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UAV 자료와 객체기반영상분석을 활용한 대축척 갯벌 표층 퇴적상 분류도 작성
Generation of Large-scale Map of Surface Sedimentary Facies in Intertidal Zone by Using UAV Data and Object-based Image Analysis (OBIA)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6 no.2 pt.2, 2020년, pp.277 - 292  

김계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 ,  유주형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연구기반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천수만 황도 갯벌 지역을 대상으로 UAV 자료와 객체기반영상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대축척 갯벌 표층 퇴적상 분류도를 작성하고, 정확도 검증을 수행하여 정밀한 표층 퇴적상 분류의 가능성과 보다 정확한 분류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고해상도 UAV 자료에서 가시광 영역의 정사영상수치표고모델(DEM), 조류로 밀도 등 퇴적상 분류 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추출하고, 통계학적 분석 방법을 통해 퇴적상에 따른 요인들의 주성분을 분석하였다. 주성분 요인을 바탕으로 퇴적상 분류 시 사용할 입력 자료를 (1) 가시광 영역의 스펙트럼, (2) 지형 고도와 조류로 밀도, (3) 가시광 영역의 스펙트럼과 지형 고도 및 조류로 밀도로 구분하였으며, 이를 기반으로 객체기반영상분석 분류방법에 입력 자료를 적용하여 대축척 갯벌 표층 퇴적상 분류도를 추출하였다. 입력 자료의 조건에 따라 표층 퇴적상 분류를 수행한 결과, folk 분류 기준을 따르는 6가지의 표층 퇴적상으로 분류하였고, 가시광 영역의 스펙트럼과 지형 고도, 조류로 밀도를 사용할 경우 전체 정확도가 63.04%, Kappa 지수가 0.54로 가장 효과적으로 표층 퇴적상을 분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possibility of precise surface sedimentary facies classification and a more accurate classification method by generating the large-scale map of surface sedimentary facies based on UAV data and object-based image analysis (OBIA) for Hwang-do tidal flat in C...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이번 연구에서는 대축척의 표층 퇴적상 분류 도를 작성하기 위해 1 m 이하의 공간해상도를 갖는 UAV 자료인 가시광 영역의 스펙트럼 자료와 분광해상 도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추가된 지형 자료를 기반으로 객체기반영상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갯벌의 대축척 표층 퇴적상 분류도를 작성함으로써 정밀한 표층 퇴적상 분류의 가능성과 보다 정확한 분류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주성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 등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여 표층 퇴적상 분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객체기반영상분석 방법을 적용할 때 요인들을 다양한 조건으로 조합한 후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갯벌 표층 퇴적상 분류도를 작성하고 정확도 검증을 수행하였다.
  • 표층 퇴적상은 현장 관측으로부터 획득한 퇴적물의 역, 사, 점토, 실트의 구성비율에 따라 Folk 분류기준에 의해 분류하였으며, 이 자료를 기반으로 분류 항목을 구분하였다. 따라서 표층 퇴적상과 PC1, PC2 의 상관성 분석 시 퇴적물의 조직 특성인 역, 사, 실트, 점토의 분포 자료를 적용하고, 이 결과를 기반으로 객체기반영상분석에 적용하기 위한 입력 자료의 조건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천수만 황도 갯벌 지역을 대상으로 UAV 자료와 객체기반영상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대축척 갯벌 표층 퇴적상 분류도를 작성하고, 정확도 검증을 수행하여 정밀한 표층 퇴적상 분류의 가능성과 보다 정확한 분류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기존의 위성영상및 현장 관측을 활용하여 분류한 갯벌 표층 퇴적상은 자료 획득의 어려움과 공간 해상도 한계에 따른 분류 항목의 제한으로 인해 대축척 수준의 활용에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갯벌의 특징은 무엇인가? 갯벌은 담수와 해수의 교환이 활발히 이루어지는 곳으로 복잡한 퇴적 및 생태환경이 나타나며, 이러한 환경은 다양한 해양생물의 서식지이자 블루카본의 새로운 가치로 대두되고 있다(Murray et al., 2014).
갯벌에서 나타나는 환경적 문제는 무엇인가? , 2014). 하지만 연안개발정책으로 인해 무분별한 개발로 면적 감소와 해안선 변화 등 급격한 환경 변화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발전소의 온배수 배출, 유류유출, 갯끈풀 침입 등 갯벌 환경 오염원 유입으로 바지락 폐사 및 저서생물 변동과 같은 갯벌 어장환경이 악화되고 있다(Choi et al., 2019;Lee et al.
객체기반분류법이 분류정확도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분류 방법인 이유는 무엇인가? , 2012). 또한 래스터 뿐만 아니라 벡터 등자료도 적용가능하기 때문에 분류정확도 향상을 위한 효율적인 분류 방법이다(Kim and Yeom, 2012). 따라서 4 m 공간해상도를 갖는 IKONOS 위성영상과 객체기반 분류 방법을 사용하여 갯벌 퇴적물 분포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rtholdy, J. and S. Folving, 1986. Sediment classification and surface type mapping in the Danish Wadden sea by remote-sensing, Netherlands Journal of Sea Research, 20: 337-345. 

  2. Blaschke, T. and J. Strobl, 2001. What's wrong with pixels? Some recent development interfacing remote sensing and GIS, GeoBIT/GIS, 6: 12-17. 

  3. Cho, Y.-C., S.-W. Lee, I.-G. Ryu, and S.-J. Yu, 2017. Assessment of Spatiotemporal Water Quality Variation Using Multivariate Statistical Techniques: A Case Study of the Imjin Rivr Bas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9(11): 641-6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oi, Y.-H., S.-J. Hong, S.-R. Jeon, and Y.-S. Cho, 2019. Site assessment using habitat suitability index for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in Geunso bay tidal flats,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52(5): 511-5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Choi, J.-K., J.-H. Ryu, Y.-K. Lee, H.-R. Yoo, H.-J. Woo, and C.-H. Kim 2010. Quantitative estimation of intertidal sediment characteristics using remote sensing and GIS, Estuarine, Coast Shelf Science, 88: 125-134. 

  6. Choi, J.-K., J. Eom, and J.-H. Ryu, 2011.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surface sedimentary facies distribution and topography using remotely sensed data: Example from the Ganghwa tidal flat, Korea, Marine Geology, 280(1-4): 205-211. 

  7. Doerffer, R. and D. Murphy, 1989. Factor analysis and classification of remotely sensed data for monitoring tidal flats, Helgolander Meeresuntersuchungen, 43(3-4): 275-293. 

  8. Duro, D. C., S.E. Franklin, and M.G. Dube, 2012. A comparison of pixel-based and object-based image analysis with selected machine learning algorithms for the classification of agricultural landscapes using SPOT-5 HRG imagery,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8: 259-272. 

  9. Eom, J., J.-K. Choi, J.-H. Ryu, H.-J. Woo, J.-S. Won, and S. Jang, 2012. Tidal channel distribution in relation to surface sedimentary facies based on remotely sensed data, Geosciences Journal, 16(2): 127-137. 

  10. Eom, J., J.-K. Choi, Y.-K. Lee, J.-H. Ryu, and J.-S. Won, 2013. Standardization of sedimentary facies and topography based on the tidal channel type in Western coastal area, Kore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65: 1373-1378. 

  11. Folk, R.L., 1968. Petrology of Sedimentary Rocks, Hemphill Publishing, Austin, Texas, USA, 170p. 

  12. Hwang, D.-W., I.-S. Lee, M.-K. Choi, S.-Y. Kim, and H.-G. Choi, 2013. Evaluation of organic matter and trace metal contamination in surface sediments around the Geum river estuary using sediment quality guidelines, Korea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46(6): 930-94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Jolliffe, I.T., 2002.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2nd edition, Springer, New York, NY, USA, pp. 150-166. 

  14. Kettig, R. and D. Landgrebe, 1976. Classification of multispectral image data by extraction and classification of homogeneous objects, IEEE Transactions on Geoscience Electronics, 14(1): 19-26. 

  15. Kim, Y.-S. and J.-N. Kim, 1996. Biogenic sedimentary structures of crustaceans at the intertidal flat of Whang Island, Cheonsu Bay,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17(4): 357-36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H.-O. and J.-M. Yeom, 2012. A study on objectbased image analysis methods for land cover classification in agricultural area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5(4): 26-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K.-L., B.-J. Kim, Y.-K. Lee, and J.-H. Ryu, 2019. Generation of a large-scale surface sediment classification map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UAVs) data: A case study at the Hwang-do tidal flat, Korea, Remote Sensing, 11: 229. 

  18. Lee, Y.-K. and J.-H. Ryu, 2017. Production of the thematic standard map for coastal regions based on remote sensing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3(6-2): 1159-11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J.-H., H.-J. Woo, K.-S. Jeong, J.-U. Choi, and K.-S. Park, 2017. Evaluation of Methane(CH4) gas emissions and sink sources according to the mean size of sediment in the tidal flat at Taean, Midwest Korea, Journal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21(2): 123-148. 

  20. Liun, C.-W., K.-H. Linn, and Y.-M. Kuon, 2003. Application of factor analysis in the assessment of groundwater quality in a black foot disease area in Taiwan,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313(1-3): 77-89. 

  21. Marani, M., A. D'Alpaos, S. Lanzoni, L. Carniello, and A. Rinaldo, 2007. Biologically-controlled multiple equilibria of tidal landforms and the fate of the Venice lagoon,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34: L11402. 

  22. Murray, M.J., R.S. Clemens, S.R. Phinn, H.P. Possingham, and R.A. Fuller, 2014. Tracking the rapid loss of tidal wetlands in the Yellow Sea, Frontiers i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12: 267-272. 

  23. Rainey, M.P., A.N. Tyler, R.G. Bryant, D.J. Gilvear, and P. McDonald, 2000. The influence of surface and interstitial moisture on the spectral charac - teristics of intertidal sediments: Implications for airborne image acquisition and proces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1(16): 3025-3028. 

  24. Rainey, M.P., A.N. Tyler, D.J. Givear, R.G. Bryant, and P. McDonald, 2003. Mapping intertidal estuarine sediment grain size distributions through airborne remote sensing,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6: 480-490. 

  25. Ryu, J.-H., Y.-H. Na, J.-S. Won, and R. Doerffer, 2004. A critical grain size for Landsat ETMC investigations into intertidal sediments: a case study of the Gomso tidal flat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60(3): 491-502. 

  26. Ryu, J.-H., H.-J. Woo, C.-H. Park, and H.-R. Yoo, 2005. Classification of sedimentary facies using IKONOS image in Hwangdo tidal flat, Cheonsu bay,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7(2): 121-13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Ryu, S.-O., J.-H. Chang, H.-J. Lee, Y.-J. Jo, and O.-I. Choi, 2009.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 of surface sediments by tidal environment changes: Muan bay,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4(1): 10-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8. Trimble, 2014. eCognition $^{(R)}$ Developer 9.0 Reference Book; Trimble Germany GmbH, Munich, Germany. 

  29. Walsh, S.J., A.L. McCleary, C.F. Mena, Y. Shao, J.P. Tuttle, A. Gonzalez, and R. Atkinson, 2008. QuickBird and Hyperion data analysis of an invasive plant species in the Galapagos Islands of Ecuador: Implications for control and land use managemen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 1927-1941. 

  30. Yates, M.G., A.R. Jones, S. McGrorty, and J.D. Goss-Custard, 1993. The use of satellite imagery to determine the distribution of intertidal surface sediments of the Wash, England,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36: 333-3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