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E기법을 이용한 자기애자의 손상 분석
Analysis on Damage of Porcelain Insulators Using AE Technique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3 no.3, 2020년, pp.231 - 238  

최인혁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신구용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임윤석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구자빈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손주암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  임대연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오태근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  윤영근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oundness of porcelain insulators associated with the acoustic emission (AE) technique. The AE technique is a popular non-destructive method that measures and analyzes the burst energy that occurs mainly when a crack occurs in a high-frequency region. Typical AE methods r...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AE 신호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계로써 충격에너지 발생을 위한 해머를 동일하게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인 AE는 수십에서 수백 kHz 이상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f) 공진형 AE 센서(SN BP40) 및 광대역 AE 센서(SN AI93)가 사용되었고, 두 가지 AE 센서의 주파수응답 특성은 그림 5에 제시하였다. 일반적으로 AE 센서는 고역통과 필터(high-pass filter)가 사용되어 저주파를 차단하지만 그림 5(a)의 공진형 AE 센서의 경우 0 Hz ~100 kHz의 주파수 범위를 전부 측정 가능하며, 그림 5(b)의 광대역 센서는 100 kHz 이상의 고주파수에 민감하지만 약 15~50 kHz 범위도 측정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 공진형 AE 센서의 계측 일관성을 확인한 후 충격 시험에서 많이 활용되는 가속도 센서와의 비교를 진행하였다. 정상 및 손상에 대한 가속도 센서의 FFT 결과를 그림 7에 도식하였으며, AE 센서를 통해 수집된 신호의 FFT 결과를 그림 8에 도식하였다.
  • 두 가지 장비 모두 sampling rate 500 kS/s로 설정하고 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후 분석은 MATLAB 2019a signal processing toolbox를 활용하였으며 시간 데이터에 대해 정규화 및 FFT(fast fourier transformation) 변환을 통해 자기애자의 정상과 손상에 따른 신호 및 주파수 분석을 진행하였다.
  • 가속도 센서의 경우 진동 또는 충격시험에서 많이 활용되어 계측 결과에 대한 신뢰성이 입증되었지만, AE 센서는 충격시험에서 활용되는 경우가 적기 때문에 충격에너지에 의한 센서의 계측 신뢰성 확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정상 애자의 자기부분에 AE 센서를 설치하고 임팩트 해머를 이용하여 센서의 측면을 동일한 위치에서 5번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실험은 타격을 통해 신호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센서에 의해 수집되는 신호의 에너지는 임팩트 해머의 타격을 통해 생성되는 가진 에너지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 가속도 센서의 FFT에서 주된 피크는 대부분 10 kHz 이하에 존재하였으며, 이는 저주파수에서 일반적인 진동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AE 센서의 FFT에서도 정상과 결함 모두 10 kHz 이하에서 주된 피크가 발생하였기 때문에 정상과 결함의 차이를 좀 더 정확하게 구분하기 위하여 10 kHz의 하이패스 필터를 적용하고 10 kHz 이상을 주 관심영역으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초기 신호, 정규화 신호, 필터가 적용된 AE 신호는 그림 9에 도식하였으며, 정규화 및 필터가 적용된 time signal을 사용하여 그림 2와 같은 추가적인 분석을 진행하였다.
  • 따라서 신호 에너지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초기 신호의 최대 에너지의 정규화를 진행하였고, 이에 대한 FFT 그래프를 그림 6에 도식하였다. 본 실험에서 공진형 및 광대역 AE 센서를 사용하여 1 MHz까지 FFT를 확인한 결과 30kHz 이상에서는 주파수 신호가 거의 발생하지 않았기 때문에 관심영역을 30 kHz로 설정하고 공진형 AE 센서를 사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 그러나 일반적인 AE 기법은 지속적인 상시 모니터링과 센서를 보정, 검정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자기애자의 표면 또는 내부에서 균열이 발생한 경우에 보통의 가속도 센서로 측정이 어려운 균열 및 파손 영역 등에서 발생하는 높은 주파수 영역의 반응을 측정하기 위해서 AE 기법을 적용하였으며, 일반적인 AE 모니터링 기법이 아닌 외부 충격파 에너지에 의해 계측되는 손상영역에서의 발생신호를 통해 즉각적으로 정상과 손상을 판단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그림 1과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지속적인 응력의 누적으로 결함의 진전을 통해 발생되는 AE를 측정하는 것이 아닌 간단하게 외부타격을 통해 자기애자의 정상 및 손상에 따라 계측되는 신호에 대해서 그림 2와 같이 시간 영역 신호에 대한 다양한 분석 및 주파수 영역 분석을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자기애자의 손상을 검출하기 위해 미세한 기계적인 손상, 탈락 등에서 발생하는 작은 동적 에너지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는 AE 센서를 활용하였으며, 기존 모니터링 방법과 달리 외부 가진에 의한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 정상 시험편과 결함 시험편의 신호에 대한 지속 시간(duration time), 피크 에너지(peak amplitude), 상승 시간(rise time), 임계값(threshold)을 넘는 파형의 수는 그림 10과 같이 time signal에 임계값을 설정하고 임계값을 넘는 파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산출되었으며, 포락선(envelope)의 면적의 경우 MATLAB의 envelope 함수를 활용하여 time signal의 양의 값에 대한 포락선을 추출하였다. 포락선의 분석 범위는 신호의 시작과 수렴을 고려하여 1.

대상 데이터

  • 시험편은 NGK사의 cristobalite 소재인 자기애자 5개가 사용되었다. 정상 2개, 자기손상 2개, 캡손상 1개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 시험편은 NGK사의 cristobalite 소재인 자기애자 5개가 사용되었다. 정상 2개, 자기손상 2개, 캡손상 1개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정상 및 손상 애자의 외관은 그림 3과 같다.

데이터처리

  • 저주파에서 고주파까지 민감하게 반응하는 AE 센서를 활용하여 일반적으로 충격시험에 사용되는 가속도 센서의 측정 결과와 비교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한 실험계의 구성은 그림 4와 같다.

이론/모형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세한 기계적인 손상, 탈락 등의 식별이 가능한 음향방출(acoustic emission, AE) 기법이 적용되었다. AE 기법은 구조체에서 균열, 파손 등의 손상으로 발생되는 고주파 영역의 에너지 방출을 대상 구조물에 적합한 광대역 또는 공진형 센서를 통해 검출하며, 보편적으로 piezoelectric wafer active sensor(PWAS)를 이용하여 측정하는 방법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기적인 관점에서 절연체 손상을 식별하는 기술에는 무엇이 있는가? 절연체 손상을 식별하는 대부분의 기술은 전기적인 관점에서 절연체의 전기 절연 성능을 평가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전기적 관점에서 절연저항 측정, 전계측정, 부분방전 측정 [5-7] 등의 방법이 있으며 최근에는 적외선 측정, 항공 이미지 분석 및 3D-CT가 기계적인 측정을 위해 연구되고 있다 [8,9]. 그러나 상기방법은 온도, 습도 및 태양 플럭스에 의해 측정 결과가 큰 영향을 받는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대부분 절연체의 전기적 손상 및 고장에만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절연체의 기계적 손상을 식별하기는 어렵다.
전력 수요가 급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전력 수요는 현대의 산업발달, 기계시스템 자동화, 지구 온난화, 전기 자동차의 증가 등으로 인해서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많은 양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높은 전송 전압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송전선로는 높은 수준의 절연이 요구된다.
많은 양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것은 무엇인가? 전력 수요는 현대의 산업발달, 기계시스템 자동화, 지구 온난화, 전기 자동차의 증가 등으로 인해서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많은 양의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해 높은 전송 전압이 필요하며, 이로 인해 송전선로는 높은 수준의 절연이 요구된다. 절연체는 송전탑에 송전선을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며, 전기적인 절연을 통한 송전선과 송전탑과의 절연간격을 확보하는 등 송전선로의 신뢰성 및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G. H. Vaillancourt, J. P. Bellerive, M. St-Jean, and C. Jean, IEEE Trans. Power Del., 9, 208 (1994). [DOI: https://doi.org/10.1109/61.277692] 

  2. I. H. Choi, T. K. Kim, Y. B. Yoon, J. Yi, and S. W. Kim, J. Korean Inst. Electr. Electron. Mater. Eng., 30, 551 ( 2017). [DOI: https://doi.org/10.4313/JKEM.2017.30.9.551] 

  3. X. Jiang, S. Wang, Z. Zhang, S. Xie, and Y. Wang, IEEE Trans. Power Del., 22, 472 (2007). [DOI: https://doi.org/10.1109/TPWRD.2006.876705] 

  4. S.M.A. Dhalaan and M. A. Elhirbawy, Proc. 2003 IEEE PES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Conference and Exposition (IEEE Cat. No.03CH37495) (IEEE, Dallas, USA, 2003) p. 909. [DOI: https://doi.org/10.1109/TDC.2003.1335058] 

  5. A. Cavallini, S. Chandrasekar, G. C. Montanari, and F. Puletti, IEEE Trans. Dielectr. Electr. Insul., 14, 23 (2007). [DOI: https://doi.org/10.1109/TDEI.2007.302866] 

  6. G. H. Vaillancourt, S. Carignan, and C. Jean, IEEE Trans. Power Del., 13, 661 (1998). [DOI: https://doi.org/10.1109/61.660958] 

  7. V. Padma and V. S. Raghavan, Proc. 2011 3r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lectronics Computer Technology ( IEEE, Kanyakumari, India, 2011) p. 110. [DOI: https://doi.org/10.1109/ICECTECH.2011.5941868] 

  8. H. Ha, S. Han, and J. Lee, IEEE Trans. Instrum. Meas., 61, 267 (2012). [DOI: https://doi.org/10.1109/TIM.2011.2159322] 

  9. X. Miao, X. Liu, J. Chen, S. Zhuang, J. Fan, and H. Jiang, IEEE Access, 7, 9945 (2019). [DOI: https://doi.org/10.1109/ACCESS.2019.2891123] 

  10. G. Y. Kim and D. W. Seo, Korean Soc. Med. Inf., 22, 121 (2018). 

  11. K. J. Park, Korean Soc. Saf., 18, 6 (2003). 

  12. S. H. Song, S. W. Kim, W. S. Park, K. B. Choi, and H. D. Yun, Korean Soc. Med. Inf., 13, 115 (20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