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일부 청년기 성인의 정신건강과 구강습관이 턱관절 증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ental Health Levels and Oral habits on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 in Some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2, 2020년, pp.381 - 387  

홍민희 (백석대학교 보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부 성인의 정신건강 수준, 평소 구강 습관이 턱관절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시행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9년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청년기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총 40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불안, 우울, 사회적 부적응 영역의 정신건강 수준은 삶의 만족도(p<0.001)와 주관적 건강 상태(p<0.001), 외상 경험(p<0.01)과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턱관절 치료 경험자는 사회적 부적응 영역(p<0.05)의 정신건강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턱관절 증상은 여성(p<0.05), 음주자(p<0.01), 외상(p<0.01)과 턱관절 치료 경험자(p<0.001)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정신건강 수준(p<0.001), 구강 습관(p<0.001)과 턱관절 증상(p<0.001)은 모두 양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구강 습관(p<0.001)이 턱관절 증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외상(p<0.05)과 턱관절 치료 경험(p<0.001)도 턱관절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턱관절 증상을 치료 시 구강 습관을 개선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정신건강 상담치료와 평소 생활습관의 개선 노력을 병행하여 턱관절 건강을 효과적으로 개선하고 적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mental health and daily oral habits on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30, 2019, enrolling a total of 402 young adults. We determined that mental health levels of anxiety, depression, and social maladjustment are si...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하지만 심리적 요인의 정신적 스트레스가 있다고 하여 턱관절 장애를 일으키는지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청년기 성인의 구강 습관에 대한 설문 및 정신적 심리상태에 대한 조사를 통하여 턱관절 장애의 발병 기여 요인을 심리적 측면에서 밝힘으로써 턱관절 장애의 발병 기여 인자에 대한 자료를 제공[2]하고 나아가 턱관절 장애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턱관절 장애의 원인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턱관절 장애의 원인은 외상이나 해부학적 요인, 병태 생리학적 요인, 사회·정신적 요인 등으로 대별할 수 있으며 외상의 경우 교통사고 등 외부적 충격 외에도 Head-forward posture와 같은 나쁜 자세나 이 갈기 등의 습관으로 인해 턱관절에 가해진 장기간의 스트레스도 포함한다[14]. 또한 생물 행동학적 연구에서는 만성 TMD와 정신 병리(불안과 우울증,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 유아기의 신체적, 성적, 심리적 학대)와의 연관성에 관한 보고가 되고 있다[15].
턱관절 장애는 무엇인가? 턱관절 장애는 측두하악 관절부를 포함하여 얼굴 부위, 머리, 저작근, 목의 통증 및 기능 제한을 주 증상으로 하는 장애이다.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턱관절 및 해당 근육의 촉진 시 통증, 저작 또는 개구 시 통증, 개구 제한, 개구 시 턱관절에서 소리가 나거나, 안면 비대칭, 두통, 이통, 치통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1].
턱관절 장애는 어떤 증상들이 있는가? 턱관절 장애는 측두하악 관절부를 포함하여 얼굴 부위, 머리, 저작근, 목의 통증 및 기능 제한을 주 증상으로 하는 장애이다. 일반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턱관절 및 해당 근육의 촉진 시 통증, 저작 또는 개구 시 통증, 개구 제한, 개구 시 턱관절에서 소리가 나거나, 안면 비대칭, 두통, 이통, 치통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1]. 턱관절 장애가 발생하는 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 M. Hong, S. H. Jung. Oral medicine for the dental hygienist. Seoul: DaehanNarae; Publishing. 2014, pp.153;161. 

  2. I. A. Kim, A Study on the Effects of Psychosocial stress 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master'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pp.1-86, 2012. 

  3. J. T. Oh, O. Kim, S. C. Jeong, "Orofacial pain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TMD Using RDC/TMD, "Korean Academy of Orofacial Pain and Oral Med, Vol.29, No.2, pp.177-85, 2004. 

  4. R. E. Moulton, "Psychiatric considerations in maxillofacial pain", J Am Dent Assoc, Vol.51, No.4, pp.408-14, 1995. DOI: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1955.0208 

  5. A. P. S. Manfredi, P. P. B. Bortolleto, A. A. Silva. I. E. M. Araujo, S. Araujo, L. L. Vendite, "Environmental stress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TMD) among members of a public university in Brazil", Brazilian Journal of Oral Sciences, Vol.5, No.18. pp.1074-8, 2006. DOI: https://doi.org/10.20396/bjos.v5i18.8641905 

  6. J. H. Lee, J. M. Choi, E. J. Park, "Research on Occupational Stress of the Some Local Worker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J Dent Hyg Sci, Vol.9, No.1, pp.9-15, 2009. 

  7. D. Goldberg, P. Williams, A User's Guide to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Windsor, England: NFER-Nelson, 1991. 

  8. S. I. Shin,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eneral Health Questionnaire I", Korean J Social Welfare, Vol.46, No.9, pp.210-35, 2001. 

  9. G. A. Zarb, G. E. Carlsson, Temporomandibular disorders : osteoarthritis, J Orofac Pain, Vol.13, No.4, pp.295-306, 1999. 

  10. M. W. Kim, M. J. Kim, J. S. Kim, L. J. Nam, J. O. park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stomatognathic habit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 J.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ist, Vol.7, No.1, pp.295-310, 2000. 

  11. K. H. Jeong, H. G. kwon, J. B. Kim, C. H. Choe, "Prevalence of tempromandibular disorders and its relation with maxillofacial trauma in 6-14 and 16 years old Korean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al Health, Vol.27, No.2, pp.249-63, 2003. 

  12. M. H. Hong, "The Influence of occupational stress on dry mouth, temporomandibular disorder and oral symptoms on work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Vol.13, No.1, pp.136-45, 2013. DOI: https://doi.org/10.13065/jksdh.2013.13.1.136 

  13. J. U. Kim, M. H. Hong, Y. S. Kim, "Impact of stress on physical and temporomandibular joint symptoms in health-related majoring students", J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4, No.10, pp.4919-26, 2013.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3.14.10.4919 

  14. M. H. Choi, H. W. Oh, H. S. Lee, "A comparative study on the oral health behaviors between medical and non-medical workers", J Korean Acad Dental Health, Vol.33, No.4, pp.552-63, 2009. 

  15. Y. C. Choi, S. T. Kim, "Diagnosis and treatment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J Dent Rehabil Appl Sci, Vol.25, No.4, pp.319-28, 2009. 

  16. H. F. Wang, M. C. Yeh, "Stress, Coping, and Psychological Health of Vocational High School Nursing Students Associated With a Competitive Entrance Exam", J Nur Res, Vol.13, No.2, pp.106-16, 2005. 

  17. D. W. Hahn, J. H. Park, K. H. Kim, "Effects of self-disclosure and rumination about stressful life event and emotional experiences on physical health", Korean J Health Psycho, Vol.9, No.1, pp.99-130, 2003. 

  18. W. K. Soberg, R. T. Flint, J. P. Brantner, "Temporomandibular joint pain and dysfunction: A clinical study of emotional and occlusal components", J Prosth Dent, Vol.28, No.4, pp.412-22, 1972. DOI: https://doi.org/10.1016/0022-3913(72)90243-0 

  19. N. Mobilio, I. Casetta, E. Cesnik, S. Catapano, "Prevalence of self-reported symptoms related to temporomandibular disorders in an Italian population", J Oral Rehabil, Vol.38, No.12, pp.884-90, 2011. DOI: https://doi.org/10.1111/j.1365-2842.2011.02228.x 

  20. D. M..Laskin, "Etiology ofthepain dysfunction syndrome",.J Am Dent Assoc, Vol.79, No.1, pp.147-53, 1969. DOI: https://doi.org/10.14219/jada.archive.1969.0234 

  21. C. McNeill, Temporomandibular disorders guideline for evaluation, diagnosis and management. Chicago Quintessene Publishing Co, The American Academy of Orofacial Pain edited, 1993, pp.19-21. 

  22. M. H. Hong, "Relationship of stress, oral habits and TMJ symptoms in 20-30 ages Adults", J Korean Soc Dent Hyg, Vol.14, No.5, pp.739-46, 2014. DOI: https://doi.org/10.13065/jksdh.2014.14.05.739 

  23. M. S. Cho, C. S. Kim, S. H. Cheon, "Association between self-esteem and temporomandibular disorder in the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Soc Dent Hyg, Vol.16, No.1, pp.111-20, 2016. DOI: https://doi.org/10.13065/jksdh.2016.16.01.111 

  24. S. K. Kim, S. R. Kim, H. K. Kim, J. S. Park, Y. J. Lee, M. S. Cho et al,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s in adults", J Korean Soc Dent Hyg, Vol.17, No.4, pp.601-11, 2017. DOI: https://doi.org/10.13065/jksdh.2017.17.04.601 

  25. H. J. Choi, K. H. Park, "Correlation between mental health level, usual lifestyle and self-report symptoms of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J Korean Soc Dent Hyg, Vol.18, No.5, pp.763-70, 2018. DOI: https://doi.org/10.13065/jksdh.20180065 

  26. H. A. Yoo, S. H. Kang, S. H. Baek, T. M. You, J. B. Kim, "Effect on explantion of pathogenesis and stress management as primary care of TMJ disorder", J Korean Acad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 Vol.28, No.5, pp.358-63, 2002. 

  27. P. Jeffrey P, D. M. D. Okeson, L. Renyde, "Differential diagnosis of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nd other orofacial pain disorders", Dent Clin N am, Vol.55, No.1. pp.105-20, 2011. DOI: https://doi.org/10.1016/j.cden.2010.08.0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