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댐 유역 가뭄 관리를 위한 강수량 임계수준 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termining threshold level of precipitation for drought management in the dam basi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3 no.4, 2020년, pp.293 - 301  

이경도 (주식회사 헥코리아) ,  손경환 (환경부 한강홍수통제소 수자원정보센터) ,  이병주 (주식회사 헥코리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댐 유역의 가뭄 관리를 위한 강수량의 적정 임계수준을 결정하였다. 5개 댐 유역(보령댐, 부안댐, 대청댐, 합천댐 및 용담댐)을 대상으로 일단위 저수량 및 강수량 자료를 수집하였고, 유역평균강수량을 계산하였다. 6개 누적기간(30, 60, 90, 180, 270 및 360일)의 값으로 변환하였고, 일 단위 저수량 및 누적강수량의 예년대비 백분율을 계산하였다. 강수량의 적정 누적기간 결정을 위해 상관성 및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모든 댐에서 90일 이하의 누적 강수량은 댐 홍수기를 제외하고는 상관성이 낮았고, 270일 누적 강수량의 상관성은 높았다. 누적기간 중에 댐 홍수기 강수량 값의 포함여부가 상관성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변동계수 비율은 누적기간이 짧을수록 비율이 크고 길수록 적었으며, 270일이 모든 월에서 1에 근접하였다.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이용한 ROC 분석을 통해 보령댐은 저수량이 관심단계 이하일 때 강수량의 임계수준6은 270일 누적강수량의 백분율이 90% 이하, 4개 댐은 80% 이하로 나타났다. 인위적인 댐 운영이 가뭄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강수량 백분율, 저수량 및 방류량 백분율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댐 방류량 조건은 강수량 및 저수량간의 연계분석에 불확실성을 야기하였다. 따라서 강수량을 활용한 댐 가뭄 분석을 위해서는 대상 댐유역에 대한 적정 임계수준 및 방류량 조건이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termined appropriate threshold level (cumulative period and percentage) of precipitation for drought management in dam basin. The 5 dam basins were selected, the daily dam storage level and daily precipitation data were collected. MAP (Mean Areal Precipitation was calculated by using Th...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댐 가뭄 관리를 위한 강수량의 적정 임계수준을 명확히 제시하였으며, 특히 강수량과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의 연계 분석 및 결과는 현업 활용에 큰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다만, 댐 용수공급 조정 기준은 수문기상 여건 변화 및 정책 기조에 따라 주기적으로 갱신되며, 현재의 댐 용수공급 조정 기준을 과거에 적용했을 때 실제 가뭄 상황을 명확히 대변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댐 용수공급 조정기준을 고려하여 강수량의 적정 임계수준을 결정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2장에서는 대상유역 및 자료 현황과 방법론을 설명하고, 3장에서는 강수량 활용의 적정 누적기간 및 예년대비 기준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댐 가뭄 관리를 위해 댐 상황을 고려한 강수량 부족 정보가 필요한 이유는? 강수량은 가뭄관리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며, 그동안 댐 관리 기관에서는 장기간의 강수량 부족이 댐 저수 상황에도 큰 영향을 미침에 따라 댐 가뭄 판단, 원인분석 및 사전 감지를 위해 강수량을 활용해왔다. 다만, 댐 유역및 유역외 지역에 대해서는 강수량을 구분하여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예를 들어 강수량 보다는 저수량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댐 유역의 경우 강수량 부족 시 저수량이 충분하다면 가뭄 지역으로 볼 수 없으나 자연하천 유역의 경우 약간의 강수 부족에도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댐 가뭄 관리를 위해서는 댐 상황을 고려한 강수량 부족 정보를 생산 및 활용할 수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가뭄의 정의는? 향후에도 이러한 가뭄피해가 지속될 가능성을 간과할 수 없는 상황이며, 댐 유역의 가뭄관리를 위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는 실정이다. 가뭄은 강수량 부족에 따른 물수지 불균형 현상으로 정의되며(Maliva and Missimer, 2012), 가뭄의 시작은 강수량의 부족에서부터 비롯된다. 강수량은 가뭄관리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며, 그동안 댐 관리 기관에서는 장기간의 강수량 부족이 댐 저수 상황에도 큰 영향을 미침에 따라 댐 가뭄 판단, 원인분석 및 사전 감지를 위해 강수량을 활용해왔다.
가뭄을 분석할 때 백분율 적용 시 문제점은? , 1993) 및 예년대비 백분율 값이 활용되어왔으며, 수자원 관리기관의 경우 가뭄 상황에 대한 이해 및 분석의 편의를 위해 백분율을 주로 활용해 왔다. 그러나 백분율 적용시 강수량 활용의 누적기간을 당해연도 시작부터 현재까지 또는 해당 일을 기준으로 30일 및 90일로 설정하는 등 다소 주관적이며, 가뭄 발생과 관련된 강수부족 백분율에 대한 명확한 기준 없이 활용하고 있다. 또한, 가뭄전망에서도 강수량 누적기간 결정은 전망의 정확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Son and Bae,2015), 전국을 3, 6개월 누적값으로만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록 댐 별로 수문기상 조건이 달라 분석에도 차이가 있겠으나, 가뭄 분석에 있어 대상 댐에 대한 강수량의 임계수준을 미리 설정하고 업무에 활용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Bae, D.H., Son, K.H., and Kim, H.A. (2013). "Derivation & evaluation of drought threshold level considering hydro-meteorological data on South Korea."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6, No. 3, pp. 287-299. 

  2. Huang, S., Li, P., Huang, Q., Leng, G., Hou, B., and Ma, L. (2017). "The propagation from meteorological to hydrological drought and its potential influence factors." Journal of Hydrology, Vol. 547, pp. 184-195. 

  3. K-water (2016). Improving water supply adjustment criteria against dam water shortage. K-water, pp. 116-120. 

  4. Kim, G.S., and Lee, J.W. (2011). "Evaluation of drought indices using the drought record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44, No. 8, pp. 639-652. 

  5.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2010). Research of precise long-term forecast techniques based on UM Atmospheric model.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p. 155-161. 

  6. Kown, M.S., Sung, J.H., Kim, T.W., and Ahn, J.H. (2018). "Drought assessment by bivariate frequency analysis using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and precipitation deficit: Focused on Han river basi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10, pp. 875-886. 

  7. Lee, B.R., Sung, J.H., and Chung, E.S. (2015). "Comparison of meteorological drought and hydrological drought index."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8, No. 1, pp. 69-78. 

  8. Maliva, R., and Missimer, T. (2012). Arid Lands Water Evaluation and Management. Environmental Science and Engineering, Springer-Verlag Berlin Heidelberg, pp. 21-39. 

  9. Mason, I.B. (1982). "A model for assessment of weather forecasts." Australian Meteorological Magazine, Vol. 30. pp. 291-303. 

  10. Mckee, T.B., Doesken, N.J., and Kleist, J. (1993). "The relationship of drought frequency and duration of time scales." 8th Conference on Applied Climatology, Aneheim, C.A, U.S., pp. 179-184. 

  11. So, J.M., Son, K.H., and Bae, D.H. (2014). "Estimation and assessment of bivariate joint drought index based on copula function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7, No. 2, pp. 171-182. 

  12. Son, K.H., and Bae, D.H. (2015). "Applicability assessment of hydrological drought outlook using ESP method."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8, No. 7, pp. 581-593. 

  13. Vicente-Serrano, S.M., and Lopez-Moreno, J.I. (2005). "Hydrological response to different time scales of climatological drought: An evaluation of the standardized precipitation index in a mountainous mediterranean basin." Hydrology and Earth System Sciences, Vol. 9, pp. 523-533. 

  14. Wilks, D.S. (2006). Statistical Methods in the Atmospheric Sciences. Academic Press, Cambridge, pp. 293-298. 

  15. Wu, J., Chen, X., Yao, H., Gao, H., Chen, Y., and Liu, M. (2017). "Non-linear relationship of hydrological drought responding to meteorological drought and impact of a large reservoir." Journal of Hydrology, Vol. 551, pp. 495-507. 

  16. Wu, J., Liu, Z., Yao, H., Chen, X., Chen, X., Zheng, Y., and He, Y. (2018). "Impacts of reservoir operations on multi-scale correlations between hydrological drought and meteorological drought." Journal of Hydrology, Vol. 563, pp. 726-736. 

  17. Yu, M.S., Cho, Y.H., Kim, T.W., and Chae, H.S. (2018). "Analysis of drought propagation using hydrometeorological data: From meteorological drought to agricultural drought."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51, No. 3, pp. 195-205. 

  18. Zhang, R., Chen, X., Cheng, Q., Zhang, Z., and Shi. P. (2016). "Joint probability of precipitation and reservoir storage for drought estimation in the headwater basin of the Huaihe River, China." Stochastic Environmental Research and Risk Assessment, Vol. 30, pp.1641-165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