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긍정적 사고와 대처유연성 및 소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thletes' Positive Thinking, Coping Flexibility, and Burnou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2, 2020년, pp.281 - 288  

송기현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  김승용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선수들의 긍정적 사고와 대처유연성 및 소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청소년 선수 333명이었다. 자료처리는 SPSS 20.0과 AMOS 20.0을 이용하여 전체연구 단위의 적합도 검증을 확인한 후 가설검정을 실시하였으며, 그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청소년 선수들의 긍정적 사고는 대처유연성의 하위요인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처유연성의 지각된 대처자원과 대처행동 유연성은 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긍정적 사고는 소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긍정적 사고가 개인 내면의 정보에 토대하는 변인임에도 불구하고 긍정적 사고가 심리적 소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지만 대처유연성을 통해 소진이 예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 athletes'positive thinking and coping flexibility, burnout. In order to achieve such research goal, male and female athletes'from physical education middle and high schools across the nation were recruited; usi...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긍정적 사고와 대처유연성, 소진의 관계 검증을 통해 운동수행의 심리 과정을 이해하는데 목적을 두고, 훈련향상과 경기력에 직결될 수 있는 소진의 과정을 통해 수행향상과 수행능력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인지적 변인의 긍정적 사고와 대처유연성 및 소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토대하여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이 연구를 통해 운동선수들의 긍정적 사고와 대처유연성 및 소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인지적 조절 과정에 따른 소진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로 첫째, 긍정적 사고는 대처유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진이 개념은 무엇이라 정의되는가? 이러한 개인 및 환경의 요구는 균형과 목표 실현 가능성의 고려에서 적응과 관련되는 갈등으로부터 심리적 자원의 고갈 및 좌절,무력감 등은 소진을 경험하게 한다[2]. 소진이 개념은 훈련을 정상적으로 소화하기 어렵거나 경기력 도달이 이전의 상태로 발휘되기 않는[3] 생리적 반응과 감정이 함께 수반되는 정적인 이상 상태로 정의된다. 그러나 스포츠심리학분야에서는 소진은 생리적 반응으로서의 증상보다는 생리적 요인들을 포함하는 심리학적 증상으로 개념화하고 있다[4].
선수에게 긍정적인 사고 확립이란 어떤 요인인가? 한편, 긍정적 사고와 심리적 소진 간에서 개인 내외적 갈등의 요구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행동적 노력이 투입되는 대처행위가 필요하다[36]. 선수들에게 있어서 긍정적인 사고 확립은 개인의 성장을 촉진하는데 필요한 방향과 의미를 부여함으로서 활동조건에 조화로운 참여와 열정적인 스포츠 활동을 독려하는 동기적인 요인이다[37].
운동선수들의 긍정적 사고와 대처유연성 및 소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해서 나타난 결과는 어떻게 요약되는가? 이 연구를 통해 운동선수들의 긍정적 사고와 대처유연성 및 소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여 인지적 조절 과정에 따른 소진 과정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로 첫째, 긍정적 사고는 대처유연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처유연성은 지각된 대처자원과 대처행동 유연성 요인이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긍정적 사고는 심리적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J. S. Ha & D. S. Chang. (2017). Effects of REBT program application for the changes in maladaptive thoughts among female junior tennis play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2), 591-604. DOI : 10.14400/JDC.2017.15.12.591 

  2. O. Choi & W. S. Lee. (2014). Mediating effects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adjustment o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9), 455-463. DOI : 10.14400/JDC.2014.12.9.455 

  3. R. S. Weinberg & D. Gould. (1995). Foundations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IL: Human Kinetics. 

  4.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2005). Handbook of sport psychology. Seoul: Rainbowbook. 

  5. S. Isoard-Gautheur, E. Guillet-Descas & P. N. Lemyre. (2012). A prospective study of the influence of perceived coaching style on burnout propensity in elite adolescent athletes: Using a self-determination theory perspective. The Sport Psychologist, 26, 282-298. 

  6. H. Gustafsson, J. D. DeFreese & D. J. Madigan. (2017). Athlete burnout: Review and recommendations. Current Opinion in Psychology, 16, 109-113. 

  7. B. C. Chung. (2019). Relationship among Social Support, Exercise Burnout and Drop-Out Inten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75, 213-224. 

  8. T. D. Raedeke. (1997). Is athlete burnout more than stress? A commitment perspective.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19, 396-417. DOI : 10.1123/jsep.19.4.396 

  9. H. J. Moon. (2017). The Relationship of Self-Control and Academic Burnout of Adolescents: with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al Conditioning Regard and Psychological Control.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7(12), 139-161. 

  10. V. D. Seefeldt & M. E. Ewing. (2000). Youth sports in America: An overview. President' Council on Physical and Sports Research Digest, 2, 1-10. 

  11. C. Maslach & S. E. Jackson. (1981). The measurement of experienced burnout. Journal of Occupational Behavior, 2, 99-113. 

  12. T. W. Rowland. (1986). Exercise fatigue in adolescent: Diagnosis of athlete burnout. The Physical and Sports medicine, 14, 69-77. 

  13. K. P. Henachen. (1990). Prevention and treatment of athletic atlantes and burnout. Science Periodical on Research and Technology in Sport, 10, 1-8. 

  14. M. R. Cho, S. H. Park & C. H. Seong. (2012).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ach-Athlete Fit,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Athletic Burnout.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1(2), 203-213 

  15. Y. H. So. (2016). Relationship among Controlling Coach Behaviors, Burnout and Perceived Performance of High School Athletes.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6(2), 167-179. 

  16. J. Y. Kim & J. T. Lee. (2017). Mediation Effects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oach-Athletes Behavior Fit and Exercise Burnout in Middle and High School Wrestling Athlete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6(1), 361-371. 

  17. K. I. Jung, D. G. Lim & H. H. Choi. (2019).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Behavior, Coach-Athlete interaction, Team Atmosphere, and Athlete Burnout through Path Analysis. Korean Association for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9(20), 1081-1101. 

  18. Y. H. So. (2012). The Influences of Exercise Stress and Self-management on Burnout of High School Athlete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49(1), 545-558. 

  19. J. K. Choi & H. S. Ryu. (2012). Relationship of Exercise Stress to Athletic Burnout among High School Athletes.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14(4), 47-55. 

  20. H. I. Cho, J. T. Kim & M. H. Hong. (2017). The Influence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on Coping and Sport Confidence of University Athlete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69, 195-206. 

  21. Y. J. Lee, Y. J. Han & M. K. Ji. (2018). The Relationship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elf Management and Burnout of College Athletes. Korean Journal of Sports Science, 27(2), 189-202. 

  22. P. D. Turman. (2003). Coaches and cohesion: The impact of coaching techniques on team cohesion in the small group sport setting. Journal of Sport Behavior, 26, 86-104. 

  23. K. H. Song & S. Y. Kim. (2018). Psychological process of athletic burnout experienced by adolescent play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12), 603-610. DOI : 10.14400/JDC.2018.16.12.603 

  24. T. H. Lim, J. H. Oh & Jung, K. I. (2019). Effect of PST Using Positive Psychological Techniques on the Psychological Variables and Performance of a Rifle Shooter.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30(3), 19-30 

  25. M. C. Wittrock. (1992). An empowering conception of educational psychology. Educational Psychologist, 27, 129-142. 

  26. C. A. Ames & J. Archer. (1988).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260-267. 

  27. O. J. Kim, H. S. Min & J. Y. Shim. (2010).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human motivation. Seoul: Shinjeong. 

  28. E. L. Daleiden & M. W. Vasey. (1997) An information-processing perspective on childhood anxiety. Clin Psychology Review, 17, 407-429. 

  29. C. A. Alfano & D. C. Beidel. (2002). Turner SM. Cognition in childhood anxiety: conceptual, methodological, and developmental issues. Clin Psychology Review, 22, 1209-1238. 

  30. P. C. Kendall & K. R. Treadwell. (2007). The role of self-statements as a mediator in treatment for youth with anxiety disorders. Consult Clin Psychology 75, 380-389. 

  31. J. I. Yoo, M. S. Choi & Y. T. Rhim. (2012). Effects of psychological needs and exercise behavior on coach-athlete relationships of adolescent athlet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7(2). 79-93, 

  32. H. T. Kim et al. (2007). Modern psychology. Seoul: Hakjisa. 

  33. M. Gerber, A. K. Feldmeth, C. Lang, S. Brand, C. Elliot, E. Holsboer-Trachsler & U. Puhse. (2015).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toughness, stress, and burnout among adolescents. Psychological Reports: Employment Psychology & Marketing, 117, 703-723. 

  34. Y. G. Song, S. H. Cheon, Y. G. Chang & B. R. Kim. (2017). The effects of controlling coaching behavior on athletes'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moral decision-making and burnout in sport context.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1(1), 69-88. DOI : 10.15831/JKSSPE.2016.21.1.69 

  35. Y. G. Song, S. H. Cheon & S. H. Hwang. (2017). Influence of coaching style on athletes'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mental toughness, and burnout in sport context.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6(1), 247-261. 

  36. R. S. Lazarus & S. Folkman.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Springer. 

  37. K. I. Jung & K. H. Song. (2017). The mediation of adolescent athletes' passion and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thinking and sports happiness perception.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6(1), 181-195. 

  38. D. H. Han, K. H. Cho, K. J. Min & C. Na. (2007). The effect of positive feedback and reinforcement on the enhancement of performance and the regulation of anxiety. Korean Psychosomatic Medicine 15(2), 107-112. 

  39. G. A. Dori. (2002). Predicting emotional distress from self-control ego-resiliency, and self-concept clarity in conjunction with life event. Doctoral dissertation,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 Cleveland. 

  40. S. J. Lim & B. K. Chun. (2009). The Overcome Strategy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Inhibitors for Female Professional Bowlers. Korean Journal of Sport Psychology, 20(4), 193-204. 

  41. M. E. Seligman. (2006). Learned optimism: How to change your mind and your life. Vintage. 

  42. J. E. Song & S. E. You. (2018).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ping flexibility questionnaire. Cognitive Behavior Therapy in Korea, 18(1), 1-21 

  43. C. Cheng. (2001). Assessing coping flexibility in real-life and laboratory settings: a multi metho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 814-833. 

  44. C. Cheng, H. P. B. Lau & M. P. S. Chan. (2014). Coping flexibility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to stressful life changes: A meta-analytic review. Psychological Bulletin, 140, 1582-1607. 

  45. A. G. Billings & R. H. Moos. (1981). The role of coping response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life ev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 139-157. 

  46. H. J. Kim, Y. H. Oh, G. S. Oh, D. W. Suh, Y. C. Shin & J. Y. Jung. (2006). Development and validation study of the positive thinking scal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1(4), 767-784. 

  47. T. D. Raedeke & A. L. Smith. (2001). Development and preliminary validation of an athlete burnout measure.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23(4), 281-306. 

  48. J. G. Park & K. I. Jung. (2012). Investigating the factorial invariance and latent means of athlete burnout questionnaire(ABQ) for the use of adolescent student-athletes. The Korea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2(1), 149-162. 

  49. J. F. Hair, B. Black, B. Babin, R. E. Anderson & R. L. Tatham. (2006). Multivariate date analysis, 6th ed., London: Prentice-Hall. 

  50. S. H. Hong.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51. M. J. Lee & J. A. Choi. (2013). The effect of optimism on psychological well-being: Stress coping strategies as a mediating variabl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4(6), 3739-3751. DOI : 10.15703/kjc.14.6.201312.3739 

  52. J. E. Vriezekolk, W. G. van Lankveld, A. M. Eijsbouts, T. van Helmond, R. Geenen & C. H. van den Ende. (2012). The coping flexibility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rheumatic diseases. Rheumatology International, 32, 2383-2391. 

  53. C. Maslach, W. B. Schaufeli & M. P. Leiter. (2001).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2, 397-422. 

  54. Y. J. Lee. (2018). The relationship among resilience, stress coping style and burnout of high school boxer. The Korea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57(5), 159-172. 

  55. M. S. Price & M. R. Weiss. (2000). Relationship among coach burnout, coach behaviors and athletes psychological responses. Sport Psychologist, 14, 391-4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