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가형 무인비행체를 활용한 정사영상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curacy Improvement of Orthophoto using Low-Cost UAV 원문보기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y Convergence, v.23 no.2/1, 2020년, pp.209 - 218  

윤부열 (창신대학교 토목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arious studies and business investments have been performed on UAV in the field of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and it is judged that this industry has being evolved into an expansion stage as a legalization progresses. In addition, public institutions such as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on...

주제어

표/그림 (3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계속적인 저가형 무인 비행체에 대한 연구는 공간정보 분야에 급속한 확산으로 이어질것이며 산업 전분야에 새로운 페러다임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저가형 무인비행체를 활용하여 다양한 촬영기 법으로 취득한 영상으로 정확도 및 정밀도를 분석하여 취득자료에 대한 신뢰성 향상 방안을 위한 촬영기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저가형 무인비행체를 공간정보분야에 적용하는데 정량적 자료 추출에 있어서 정확도 및 정밀도에 대한 신뢰성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고자 하였으며 촬영기법을 달리하여 정확도 및 정밀도 향상을 위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과 같이나타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무인항공기를 어떤 분야에 적용할 예정인가? 그뿐만 아니라 공간정보 산업 분야를 리더하는 한국국토정보공사, 토지주택공사, 도로공사에서는 무인 비행체를 업무에 활용하고 적용하기위 해서 많은 연구와 인력을 투자하여 고도화 단계에 진입하고 있는 현실이며 관련 규정 또한 제정되어 산업확산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Yun은(2014년) 국내에 신속한 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각종 규정을 조사하여 적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국토지리정보원(2017)에서는 공공측량 분야에 무인항공기를 도입하는 방안으로 항공법규의 정합성을 검토하고 공공측량, 일반측량 등에 대한 작업규정을 검토하여 무인비행장치에 대한 측량 작업지침서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공간정보 산업분야에 무인비행체를 활용한 산업 확대를 위해서는 아직도 고가의 장비로 분류되어있는 측량용 무인비행체에서 저가형 무인비행체에서도 신뢰성 있는 영상품질을 취득할 수 있다면 공간정보 산업분야에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Hwang은(2016년) 저가형 UAV를 이용한 대축척 수치지도 정확도 평가를 실시하여 저가형 드론에 한계를 증명한 바 있으며, Yoo는(2018) 산림지역 개발행위를 위해 저가형 드론의 활용방안을 발표하여 저가형 드론의 활용성을 제시하였다.
국내에서 정부는 무인항공기 시장 성장에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가? 현재 무인항공기(UAV)는 각종 제어장비와 센서 제작 및 영상정보 취득과 처리기술 등 전 세계 상업용 드론 시장이 매년 성장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이러한 세계적 동향에 대비하여 미래부 주관으로 범국가적 협의체를 구성하고 관련 부처 합동으로 무인이동체 발전 5개년 계획을 수립하는 추세에 공간정보 산업 전 분야에도 급속히 활용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공간정보 산업 분야를 리더하는 한국국토정보공사, 토지주택공사, 도로공사에서는 무인 비행체를 업무에 활용하고 적용하기위 해서 많은 연구와 인력을 투자하여 고도화 단계에 진입하고 있는 현실이며 관련 규정 또한 제정되어 산업확산이 가속화되고 있다. 또한 Yun은(2014년) 국내에 신속한 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각종 규정을 조사하여 적용방안을 제시하였으며, 국토지리정보원(2017)에서는 공공측량 분야에 무인항공기를 도입하는 방안으로 항공법규의 정합성을 검토하고 공공측량, 일반측량 등에 대한 작업규정을 검토하여 무인비행장치에 대한 측량 작업지침서를 제시하였다.
저가형 무인비행체를 공간정보분야에 적용할 때 필요한 정량적 자료 추출에 있어서, 정확도 및 정밀도에 대한 신뢰성에 대한 안정성을 검토하기 위해 촬영기법을 달리하여 정확도 및 정밀도 향상을 위하여 연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무엇인가? 첫째, 저가형 무인비행체를 활용하는데 있어서 고도 70m에서의 평면위치 정확도의 평 균적인 값은 0.01m에 양호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정밀도에서 평면위치는 0.08m 로 비교적 안정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 둘째, 고도 130m에서의 정확도의 평균적인값 은 0.025m 정밀도 분석에서 평면위치는 0.123m로 불규칙적인 과대오차가 발생 됨으로 성과물 관리에 많은 어려우며 안 정적인 자료추출에는 미흡한 부분이다. 셋째, 고도 130m에서 실시한 이중 교차 방식에서 추출한 결과값은 고도 70m에서의 정확도와 정밀도는 비슷한 결과값을 나타내었으나 고도 130m에서는 일반적인 촬영방법에서 평면위치값은 0.123m, 이중 교차 방식의 촬영값은 0.08m로 안정적인 결과값으로 취득할 수 있었다. 넷째, 고도 70m에서 z값의 잔차량 평균값은 0.02m, RMSE 값은 0.137m, 고도 130m에서 잔차량 평균값은 0.017m, RMSE 값은 0.094m로 높이값에 대한 전반적으로 불규칙적인 과대오차가 발생됨으로 불안정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저가형 드론을 공간정보 분야 활용에 있어서 높이값에대한 성과물 적용은 많은 문제점이 포함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Yun B. Y., Lee J. O., A Study on Application of the UAV in Korea for Integrated Operation with Spatial Information,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014, Vol. 22, No. 2, pp. 3-9. 

  2. Hwang D. Y., Kang I. J., Park D. H., Kim J. Y., 2016, Accuracy Assessment of Large-scale Digital Map Using Low-Cost UAV, Proceeding of KSSGPC, 2016(4):207-209. 

  3. Yoo J. G., Lee D. G., Kim K. D., Lee H. J., 2018, Application of Low-cost Drones for Forest Area Development Activity, Proceeding of KSSGPC, 2018(4):161-162. 

  4. Lee, J, O. Lee, S. B. Kim, S. G. Lee, K. H. Development of Standard Work Type in Construction Field to Utilize Unmanned Aerial Vehicl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6, No. 3, pp. 69-76, 20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Lee, K. H., Han, Y. K., Lee, W. H., Generation and Comparison of Orthophotos and 3D models of Small-scale Terraced Topography using Vertical and High Oblique Images Taken by UAV, The Korea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Vol. 26, No. 3, pp. 23-30, 20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Yun, B. Y. and Sung, S. M., Effect of Number of Ground Control Points on Location Accuracy of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21, No. 2, pp. 12-22, 20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