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공원의 생태기능 향상을 위한 토양 이화학적 특성 기준에 대한 연구
Study o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Criteria for Improving Ecosystem Services in Urban Parks 원문보기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 한국환경과학회지, v.29 no.4, 2020년, pp.325 - 337  

공민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권태근 (상림원) ,  김창현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김남춘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신유경 (전북대학교 원예환경시스템학과) ,  안난희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상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손진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oil environment of urban neighborhood parks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evaluating the ecological functions of urban parks such as groundwater regeneration, flood control, microclimate regulation, adsorption and purification. The landscape design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도시공원 내 토지이용현황 분석을 통해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생태계서비스 향상을 위한 토양분석기준 개선사항을 제시하고자, 설계도면과 토지피복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대상 12개 도시 근린공원의 녹지면적 비율은 녹지면적 비율이 가장 낮은 곳이 55.
  • 특히 도시화율이 높은 도시지역에서의 생태복원기준설정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에 도시 근린공원 내존재하는 녹지공간에 대한 식재기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공원이 공간적 기능을 바탕으로 도시민에서 생태계서비스 측면에서의 고도화된 특성을 부여하고, 나아가 도시공원이 본래 지니고 있는 토양환경의 특성을 이해하여 적합한 수목의 식재기준 부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도시공원 내 생태계서비스 기능 향상을 목적으로 토양환경 분석 및 관리 전략을 제안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사 및 분석 방법을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지의 토지피복조사를 위해 설계도면, 토지피복 현황을 조사하여, 불투수 구역(건축물, 아스팔트, 콘크리트 포장등)과, 투수구역(블록, 투수블럭, 습지, 잔디, 수목지 등)을 분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시 근린공원의 토양환경을 분석하여 추후 지하수함양, 홍수조절, 미기후, 흡착 및 정화 등 도시공원의 생태적 기능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12개소의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토양환경을 평가한 결과 조경설계기준 대체적으로 “상급”으로 평가되었으며, 이후 다양한 생태기능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일반적으로 토성은 투수, 보수, 통기성 및 양분 보유능에 영향을 미치며, 식물이 생육하고 있는 환경의 기반이 되는 토양성질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육에 적합한 식물의 식재 공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토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도시 근린공원의 생태계서비스 기능 향상을 위한 토양분석 결과 12개의 토성은 대부분 사양토(Sandy Loam)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Fig.
  • 향후 근린공원 내 녹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레크레이션 및 이용자 활동 반경을 넓히고자, 근린공원 내 토양이용에 따라 중금속 분석을 검토하였다. 12개소의 3개의 토지이용 형태별 8종에 대한 중금속 분석 결과, Cu, Cr, Ni, Pb및 Zn은 검출되었으며, 비소, 카드뮴, 수은은 검출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Appendix 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토성이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토성은 투수, 보수, 통기성 및 양분 보유능에 영향을 미치며, 식물이 생육하고 있는 환경의 기반이 되는 토양성질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육에 적합한 식물의 식재 공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기 위해 토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급격한 우수의 증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법들이 수행되고 있는가? , 2013). 이러한 우수 순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자체 및 연구자들이 LID 기술, 저류시설, 침투시설 등 다양한 형태의 우수를 이용한 저류시설 등을 투입하고 있는 실정이다(Lee et al., 2014).
도시공원은 어떠한 가치를 가지고 있는가? , 2014). 이러한 도시공원은 기후조절, 생물다양성 증진, 경관개선, 대기질 개선, 휴양 및 심미적 기능향상 등 다양한 생태, 환경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Lee et al., 1996; Jo and Ahn, 1999; K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e, S. K., Lee, S. H., 2008, Interaction between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in urban area, J. Korea Water Resour. Assoc., 41, 919-927. 

  2. Cha, J. G., Jung, E. H., Ryu, J. W., Kim, D. W., 2007, Constructing a green network and wind corridor to alleviate the urban Heat-Islan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0, 102-112. 

  3. Chae, J. H., Zoh, K. J., Kim, S. J., Hoh, Y. K., Hwang, J. Y., 2014, A Study on operational systems & planning contents of parks & green space plan -focused on London, New York, Berlin, Sydney, Seoul-,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 91-102. 

  4. Choi, C. H., Choi, D. G., Lee, J. K., Kim, S. D., 2011, An Hybrid approach for designing detention and infiltration-based retentions to promote sound urban hydrologic cycl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3, 1-8. 

  5. Han, B. H., Kwak, J. I., Park, S. C., Hur, J. Y., 2009, A Study on planning of street tree and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Korean J. Environ. Ecol., 19, 87-91. 

  6. Han, B. H., Kwak, J. I., Park, S. C., Hur, J. Y., 2014, A Study on planning of roadside green for enhancing urban green network, Korean J. Environ. Ecol., 28, 128-141. 

  7. Hwang, E. J., Chun, J. K., 2017, Institutionalization of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 Korean J. Environ. Ecol., 31, 337-343. 

  8. Jo, H. K., Ahn, T. W., 1999, Function of microclimate amelioration by urban greenspac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 23-28. 

  9. Jung, J. H., Choi, G. W., Oh, H. J., 2013, An Application of integrated water cycle system in U-Cit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4, 6597-6601. 

  10. Kang, J. E., Hyun, K. H., Park, J. B., 2014, Assessment of low Impact Development (LID) integrated in local comprehensive plans for improving urban water cy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4, 1625-1638. 

  11. Ki, K. S., Han, B. H., Hur, J. Y., 2012,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f temperature according to the land cover and planting structure in the City Park -A Case study of sentral park in Bundang gu, Seongnam-, Korean J. Environ. Ecol., 26, 801-811. 

  12. Kim, E. Y., Kim, J. Y., Jung, H. J., Song, W. K., 2017, Development and feasibility of indicators for ecosystem service evaluation of urban park, J. Environ. Impact Assess., 26, 227-241. 

  13. Kim, H., Kim, Y. S., Lee, D. S., Kim, J. Y., 2015, Evaluation of supply adequacy of park service in Suwon-si by urban park catchment area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 114-124. 

  14. Kim, H. J., Jang, C. H., Noh, S. J., 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catchment hydrologic cycle assessment tool considering urbanization (I) -Model Development-, J. Korea Water Resour. Assoc., 45, 203-215. 

  15. Kim, H. J., Kang, E. J., Cho, J. H., 2010, An Evaluation on management types by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 21-30. 

  16. Kim, M. R., Sung, H. C., 2014, Ecological linkage assessment of urban park by using connection components in establishment green networ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 61-72. 

  17. Kim, Y. S., Kim, H., Ko, J. S., 2014, Analysis on the use characteristics of citizen based on urban green spaces type -focuses on Suwon-City-,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 31-40. 

  18.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13, Landscape design standard, KILA. 

  19. Kwon, K. H., 2015, Landuse oriented water balance analysis method by the hydrological model BAGLUVA based on soil and veget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 98-111. 

  20. Lee, E. Y., Moon, S. K., Shim, S. R., 1996, A Study on the effect of air temperature and ground temperature mitigation from several arrangements of urban gre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4, 65-78. 

  21. Lee, J. M., Lee, Y. S., Choi, J. S., 2014, Analysis of water cycle effect according to application of LID technique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6, 411-421. 

  22. Lee, T. G., Han, Y. H., 2010, Assessment of criteria for selecting rainwater management strategi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0, 9-17. 

  23. Lee, W. S., Jang, G. S., 2017, Assessment of green spaces and direction of master plan for urban parks consider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Focused on Donjibong Park in Daegu-,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 17-31. 

  24. Ministry of Environment, 2000, Soil pollution process test method, MOE. 

  25. Ministry of Environment, 2018, Soil environment law, MOE. 

  26. NRCS, 2001, Impact of soil disturbance during construction on bulk density and infiltration in ocean county, New Jersey. 

  27. Park, Y. J., 2017, A Study on optimum ranges of soil environmental factors for urban ecological restorati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The University of Seoul. 

  2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00, Soil and Plant analysis Method, RDA. 

  29. Schueler, T. R., 1994, The importance of imperviousness, Watershed Protection Techniques, 1, 100-111. 

  30. Seo, M. C., Hyun, B. K., Kang, K. K., Yun, H. B., Eom, K. C., 2008, The study on quantifying and evaluating for the functions of flood control and fostering water resources in agriculture, Korean J. Soil Sci. Fert., 41, 143-152. 

  31. Son, S. R., Lee, S. Y., 2005, A Study on urban residents' perception toward open space and its policy implications -A case study of masan.changwon metropolitan area-, Seoul city research, 6, 21-36. 

  32. The Seoul institute, 2011, City parks and green areas create health promotion effects worth KRW 520,000 per person per year (UK), International city trend, 266. 

  33. Yun, S. W., Kim, Y. S., Kim, D. H., Kim, H. C., Shin, M. C., Park, J. Y., Kim, H. J., Lee, J. Y., 2013, Comparative study on waterlevel fluctuation and recharge characteristic in ground waters of urban and rural areas in Gangwon Province, J. Geo. Soc. Korea, 49, 203-516. 

  34. Yun, S. W., Philippe, C. B., Kim, D. H., Kang, D. H., Lee, S. Y., Kong, M. J., Park, C. K., Kim, H. D., Son, J. K., Yu, C, 2018, Analysis of metal(loid)s contamination and their continuous input in soils around a zinc smelter: Development of methodology and a case study in South Korea, Environmental Pollution, 238, 140-14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