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정된 지반증폭계수의 Macro적 액상화 평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Analysis of the Effect of the Revised Ground Amplification Factor on the Macro Liquefaction Assessment Method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36 no.2, 2020년, pp.5 - 15  

백우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최재순 (서경대학교 토목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항지진(ML=5.4) 시 발생한 액상화 현상은 국민들에게 지진으로 유발되는 액상화의 위험성을 새롭게 각인시켰고,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액상화 위험지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행정안전부가 보유하고 있는 액상화 위험지도는 2014년 제작된 것으로 전국 100,000개 이상의 시추 자료를 토대로 지하수위 0m인 조건으로 지반조건별 증폭계수를 사용하였으며 시추정보가 없는 지역은 보간법을 이용하여 2km × 2km 격자형식으로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가운데, 2018년 행정안전부는 내진설계 공통기준의 새로운 지반분류법과 증폭계수를 공표하였다. 따라서 개정된 행정안전부의 증폭계수를 반영한 액상화 위험지도의 재작성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내진설계 공통기준 개정 전·후 두 개의 기준으로 전 국토를 대상으로 지반분류를 수행하여 변동성을 분석하였으며, 지반조건별 증폭계수를 적용한 액상화 평가결과를 부산시 강서구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때 재현주기 500년과 1,000년에 해당하는 지반가속도를 적용하였으며 우리나라 평균 지하수위인 5m와 극한 조건인 0m로 구분하여 액상화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액상화 위험지도는 기존의 2km × 2km보다 높은 해상도를 확보하기 위해 500m × 500m 격자를 생성하여 위험지도를 작성하였다. 연구결과, 기존 지반분류 기준을 통해 SC, SD 지반으로 분류되었던 지반상태가 개정된 지반분류 기준을 통해 S2, S3, S4로 재분류되었다. 재현주기 500년과 1,000년으로 액상화 평가를 수행한 결과 개정 전 지반증폭계수 적용한 LPI가 상대적으로 과대평가되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증폭계수를 이용하는 광역지역 액상화 위험지도 작성의 근간인 액상화 평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써 향후 광역지역 액상화 위험지도 작성의 경우 반드시 고려될 사항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iquefaction phenomenon that occurred during the Pohang earthquake (ML=5.4) brought new awareness to the people about the risk of liquefaction caused by the earthquake. Liquefaction hazard maps with 2 km grid made in 2014 used more than 100,000 borehole data for the whole country, and regions wi...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18년 공표된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 내 지반분류와 지반종류에 따른 지반증폭계수에 대한 개정이 Macro적 액상화 위험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시추조사자료 약 12만 2천여개의 정보를 바탕으로 지반분류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선 분석을 통해 나타난 지반증폭계수의 개정이 Macro적 액상화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각 지반조사자료를 토대로 액상화 평가를 수행하고 이를 통해 500m×500m 격자를 기준으로 한 액상화 발생가능성지수를 산정하고 이를 수치지도에 도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행정안전부가 2018년 새롭게 공표한 내진설계기준 공통적용사항에 수록된 지반분류체계와 지반조건별 증폭계수를 이용하는 Macro적 액상화 평가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며 연구절차는 [Fig. 1]과 같다.
  • 이때, 액상화 위험지도는 지하수위 0m, 5m인 경우와 재현주기 500년 1,000년의 경우로 구분하여 작성하였다. 특히, 액상화 위험도 지도를 작성하기 전, Macro적 위험지도를 구성하는 격자 내부의 대푯값 선정에 대한 적용성 검토를 우선 수행하였으며 본 연구를 수행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연이은 지진 발생에 따른 정부의 대응은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4)은 인명피해와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국민들에게 지진에 대한 불안감을 야기시켰다. 연이은 지진 발생 직후 정부는 국가적 차원의 내진설계기준 재정비와 지방정부 차원의 지진에 대한 대비・대응책 마련 방안 등 많은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기존의 국내 지진 및 내진설계 연구가 가지는 한계점은 무엇인가? 국내 지진 및 내진설계 연구는 1997년 상위개념인 내진설계기준연구(II)를 건설교통부 주축으로 제정하며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하지만 당시 필수적 사전 검토 과정인 지반조건에 따른 증폭특성의 정량적 평가 없이 국가적 내진 대책의 조속한 체계화를 위해 미국 서부의 지반조건별 증폭계수를 준용하였으며(Kim et al., 2002; Sun et al., 2005), 기반암이 주로 30m 이내에 존재하는 국내 지반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연구결과들이(Yoon et al., 2006; Kim et al.
현재 행정안전부가 보유하고 있는 액상화 위험지도의 특징은 무엇인가? 4) 시 발생한 액상화 현상은 국민들에게 지진으로 유발되는 액상화의 위험성을 새롭게 각인시켰고,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액상화 위험지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 행정안전부가 보유하고 있는 액상화 위험지도는 2014년 제작된 것으로 전국 100,000개 이상의 시추 자료를 토대로 지하수위 0m인 조건으로 지반조건별 증폭계수를 사용하였으며 시추정보가 없는 지역은 보간법을 이용하여 2km × 2km 격자형식으로 제작된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가운데, 2018년 행정안전부는 내진설계 공통기준의 새로운 지반분류법과 증폭계수를 공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Ahn, J.K., Baek, W.H., Choi, J.S., and Kwak, D.Y. (2018), "Investigation of Pohang Earthquake Liquefaction Using 1D Effective-Stress Site Respons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ol.34, No.8, pp.37-49 

  2. Baek, W. H. (2014), "Development of Real-Time Liquefaction Hazard Map Using Metropolitan Area Site Information Data, University of Seokyeong, Seoul, Korea (in Korean). 

  3. Baek, W. H., Choi, J. S., and Ahn, J. K., (2018), "Liquefaction Hazard Map in Pohang Based on Earthquake Scenarios",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in Korea, Vol.22, No.3, pp. 219-224 (in Korean). 

  4. Cho, H. K., Manandhar, S., and Kim, D. S. (2016), "Site Classification and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Code Provisions- (I) Database and Site Response Analyses",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20, No.4, pp.223-234. 

  5. Cho, H. K., Manandhar, S., and Kim, D. S. (2016), "Site Classification and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Code Provisions- (II) Proposal",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20, No.4, pp.235-243. 

  6. Cho, H. K., Manandhar, S., and Kim, D. S. (2016), "Site Classification and Design Response Spectra for Seismic Code Provisions- (III) Verification",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20, No.4, pp.245-256. 

  7. Choi, J. S., Park, I. J., Hwang, K. M., and Jang, J. B. (2018), "A Study on Seismic Liquefaction Risk Map of Electric Power Utility Tunnel in South-East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19, Issue 10, pp.13-19 (in Korean). 

  8. Idriss, I. M. and Sun, J. I. (1997), "User's Manual for SHAKE91", Center for Geotechnical Modeling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 Engineering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C.A., pp.1-11. 

  9. Iwasaki, T., Tatsuoka, K., Tokida, F., and Yasuda, S. (1978a), "A Practical Method for Assessing Soil Liquefaction Potential Based on Case Studies at Various Sites in Japan", Proceedings of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zonation, National Science Foundation UNESCO, San Francisco, C.A., Vol.2, pp.885-896. 

  10. Iwasaki, T., Tokida, K., Tatsuoka, F., Watanabe, S., Yasuda S., and Sato, H. (1982), "Microzonation for Soil Liquefaction Potential Using Simplified Methods", Proceedings of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icrozonation, Seattle, pp.1319-1330. 

  11. Kim, D. S., Lee, S. H., and Yoon, J. K., (2008), "Development of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Modification of Site Coefficients in Korea Based on Mean Shear Wave Velocity of Soil and Depth to Bedrock",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in Korea, pp.63-74. 

  12. Ku, T. J. (2010), "Development of Mapping of Liquefaction Hazard Considering Various Ground Condition in Korea", Master'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pp.38-48 (in Korean). 

  13. Lee, B. Y., Hwang, B. S., Kim, H, S., and Cho, W. J. (2018), "Precision Improvement Methodology of Geotechnical Information through Outlier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19, No.2, pp.23-35. 

  14. Ministry of Construction & Transportation and Earthquake Engineer Society of Korea (1997), "Seismic Design Standard (II)" (in Korean). 

  15. Park, D. H., Kwak, D. Y., Jeong, C. G., and Park, T. H. (2012), "Development of Probabilistic Seismic Site Coefficients of Korea", Soil Dynamics and Earthquake Engineering, Vol.43, pp.247-260 (in Korean). 

  16. Sun, C. K. (2010), "Suggestion of Additional Criteria for Site Categorization in Korea by Quantifying Regional Specific Characteristics on Seismic Respons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arth and Exploration Geophysicists, KSEG, Vol.13, No.3, pp. 203-218 (in Korean). 

  17. Sun, C. K., Jeong, C. K., and Kim, D. S. (2005), "A Proposition of Site Coefficients and Site Classification System for Design Ground Motions at Inland of the Korean Peninsula", Journal of Korean Geotechnical Society, KGS, Vol.21, No.6, pp.101-115 (in Korean). 

  18. Yoon, J. K., Kim, D. S., and Bang, E. S. (2006), "Development of Site Classification System and Modification of Design Response Spectra Considering Geotechnical Site Characteristics in Korea (I) - Problem Statements of the Current Seismic Design Code", Journal of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in Korea, Vol.10, No.2, pp. 39-50.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