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침수 홍수사상의 강우자료를 활용한 설계강우 요소의 적정성 분석
Appropriateness analysis of design rainfall factors using the rainfall data of an inundated flood event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4, 2020년, pp.237 - 247  

유병욱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김선호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  배덕효 (세종대학교 건설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침수 강우자료를 활용하여 설계강우 주요 요소인 강우량 및 우량주상도가 실측 침수사상을 적절히 반영하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대상지역은 홍수발생 시 피해액이 높은 대도시 7곳을 선정하였다. 확률 강우량과 실측 강우량 비교분석 결과 IDF 곡선을 통한 강우량은 실측 강우사상의 총 강우량보다 낮게 산정되는 경우가 57%로 실측 강우의 강우량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지 못한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경향은 재현빈도가 저 빈도이며 호우 유형이 태풍 또는 전선성 호우일 경우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강도 식별 강우량 비교결과 단기간에서는 Talbot 식, 장기간에는 Japanese 식이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량주상도 비교 결과 최대강우강도는 Mononobe 방법이 형태는 Huff 방법이 가장 적절히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design rainfall and hyetograph, which are the main elements of design rainfall, can properly reflect the those of observed rainfalls through inundated rainfall events. The target areas were selected at seven large cities with high damages regarding to ...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수공구조물 설계 시 강우강도식 결정은 식 기반의 확률 강우량을 확률 강우량과 비교하여 편차가 가장 적은 식으로 결정하고 있다. 그러나 앞선 실측 강우량과 확률 강우량 비교결과 실측 강우량이 확률 강우량보다 높은 사상들의 총 강우량 차이정도는 크게 나타났고 강우강도식을 유도하면서 오차도 존재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나타내는 식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 선행 연구는 실측 강우를 활용하여 실제강우 요소에 대해 적정성 분석 및 산정방법 개선 연구를 수행하였으나 아직까지 국내에서 실제 침수사상을 활용하여 설계강우의 한계점을 평가한 사례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과거 침수가 발생한 강우자료를 수집하여 설계강우의 요소들이 실측 침수사상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하고, 각 요소 산정 시 사용하는 여러 가지 산정방법을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시간분포 방법별 우량주상도와 실측 우량주상도를 비교분석하여 실측 우량주상도의 최대강우강도와 형태를 적절하게 반영하는 시간분포 방법을 선정하고자 하였다. Huff 방법과 Mononobe 방법 적용 시 무차원 시간분포곡선과 지점별 n값은 국토교통부 보고서를 활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실제 침수를 유발한 강우사례를 활용하여 설계강우 요소들의 적정성 분석 및 산정방법의 한계점을 제시하여 향후 국내 설계기준 보완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추후의 연구에서는 도시별 설계기준 수립 시 호우 유형에 따른 영향을 반영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며, 도시지역 이외에도 유역을 대상 지역으로 세분화하고 해당 유역의 수공구조물 설계강우 산정 기준을 반영하여 설계강우 요소의 적정성을 분석해 볼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가설 설정

  • 2와 같다. 강우량의 재현빈도와 강우량은 선형적으로 비례한다고 가정하고 앞서 구한 재현빈도 구간의 실측 강우 지속기간을 갖는 확률강우강도를 IDF 곡선과 강우강도 식을 통해 산정하였다. 또한 이에 실측 강우지속기간을 곱하여 Eqs.
  • 는 첫 번째와 두 번째 재현빈도의 1시간 확률강우강도, Z는 실측 강우의 최대강우강도를 뜻한다. 단 재현빈도 구간을 확인할 때 실측 강우의 최대강우강도가 2년 빈도 이하로 확인되면 재현빈도는 2년 빈도로 가정하였다.
  • 다만 시설물의 유지관리에 대한 자료는 체계적으로 구축된 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수침수가 시설물의 설계 문제로 인해 발생한다고 가정하고 연구방법론을 구성하였다. 설계강우의 적정성 분석을 위해 설계 주요 요소인 강우량과 우량주상도를 실측 강우사상과 비교하였연구에서는 설계강우 요소의 적정성 분석을 위해 실측 강우와 동일한 재현빈도, 강으며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hoi, S., Joo, K., Shin, H., and Heo, J.H. (2014). "Improvement of Huff's method considering severe rainstorm event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7, No. 11, pp. 985-996. 

  2. Hong, C.S., Wone, S.Y., Ahn, J.H., and Ahn, W.S. (2001). "Reliability analysis for the estimation of frequency-based rainfall."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 No. 3, pp. 111-122. 

  3. Jang, S.H., Yoon, J.Y., and Yoon, Y.N. (2006).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Huff's method in Korea: I. Review of applicability of Huff's method in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9, pp. 767-777. 

  4. Jo, D.J., and Jeon, B.H. (2012).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exceeding probability rainfall ev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2, No. 2, pp. 309-313. 

  5. Jung, T.H., Kim, H.B, Kim, H.S., and Heo, J.H. (2019). "Selection of climate indices for nonstationary frequency analysis and estimation of rainfall quanti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9, No. 1, pp. 165-174. 

  6. Jung, S.I., Yoo, C.S., and Yoon, Y.N. (2007). "On the stationarity of rainfall quantiles: 1. Application and evaluation of conventional methodologi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7, No. 5, pp. 79-88. 

  7. Mugita, A., Yokota, T., Matsuura, T., and Nakamura, Y. (2017). "Analysis of the design rainfall for stormwater management of sewerage." Proceeding of14th IWA/IAH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rban Drainage, Prague, Czech Republic, pp. 1963. 

  8.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MLTM) (2011). Improvement and complementary research for probable rainfall. 

  9.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MOPAS) (1998-2018). Disaster Annual Report. 

  10. Oh, T.S., Kim, E.C., Moon, Y.I., and Ahn, J.H. (2009). "Characteristics analyses of timely rainfall events above probability precipitation on each frequenc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9, No. b6, pp. 513-526. 

  11. Park, C.Y., Moon, J.Y., Cha, E.J., Yun, W.T., and Choi, Y.E. (2008). "Recent changes in summer precipitation characteristics over South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3, No. 3, pp. 324-336. 

  12. Park, J.K., Jung, W.S., and Choi, H.J. (2008). "An analysis of the Korean peninsula damages vulnerabilities for a natural disaster mitigation : Focus on public facilities damages." Journal of the Environmental Sciences, Vol. 17, No. 4, pp. 413-422. 

  13. Park, J.P., Kang, T.U., and Lee, S.H. (2019). "A temporal distribution method of probable rainfall for planning a storm sewer Network in an urban a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9, No. 1, pp. 85-94. 

  14. Sim, J.H., and Kim, Y.B. (2006). "The status and countermeasures of the national inveterate flooded district." Journal of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Vol. 8, No. 1, pp. 79-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