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한 유아놀이 관련 연구동향 탐색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s Play Using the Semantic Network Analysi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2, 2020년, pp.296 - 303  

김종훈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박선미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누리과정 개정으로 인해 유아놀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연구의 양적 증대와 더불어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 교육학 및 유아교육학을 포함한 사회과학, 생활과학 등 다양한 연구분야에서 발행된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술지를 대상으로 언어네트워크분석을 적용하여 시기별 유아놀이 관련 연구의 핵심단어를 도출하고 핵심단어의 중심성 분석을 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로 나타난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놀이관련 연구는 1기(2009~2013년)에 비해 최근 5년 간 큰 폭의 키워드 증가를 나타내었고 주제 분야별 학술지 게재현황을 살펴본 결과 교육학, 유아교육, 생활과학, 아동보육, 사회과학 분야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키워드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1기(2009~2013년)에는 놀이성, 역할놀이, 유아, 창의성, 놀이, 또래놀이상호작용 등이 중점 키워드로 나타났으며 2기(2014~2018년)에는 놀이성, 유아, 놀이, 또래놀이행동, 또래놀이상호작용 순으로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또한 1기와는 다르게 2기에는 교사·유아 상호작용, 언어능력, 행복감, 인지능력, 유아교육 등의 키워드가 새로이 등장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관련 연구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keywords of studies related to young children's play in the selected registered and candidate academic journals and the network of the keywords by conducting a semantic network analysis. The selected journals were published over the past decade in divers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하여 2009년부터 2018년까지 한국연구재단(KCI)에 게재된 유아놀이 관련 연구들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았다. 먼저, 유아놀이 관련 학술지 논문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언어 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시기별 관련 논문의 발표 수와 키워드 수를 분석하고, 주제 분야별 유아놀이 관련 논문의 게재 현황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방식의 내용분석이 아닌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해 유아놀이 관련 연구에 대한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은 언어 텍스트에서 주요 핵심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핵심 단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한 후 그 결과를 네트워크로 구성하고 특성을 분석하는 내용분석 방법이다[10].
  • 이에 본 연구는 이전 연구들[5-7]의 분석방법이 지닌 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하고 선행연구[19]의 분석대상 및 시기와 관련한 문제를 보완 하여 유아놀이연구의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최근 10년간 중심적인 위치를 점한 키워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시기별로 유아놀이 연구의 핵심단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통합적인 시각에서 향후 유아놀이 관련 연구의 발전방향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이전 연구들[5-7]의 분석방법이 지닌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하고 선행연구[19]의 분석대상 및 시기와 관련한 문제를 보완하여 유아놀이연구의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최근 10년간 중심적인 위치를 점한 키워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시기별로 유아놀이 연구의 핵심단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통합적인 시각에서 향후 유아놀이 관련 연구의 발전방향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이전 연구들[5-7]의 분석방법이 지닌 계점을 보완하기 위해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하고 선행연구[19]의 분석대상 및 시기와 관련한 문제를 보완 하여 유아놀이연구의 전반적인 흐름 속에서 최근 10년간 중심적인 위치를 점한 키워드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시기별로 유아놀이 연구의 핵심단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통합적인 시각에서 향후 유아놀이 관련 연구의 발전방향에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언어네트워크분석방법의 특징은?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은 언어 텍스트에서 주요 핵심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핵심 단어들간의 관계를 파악한 후 그 결과를 네트워크로 구성하고특성을 분석하는 내용분석 방법이다[10]. 언어네트워크분석방법은 커뮤니케이션의 내용 중 단어가 동시에 발생하는 빈도를 측정함으로써 단어 상호간의 상징적 연결구조와 의미론적 해석이 가능하다[11]. 또한 주제별 범주화를 여러 단계로 거친 후 이를 국제적 분류표준이나 기존연구들의 분류표준과 비교하는 전통적인 분석방법에 비해 분석항목 선정의 선정 등에 있어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할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언어네트워크방법을 활용한 동향분석이 여러 학문분야에서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12].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 방식의 내용분석이 아닌 언어네트워크분석을 통해 유아놀이 관련 연구에 대한 동향을살펴보고자 하였다.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은 언어 텍스트에서 주요 핵심 단어를 추출하고 추출된 핵심 단어들간의 관계를 파악한 후 그 결과를 네트워크로 구성하고특성을 분석하는 내용분석 방법이다[10]. 언어네트워크분석방법은 커뮤니케이션의 내용 중 단어가 동시에 발생하는 빈도를 측정함으로써 단어 상호간의 상징적 연결구조와 의미론적 해석이 가능하다[11].
언어네트워크분석방법을 활용한 동향분석이 유용한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주제별 범주화를 여러 단계로 거친 후 이를 국제적 분류표준이나 기존연구들의 분류표준과 비교하는 전통적인 분석방법에 비해 분석항목 선정의 선정 등에 있어 연구자의 주관이 개입할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최근에는 언어네트워크방법을 활용한 동향분석이 여러 학문분야에서활발하게 시도되고 있다[12]. 즉 이와 같은 분석방법을통해 게재된 각 논문들이 제시한 핵심단어들 간의 관계성을 파악하고, 네트워크 개념들을 도출함으로써 기존의연구방법에서는 살펴보지 못했던 특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단어들 간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연구의 거시적 동향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유용하다. 이와 더불어 특정 분야와 현상에 대한 지식과 이해를 증진시킬 수 있는핵심적인 연계 개념들을 도출한다는 점에서 연구동향 분석에 매우 적합한 방법이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J. L. Frost, S. C. Wortham, & R. S. Reifel, Play and child development. P.492, Merrill, Prentice Hall, pp.23-50, 2001. 

  2. E. Dau, & E. Jones, Child's Play: Revisiting Play in Early Childhood Settings. p.213, Maple Press Distribution Center, pp.13-69, 1999. 

  3. S. Lim, & H. Park, "Exploring the meaning structure of 'play' based on language network analysis: Focusing on journal article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9, No.2, pp.385-407, 2019. DOI: http://dx.doi.org/10.18023/kjece.2019.39.2.016 

  4. Y. H. Lee, The Recogni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Play and Education by Preschool Teachers and the Difficulty of the Link. Master's thesis, Ewha University of Education, Seoul, Korea, 2008. 

  5. S. Kwak, S. Lee, & H. Kim. "Study of Recent Research Trends of Children's Play through Analysis of Academic Journal Paper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Vol.20, No.3, pp.349-374, 2016. 

  6. G. H. Kim, & S. O. Hong, "Research Trends Concerning Infants play", Korean Journal of Children's Media, Vol.12, No.3, pp.135-156, 2013. 

  7. S. J. Jung, & S. J. Lee,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young children's play in nature",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Vol.15, No.2, pp.151-178, 2016. 

  8. Y. J. Son, & B. Y. Lim, "Beyond the dismantling of the play image revealed in the Nuri Curriculum: Moving towards differentiation in play",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Vol.14, No.3, pp.109-140, 2019. DOI: http://dx.doi.org/10.16978/ecec.2019.14.3.005 

  9. Ministry of Education. Announcement of 'Infant Education Innovation Plan' to realize starting line equality.[cited 2017 December 27], Available From: https://moe.go.kr/boardCnts/view.do?boardID294&boardSeq72951&lev0&searchTypenull&statusYNW&page1&smoe&m0503&opTypeN(accessed October. 4, 2019) 

  10. S. S. Lee, "A Content Analysis of Journal Articles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ol.3, No.4, pp.49-68, 2014. DOI: http://dx.doi.org/10.3743/KOSIM.2014.31.4.049 

  11. H. W. Park, & L. Leydesdorff. "Understanding the KrKwic: A computer program for the analysis of Korean tex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6, No.5, pp.1377-1387, 2004. 

  12. B. Jung, & E. Kim. Analysis of Research Trend and Tasks of "Correction Review: Focusing on Comparing Period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ology", Corrections Review, Vol.28, No.3, pp.85-107, 2018. DOI: https://doi.org/10.14819/krscs.2018.28.3.4.85 

  13. Y. Choi, & S. Park. "Analyzing Trends in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on: Application of the Network Text Analysis Method",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Vol.45, No.1, pp.123-139, 2011. 

  14. J. Kim, W. Choi, & M. Chung. "Research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 of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rough an analysis of keyword network",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83, No.3, pp.269-288, 2017. DOI: http://dx.doi.org/10.18023/kjece.2017.37.3.013 

  15. J. Yang.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using the Language Network analysis methods", The Journal of Korea Open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4, No.1, pp.221-246, 2019. DOI: http://dx.doi.org/10.20437/KOAECE24-1-09 

  16. C. Chung, & H. Lee, "Trends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through journal article big data analysi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37, No.5, pp.289-316, 2017. DOI: http://dx.doi.org/10.18023/kjece.2017.37.5.01 

  17. K. Lee, & H. Je, "A Keyword Network Analysis of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based on Big Data",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Vol.25, No.4, pp.121-144, 2018. DOI: http://dx.doi.org/10.22155/JFECE.25.4.121.144 

  18. H. Y. Jung, & H. Y. Jung, Y. J. Son, "Trends relating to early childhood teacher research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The Journal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 Care, Vol.14, No.2, pp.283-308, 2015. 

  19. J. Choi, "Keyword Network Analysis of Trends in Research on Young Children's Pla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9, No.14, pp.605-626, 2019. DOI: http://dx.doi.org/10.22251/jlcci.2019.19.14.605 

  20. Fruchterman, T. M. & Reingold, E. M. "Graph drawing by force-directed placement", Software: Practice and experience, Vol.21, No.1, pp.129-164, 199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