중되는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둘째, 목적의 다양성으로서 사람들이 공원을 단순히 혹은 충동적으로 찾아오는 것이 아니라 특별한 수요로 찾아오는 경우가 많다. 셋째, 이용계층의 다양성으로서 이용자들의 연령이나 계층 등 특정계층 이용자들의 이용시간과 행태에 대한 편중된 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 넷째, 이용시간의 다양성으로 이용자의 생활패턴에 따라 이용의 상황이 다양하며, 이용시간에 따른 이벤트와 프로그램의 조화로 인해서 이용자의 목적과 계층의 다양성까지 만족시킬 수 있다고 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도 Jacobs(1961)가 언급한 도시재생에 관한 개념을 물리적 다양성과 목적의 다양성 그리고 이용계층의 다양성이 나타날 수 있는 전통시장에 적용하여 전통시장을 기반으로 하는 도시재생 활성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한다[16].
재래시장이 전통시장 용어로 사용된 이유는 무엇인가? 전통시장은 2009년 이전까지 ‘재래시장’으로 사용되다가 2009년 「전통시장 및 상점가 육성을 위한 특별법」 에 의해 젊은 소비층에게 다가가지 못하는 이미지를 탈피하기 위해 사용하게 되었다. 이후 2013년 6월 법률상의 정의로 ‘자연발생적으로 또는 사회적·경제적 필요에 의해 조성되고, 상품이나 용역의 거래가 상호 신뢰에 기초하여 주로 전통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장소’로 규정되었다[13].
전통시장의 축소가 빠르게 진행된 이유는 무엇인가? 1990년대 이후로 전통시장은 이용자들의 인터넷 구매 및 소비형태의 변화 등을 통해 점차 이용이 줄어들게 되었고, 대형 할인마트의 출현으로 전통시장의 축소는 빠르게 진행되었다[1]. 이로 인한 전통시장의 영업환경은 더욱 악화되었고, 정보기술의 발달과 전자상거래의 등장으로 인해 인터넷 쇼핑몰과 홈쇼핑 시장이 급속히 성장하기 시작하였고, 이에 따른 소비자들의 소비습관 및 구매 패턴이 변화함에 따라 경쟁력을 상실한 전통시장의 쇠퇴가 가속화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Y. H. Nam, T. C. Ryu, K. K. Hong, "Seeking ways to revitalize traditional markets and shopping malls", Urban Information Service, Vol.345, pp.3-18, 2010. 

  2. J. H. Lee, Y. Kim, K. H. Kim, "Analysis of the Influential of Traditional Markets Vitalization of Facilities Modernization Project on Traditional Markets: Focused on the Jinju Jungang Yudeung market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Vol.25, No.1, pp.233-249, 2013. 

  3. X. Y, Wang, B. Park, " Research on the Regener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 for the Urban Revitalization",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Vol.17, No.3, pp.31-43, 2018. DOI: https://doi.org/10.21195/jidr.2018.17.3.003 

  4. M. J. Kim, S. M. Rhu, "Qualitative Analysis of Traditional Market Vitalization: Focused on traditional market in Korea", Journal of Channel and Retailing, Vol.21, No.4, pp.157-177, 2006. 

  5. S. A. Sung, H. Oh, H. Y. Hwang, "Analysis of the Impact of Residents Participation Activities on Continued Motivation in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Focused on Sajik-dong, Cheongju-si",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Geography), Vol.50, No.4, pp.393-406, 2015. 

  6. H. S. Chang, "Revitalizing Ways of Korean Traditional Markets through A Overseas Case Study: A New Approach to Revitalize Korean Traditional Markets", Korean Business Education Review, Vol.33, No.3, pp.153-173, 2018. 

  7. Y. M. Lee, T. H. Kim, "An Analysis of the Market Operational and Locational Characteristics for the Economic Vitaliz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s in Seoul: Focusing on the Per Store Sales and Vacancy Rates", The Seoul Institute, Vol.19, No.2, pp.105-118, 2016. 

  8. D. H. Lee, Y. S. Lee, J. J. Park,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modernization projects of traditional retail & periodic market on the vitalization markets - focused on traditional retail & periodic market in DaeJeon and Chung Nam", Korea Academy of Traditional Retail & Periodic Market, Vol.4, pp.11-32, 2016. 

  9. B. H. Yun, J. Nam, "The analysis on socio-economic ripple effect of project for urban regeneration : Focusing on the Changsin-Sungin priority area for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Vol.50, No.8, pp.19-38, 2015. DOI: https://doi.org/10.17208/jkpa.2015.12.50.8.19 

  10. R. H. Kim, J. K. Lee, S. S. Lee, "A Study on the Monitoring and Evaluation of Priority Projects for Urban Regeneration",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6, No.1, pp.1-9, 2015. DOI: https://doi.org/10.5804/lhij.2015.6.1.001 

  11. E. S. Park, "The study on developments and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and cultural policy", The Journal of Cultural Policy, Vol.17, pp.11-37, 2005. 

  12. Seo, K. B, Urban regeneration methods through activation of traditional market, Master's Thesis, Semyung University of Korea, 2017. 

  13. S. H. Hong, W. J. Shin, "A Study on the Commercial Scope of Traditional Market in Local Large Cities", Proceedings in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pp.331-341, 2016. 

  14. J. H. Woo,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traditional market through culture, Seoul: Korea Culture Tourism Institute, 2008. 

  15. J. A. Yang,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traditional market through creation of creative culture environment,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of Korea, 2010. 

  16. J. Jacobs, The death and life of great American cities, New York: Vintage, 1961. 

  17. J. E. Lim, J. M. Lee, "A study on the visual merchandising of traditional markets in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Distribution Science, Vol.12, pp.55-63, 2014. DOI: https://doi.org/10.15722/jds.12.12.201412.55 

  18. T. C. Ryu, Y. Kim, "A study on the regional economic of cultural tourism market development for urban regeneration",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Vol.12, No.1, pp.53-65, 2014. 

  19. C. H. Park, H. S. Jang, J. H. Koo, "Analyzing the Recognition Effect of Revitalization Through the Classification Between the Physical and Non-Physical Improvement on the Traditional Market - Focused on Motgol Traditional Market From a Consumers Point of View in Su-W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29, No.5, pp.131-140, 2016. 

  20. J. H. Lee, S. Y. Jin, "A study on factors to measure vitalization of urban park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34, No.2. pp.263-264, 2014. 

  21. S. H. Kwon, A Study on Success Factors of Activation of Traditional Market Places from a Perspective of Urban Regeneration : Focused on Mire-Art Market in Wonju, Master's Thesis, Sangmyung University of Korea, 2014. 

  22. E. Y. Jung, Vitalization factors and design guidelines for commercial streets: By the application of vitalization factors of existing commercial streets to the design guidelines of new commercial area,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of Korea, 2002. 

  23. H. S. Kim, "A study on revitalization factors of Garosu-gil and Samcheongdong-gil, Seoul",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Vol.26, No.5, pp.325-334, 2010. 

  24. I.. Ajzen, M. Fishbein, Understanding attitudes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1980. 

  25. I. Ajze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50, No.2, pp.179-211, 1991. DOI: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26. J. Y. Choi, K. J. Kim, "A test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 study of consumer e-shopping adoption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Studies, Vol.14, No.4, pp.89-103, 2003. 

  27. K. Y. Kim, J. H. Kang, "Study on cafe choice behavior using extended theory of reasoned action(ETRA) and heuristics theory",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30, No.1, pp.83-99, 2016. DOI: https://doi.org/10.21298/ijthr.2016.01.30.1.83 

  28. D. E. Montano, D. Kasprzyk, "Theory of reasoned action,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integrated behavioral model", Health behavior: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95-124, 2015. 

  29. X. Fu, Z.. Juan, "Understanding public transit use behavior: integration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customer satisfaction theory", Transportation, Vol.44, No.5, pp.1021-1042, 2017. DOI: https://doi.org/10.1007/s11116-016-9692-8 

  30. A. Parasuraman, A. Valarie, Zeithaml, L. Berry. Leonard,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Vol.64, No.1, pp.12-40, 1988. 

  31. D. S. Jung, A study on the effect of culture and sightseeng festival on the local development,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Korea, 2007. 

  32. S. H.. Kwon,. The influence of the support element of the government's cultural tourism festival on the expectancy of local development and the degree of local citizen contentment,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of Korea, 2014 

  33. J. Y. Lee, S. H. Kim, "A study on marine leisure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Public Affairs, Vol.48, No.4. pp.409-428, 2010. 

  34. J. H. Kim, "The influence of store environment on quality percep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Vol.7, No.2, pp.59-85, 2002. 

  35. R. M. Baron,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9, 1986.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